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에게 갔었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신경숙 작가의 글은 늘 긴 여운을 줬다. 국어 교과서보다 더 자주 들여다봤던 그녀의 글. 덕분에 나는 한때 필사를 하기도 했다. 무언가에 푹 빠진 사람처럼, 쓰고 또 쓰고 쓰기를 반복했던 것도 같다. 그렇게 고등학생인 나와 대학생인 나는 신경국 작가의 글을 늘 주고 받았다. 한 달을 두고 읽고 또 읽어도 이상스레 매번 다른 느낌과 생각을 주었기에, 그 여운은 무척이나 오래 남을 수밖에 없었다.

장편소설 아버지에게 갔었어,는 띠지에 있는 한 줄처럼 익명의 아버지에게 보내는 메시지이다. 그 익명의 아버지는 내 아버지일수도 있고 당신의 아버지일수도 있다. 책 안의 아버지는 조금은 서로 다른 모습으로 내게 다가왔다.
대학 시절, 글이라는 것을 쓸 때 나는 아버지로 글을 쓰기 무척 어려웠다. 내가 쓰는 글에는 늘 가족이 등장하곤 했는데, 아버지보다는 엄마가 가장 먼저였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글을 읽으면서 아빠를 많이 떠올리게 된 것 같다. 어려서 잘 알지 못했던, 미처 깨닫지 못했던 아버지의 무게에 대해서 조금 더 오래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런 날에는 괜스레 아빠께 전화를 걸기도 했다. 여전히 무뚝뚝함이 흐르는 나이지만 말이다.
부모님을 떠나 살다보면 늘 그리움이 그윽하다. 엄마의 전화 한 통, 문자 한 줄 만으로도 가끔 마음이 따듯해지곤 한다. 그러다 어쩌다 한 번 부모님이 보내주시는 택배를 마주하곤 그 안에 든 김치며 반찬으로 부자가 되기도 한다. 그렇게 무한한 사랑으로 나의 오늘이 차오른다.

글을 읽으며 자주 울었다. 그 안의 아버지를 떠올리니 눈물이 났고, 한글을 배우느라 고생하셨을 익명의 아버지를 그리니 참 뜨거워졌다. 긴 문장 안에 담긴 아버지는 내게 따듯한 눈물로 다가왔다.
어떤 날은 전날 읽었던 책의 일부가 내 삶에 녹아들기도 한다. 그래서 책을 읽으며 느껴졌던 무수한 감정이꼭 나만의 것인양 나를 사로잡기도 한다.
활자의 힘이란 나의 생각이라는 것보다 더 큰 힘을 가지고 있기도 하여, 누군가의 가슴팍에 새살이 돋아나게 만들기도 한다.
신경숙 작가의 장편소설, 아버지에게 갔었어는 내게 긴 가뭄 속 단비같은 존재가 되어주었다. 첫 장의 "꿈을 이루셔요." 이 한 문장으로도 가슴이 벅차올랐으므로. 나는 앞으로도 오래 마음을 채우는 긴 여운으로 다시 필사를 하고, 꿈을 꿀 것 같다.
**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책을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