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장 폴 사르트르 지음, 방곤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2월
평점 :
철학이란 것.. 많이 따분하고 또 때로는 자기 논리에 빠져 있는, 자기 세계에 빠져 있는 학문같이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철학이 중요한 것은 그 시대에 팽배해 있는 철학사조에 따라 우리의 삶의 양식이 많이 달라질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것 같다. 철학이란 붕 뜬 관념적인 개념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 각각의 개인에, 우리의 가정에, 우리의 나라에, 그리고 우리 지구촌 가족에 즉, 우리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학문이다. 그것을 우리가 인지하든 아니든 말이다. 과학 역시 철학사조에 따라 발전의 방향이 달라지며 우리가 만든 법과 삶의 양식도 달라진다. 따라서 철학을 학문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은 어느 정도 일리 있는 말이다.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는 현재 철학의 주류나 관심 연구 분야도 아니며 다른 사조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많은 논리적 허점을 지적당했고 또 역사적으로 이미 검증받은 학풍인 실존주의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당시 실존주의에 대한 많은 비난에 대응하고 또 진정한 실존주의의 의미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실존주의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자면(아주 교과서적인 표현이지만) 당시 혼란스러운 시대에 인간의 존재에 대하여 연구를 했던 학풍으로 가장 실존주의를 잘 표현한 말로는 실존은 본질을 앞선다라는 사르트르의 발언이 있다. 실존 즉, 존재가 존재하는 것의 의미보다 더 우선적이다, 라는 뜻으로 이는 인간이 기계나 공구와 달리 우선 인간이 이 세계에 존재한다는 것이 먼저이지 가위처럼 종이를 자르기 위해 즉, 인간이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그런 인간은 우선적으로 이 실존을 자각해야 하는데 이 자각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가 실존주의자의 연구과제였다.
이 실존 인식에 따른 학풍마다 무신론적 실존주의자와 유신론적 실존주의자로 나뉘는데 사르트르는 개인적으로 무신론적 실존주의자에 속해 있는 사람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전체적인 실존주의에 대한 의미와 설명을 하기 때문에 무신론적이다 유신론적이다, 라는 것에 대한 구분은 없다. 당시 실존주의가 주류를 이루면서 바로 암울하던 시대적 배경에서 탄생했기에 그에 대한 오해가 많았는데 그것에 대한 반론이 바로 이 책의 핵심이다.
책에 대한 배경 말고도 저자인 사르트르는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아주 흥미로운 사람이다. 당시 최초로 개약결혼이라는 것을 했었고 또 까뮈와 절친한 친구 사이였다가 학문적 이견으로 인하여 절교를 하는 등 그의 개인적인 행동들 역시 지켜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했다. 그는 당시 살아 있는 지성으로, 지성을 대표한다는 명예로운 호칭도 얻었고 또한 소설가로서도 명망을 얻었던 사람이다. 이 책 외에도 구토라는 소설이 유명하며 그 책 또한 그의 사상과 소설적 상상력과 재미가 훌륭한 책이다.
실존주의를 뒤늦게 접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실존주의를 진정한 의미에서 접하지 못했고 변형되어 원래의 학풍과는 엉뚱한 방향으로 받아들여서 좌절주의나 혹은 비관주의의 철학으로 오해했다. 실제로 60~70년대 이후에도 실존주의적인 소설과 시라고 불리는 우리나라의 소설과 시들은 당시 우리나라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비관적 대안책으로 제시되어 창작되었다.
실존주의가 진정한 의미로 받아들여졌든지, 아니면 오해가 발생하여 다른 방향으로 접했든지 간에 우리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던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역사와 잘못된 길을 바로잡는 것이 후세의 도덕적 의무라면 바로 그 작업을 위해서라도 바른 의미와 바른 뜻을 알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실존주의에 대한 개론서 역할을 하는 책으로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가 가장 적합할 것 같다. 실존주의에 대해 또 철학책의 딱딱한 문체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금방 지루함을 느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에 대한 보상으로 사고의 폭이 넒어짐과 동시에 한 시대를 풍미했던 철학사조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