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선언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21
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이진우 옮김 / 책세상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공산당 선언>을 대충 훑어 읽었다. 물론 대충 훑어 읽을 가벼운 글은 아니지만 기타 다른 사회과학 책이나 여러 글들에서 혹은 개론서 등 이곳저곳에서 인용되고 설명된 것들이 많았기에 대충 어떤 주장인가만 확인하듯 읽었다. 무엇보다도 역시 맑스란 생각이 든다. 명쾌하고 특유의 비판 능력이 돋보였다.

특히 임노동에 관한 주장이 인상 깊었다. 그래서 칼 맑스의 임노동과 자본이란 소책자 역시 차후에 읽을 계획을 세웠다.

읽는 동안 주변의 따가운 시선에 부담스러웠다. 역시나 음밀한 곳에서 읽어야 하는 것일까? 분명한 것은 맑스의 주장이 옳고 틀리고는 떠나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맑스를 공부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구구단을 외지 않고 미적분을 하는 것과도 같다는 것이다. 과거 군사정권의 탄압으로 인한 기형적 학문 발전에 의해 맑스에 대한 공부란 금기사항이었고 따라서 현재 인문사회과학의 붕괴는 그 군사정권의 탄압에 기인한다.

어쨌든 맑스의 주장은 부분적이나마 오류가 있음은 틀림없으나 큰 주장의 틀은 아직도 우리에게 유효하다. 혹자는 공산주의 국가의 붕괴를 맑스의 주장이 잘못됨을 밝히는 증거로 제시하지만 그것은 한낱 보수주의 또는 신자본주의자들의 음해에 불과하다. 실상 현대 자본주의의 체제 내에서도 부분적으로 맑스가 제안한 공산주의적 제도를 수용하고도 있지만 이미 몰락한 공산주의 국가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맑스가 예견했던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었다. 맑스가 예견했던 공산주의 국가는 자본주의 체제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그 발전의 한계에 도달해 더 이상 발전은 어렵고 그 속에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점이 점점 커져 자본주의 체제가 붕괴될 때 그 후에 나타나는 것이 공산주의 국가라는 것이다. 아직도 자본주의 체제는 성장 중에 있음이 분명하고 따라서 기존에 나타났던 공산주의 국가는 맑스가 예견한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다. 결국 공산주의 국가의 붕괴가 맑스의 논리가 잘못됨을 밝힐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자본주의 체제 붕괴 후 나타날 체제가 공산주의라는 맑스의 주장이 옳은가 아닌가를 따지는 것은 별개의 문제지만..

사실 난 아직도 맑스의 주장이 옳은지 또는 신맑시즘의 주장이 옳은지에 대한 판단은 안 선다. 다만 분명한 것은 현대 자본주의와 견고해지는 지구화는 많은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그 문제점으로 인하여 정의나 인권과 같은 것들의 실현과 거리가 멀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실시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일부는 포스트모디즘이라는 하나의 사유현상에서 찾으려는 사람도 있고 또는 거버넌스라는 공치 내지는 네트워크 통치에서 찾으려는 사람도 있고 NGO에서 찾으려는 사람도 있고 그리고 맑시즘에서 찾으려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 어떠한 해결이 가장 좋은 것인지는 아직까지는 그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 그러나 적어도 학문적으로나 실증적으로 전반적이고 포괄적이며 논리적으로 탄탄히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한 것은 맑시즘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듯 싶다. 따라서 아직까지도 사회과학을 한다는 사람에게 있어서 맑스는 꼭 한 번 넘어야할 거대한 산으로 다가오는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