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 수학소설 골드바흐의 추측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지음, 정회성 옮김 / 생각의나무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부터도 '수학자'에 대한 이미지는 아주 복잡한 기호가 가득한 계산이나 하고 암호 같은 것이나 연구하는 그런 像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조금 덧붙이자면 영화 '레인맨'에 나오는 자폐증의 천재들이 순식간에 계산을 해내는 능력이 조금 있을 것 같달까....
이 책은 일반인이 평생 접해보지 못할 수학자들이 탐구하는 공식들이 많이 나온다.
별로 어렵지 않았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이다.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솔직히 뭔 소린가 하는 느낌이 드는 문장이지만, 책을 읽으면 쉽게 이해가 된다. 하지만 다 읽고난 지금 나보고 설명하라고 한다면 항복이다. ^^;;
저 명제가 아직까지도 증명이 되지않고 있는 '골드바흐의 추측'이라는 유명한 명제이다.
이 책에는 저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일생동안 매달렸던 수학자의 삶을 조카의 시각을 통해 잔잔히 설명하고 있다. 가장 좋았던 것은 수학자들이 하는 일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탁월한 계산기가 아니고, 증명하고자 애쓰며 오히려 수학보다는 형이상학을 탐구하는 철학자 같다. 책에서는 그들을 예술가와 오히려 흡사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읽어보니 정말 그런 것 같다. 오히려 철학자나 예술가 같은 '진리', '아름다움' 등을 추구하는 이들 같다.
특별한 이야기적인 재미는 없다. 그리고 본문만 240페이지 정도의 얇은 책인데 재미를 주는 소설같이 쭉 쉬지않고 읽을만한 책은 아니다. 짬짬이 몇 장씩 읽어나갔는데 그렇게 급하지 않게 읽으니 오히려 좋았다.
책에서 느낀 것은 수학자들도 '최고가 아니면 아무 것도 아니다'란 것이다. 수학자는 만들어지기보다 타고난다는 그들만의 격언도 충분히 이해가 된다.
자신의 꿈을 쫓기위해 달려가는 고독한 사람의 이야기를 여기서도 느낄 수 있다.
가장 좋았던 것은 막연했던 수학자들의 삶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그들이 하는 일들에 대해 피상적이겠지만 느낄 수 있었다. 고민하다 별은 3개 찍었다. 4개 찍을까 하다가 아무래도 이런 쪽에 호기심이 있지 않다면 힘들 것 같기에 3개다. ^^
수학자들의 삶을 느껴보고 싶다면, 그들이 하는 일들에 대해 맛보고 싶다면 좋다. 별로 어렵지 않다. 다만 계속 이어서 끝까지 읽는 것보단 짬짬이 조금씩 읽는 방법을 권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