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급 좌파 - 김규항 칼럼집
김규항 지음 / 야간비행 / 200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아주 평범하고 당연한 상식의 틀에 서 있다고 믿고 있다. 사실 그건 틀린 말은 아니다. 통계학의 어려운 정의를 빌리지 않고도 상식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이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그런 지식과 생각이라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각의 모습은 정규분포를 보일 것이고 그 영역을 크게 벗어나는 것은 드물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의 사회는 그 정규분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정규분포가 가장 자연스러운 확률분포이듯 우리 사회의 사상적 스펙트럼도 종 모양의 정규분포를 형성해야 하지만 분명 우리나라의 보통의 사상적 편차는 극단으로 종을 반으로 자른 모양, 때에 따라서는 오히려 가운데가 볼록한 것이 아니라 오목한 모양을 취하는 것이 우리의 사상적 확률분포였다.

그런 것을 깨닫게 된 것은 대학에 입학하고 얼마 안 있어서였다. 복지와 정의 그리고 진리와 같은 말들은 효율과 생산성 그리고 현실이라는 이름에 묻혀져 갔고 또 그런 것을 주장했다간 자칫 빨갱이로 낙인 찍여야 했던 것이 대학사회였다. 심지어 대학 내에서 진보주의적이라고 밝히는 무리들 마저 자신의 생각 이외에는 절대 받아들이지 않는 폐쇄적인 양태를 보인 것도 사실이었으며 가장 무서운 것은 좌파적이거나 우파적이거나 민족과 애국이라는 전제조건 아래에서는 그 둘이 너무도 흡사하게 꿍짝이 잘 맞았다는 점이다.

어쩌면 좌파와 우파라는 이름은 그들의 이해관계를 나타내는 하나의 학문적 기반일 뿐 그것이 진정한 좌파와 우파의 이념이 얼마만큼 실현되느냐는 그들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지 않나 생각해본다.

황우석 사태 때만 해도 그렇다.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 그 두 앙숙과 같은 사상적 격차 속에서도 황우석의 성과 앞에서는 마치 쌍둥이 형제와 같이 애국와 민족이라는 이름 앞에 얼마나 잘 어울렸던가? 그 앞에서는 진리나 진실은 더러운 그 무엇이었는지도 모른다

B급 좌파. 어쩌면 우리의 좌파는 진정한 좌파가 아닐런지 모른다. 단지 지식과 사상의 스펙트럼 속에 우파의 반대편에 서기 위한 하나의 자기의 의지와 상관없는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가장 안 어울리면서도 또 가장 잘 어울리는 파시즘적인 좌파가 생겼을지도 모른다.

그런 우리의 현실 속에서 진정한 진리와 파시즘을 싫어하는 좌파는 정통 좌파가 될 수 없었다. 그래서 B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