-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
김진명 지음 / 해냄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김진명의 글을 읽은 것은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뿐이다.
그때 당시 대단한 베스트셀러였고 따라서 주변에서 읽어 보란 권유가 많아서 읽게 되었다.
결론은 김진명의 소설은 다시는 안 읽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다른 글을 읽지 않았기에 무어라 말하기는 힘들지만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가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와 비슷하다는 말과 재미있다는 말로 대충은 알고 있다.
김진명의 글을 읽으면 우선 속도감 있는 전개와 기발(?)한 상상력으로 재미있게 읽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글이란 특히 시나 소설은 신성한 것이라는 점이다.
소설이 허구적인 상상력의 예술이란 말과 허상과 공상이란 말과 혼동해서 사용되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마치 꿈이라는 말과 희망이라는 말은 비슷하지만 엄연히 다른 의미의 단어인 것처럼 말이다.
소설을 쓰는 것은 글이 써져 내려가기 전 치열한 고민과 고통이 함께 해야 한다. 그러나 그는 많은 대중을 상대로 글이란 매개체로 돈을 버는 수준 낮은 장사꾼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의 글은 국수주의적 발상과 또는 단순한 민족애의 호소로 가득 차 있다. 마치 중세 시대 마녀사냥꾼이 그냥 저 사람은 늙은 마녀다, 고로 죽여야 한다, 라며 많은 대중을 현혹시켜 마녀와 무관한 많은 사람을 화형시켰듯이..
그의 글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그의 글은 어설픈 공상으로 가득 차 있다.
그의 글은 진심 어린 열정이 없다.
그의 글은 비평이 아닌 비난만 있다.
그의 글은 어설픈 애국애와 국수주의로 가득 차 있다.
예술이란 그리고 역사란 그리고 철학이란 학자들만의 고유한 영역은 아니다, 대중과 함께 하는 것이야말로 살아 있는 것이다, 라며 나의 생각을 고치려는 사람이 있는 줄로 안다. 그 말도 옳은 말이긴 하지만 예술과 역사 그리고 철학이 대중과 함께 한다는 것은 다른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대중과 함께 한다는 것은 그들의 고립된 영역을 개방시키라는 것도 포함하며 대중이 그것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모두가 같이 수준을 높이자는 이야기도 되는 것이다.
김진명은 베스터셀러 작가다.
만약 김진명이 베스트셀러 작가가 아니라면 이런 얘기를 안 했을지도 모른다.
세상에는 아니 우리 동네 작은 서점만 가봐도 형편 없는, 가치 없는 글들로 가득 차 있으니까.. 그 중에 하나겠지 하면서 지나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는 베스트셀러 작가다.
아무리 글을 훌륭하게 쓰는 진짜 작가도 때로는 졸작을 쓸 수 있다.
따라서 김진명은 글 속에 자신의 열정이 살아 있는 또는 깊은 고민을 한 흔적이 있는 그리고 좀 더 넓게 보는 안목이 있는 그런 작가가 되었으면 한다.
그가 계속 글을 쓸 거라면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코미디언이 아니라 진정한 소설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