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네가 오고 있다 - 사랑에 대한 열여섯 가지 풍경
박범신 외 지음 / 섬앤섬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사람들은 잡스러운 것이 싫다면서 이렇게 여러 사람이 쓴 책이나 혹은 편집음반들을 멀리 하기도 한다.

원래는 그런 성향이 아니었는데 주위의 몇몇 사람들에게 그런 소리를 듣다보니 왠지 인기에 영합한 듯한 이런 대표작가들이 잔뜩 나오는 책은 덩달아서 안좋게 보는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원래 성향은 이것저것 비벼놓은 비빔밥을 좋아하는지라 우연히 이 책을 읽을 기회가 왔을 때 별다른 거부감 없이 그냥 읽어보기로 했다.

게다가 저기 오는 "네"가 무엇인지 궁금하기도 했던 것!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았던 것과 달리 이 책 안에는 곳곳에 보석들이 박혀있었다.

특히나 이제껏 윤대녕 작가의 작품을 한번도 읽어보지 않은 나에게 ,

"달에서 나눈 얘기"라는 그의 에세이라기보다는 소설이 회오리바람처럼 다가와서 엄청난 기세로 내 마음을 휩쓸어버렸다.

항상 글의 힘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데도 방심하는지 간혹 이렇게 호되게 당한다. 어찌 생각하면 이런 의외의 곳에서 만나는 글들이 나로 하여금 책을 항상 더 가깝게 하도록 만드는 지도 모르겠다.

이 짤막한 소설을 되풀이 읽다가 심지어는 영어로 혼자서 번역까지 했다. 외국인친구에게도 이런 좋은 글을 알려줘야한다고 생각해서 말이다. 그리고는 조그마한 인쇄물로 만들어서 선물해주었다.

거친 번역임에도 굉장히 좋은 글이라고 친구가 좋아하는 걸 보면서 조악한 번역이지만 저자에게 보내볼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윤대녕 작가 이외에도 다른 작가들의 글도 물론 모두 수작이었고. 그리고 이 책의 좋은 점은 작가 소개가 각각의 그 작가에 해당하는 글이 나올 때 옆에 같이 나오는 데다가 왜 이런 글을 썼는지 나중에 작가가 덧붙임을 해줬다는 데 있다.

물론 어찌보면 독자 고유의 해석을 방해할 수도 있지만 늘상 예술작품을 볼 때마다 왜 이 사람은 이런 표현을 했을까? 궁금하게 생각했던 나로서는 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구성이었다.

저기 네가 오고 있다! 라고 외치는 것처럼, 그렇게  두려움없이 사랑을 바랄 수 있다면 인생이  참으로 더 쉬워지련만, 실제의 삶에선 사랑은 마냥 반가운 존재가 아닌 듯 해서 아쉽다.

그래도 이 책을 읽는 동안에는 마냥 그 오고 있는 너, 사랑이 기다려졌음은 물론이다.

 

2007.7.18
ㅈㅇㅅㄹ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20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대단한 느낌입니다. 여러가지 맛깔스런 글들을 접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좋은 책 한권을 알아가는 군요. 번역까지 해주셨다는 외국인 친구는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란 생각이 듭니다. 부럽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