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서 <긍정의 힘>과 <시크릿>, <오프라 윈프리 쇼>가 긍정주의 전도사의 대표자역할을 하고 있던 시기. 우리나라도 그 이념을 열렬히 신봉하며 수많은 긍정주의 철학서를 발간하곤 했다. 그러나 딱히 기억에 남는 긍정주의 전도서가 기억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미국 전도서의 번역판정도였으며 내용도 대동소이 했기때문일 것이다.

 

한국판 전도서라면 긍정주의 이후의 힐링이었다. 이는 이미 충분히 난도질당하여 다시 찌르기도 민망할 정도다. 긍정주의와 힐링의 공통점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게 하여 더 위험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또한 나의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말하지만 실제로는 이를 위해 돈을 지불해야한다. 책 한 권을 사보는 것, 정신개조를 위해 세미나에 참여하거나 발우공양을 하러 떠나기 등 긍정 혹은 힐링을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마치 마약처럼 점점 그 약효를 오해동안 지속하려면 점점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력구제에 대한 실패역시 자력구제에 맞긴다는 점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세일즈 포인트라면 지식인의 자기고백이다. 그녀와 같이 박사학위를 받고, 시민운동을 하던 이도 암에 걸리고 실업을 하면 긍정주의의 손 내밈을 받는다. 그만큼 긍정주의의 손 내밈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렇듯 ‘나와는 달라 보이는 이’의 ‘나와의 동일한 경험’은 사람들의 마음을 빼앗는 경향이 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긴 하나, (요새는 이도 안하는 것 같지만) 몇 년 전만해도 기자들이 공장에 취직하거나 노숙을 하면서 체험기 등을 내민 적이 있다. 물론 그들의 노고는 알겠지만 그게 엘리트들의 가짜 경험이며 그 진짜 경험을 하고 있는 누군가는 기만당하고 있다는 오만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 있다. 이런 미묘한 지점에서 이 책의 ‘진짜 경험’은 확실한 세일즈 포인트다.

 

 “이들은 가두시위에 나서거나, 정치적 신념을 바꾸거나, 자동화기를 들고 직장에 나타나지 않는다.” - 본문 173p

 

본문에서 종종 나오는, 긍정주의를 받아들이는 것 말고 우리가 진짜 해야 할 것들로 들리는 제안들이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제안이다. 2008년 한국을 휩쓸었던 ‘짱돌을 들라’며 끝나는 책이 떠오른다.

 

하지만 짱돌을 든 결과는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비슷했다. 스스로가 99%라며 결집한 미국인들은 여전히 굳건한 금융자본주의아래 살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에게 ‘아침 이슬’을 듣게 만들었던 시민들에게 남은 건 집시법을 위반했다는 고지와 벌금이었다. 짱돌을 들 힘이 없어 조용히 촛불을 들고 있는 것이 최대한이었다. 그렇기에 그녀의 대안은 매력적인 사례들과 현상 분석에 비해 힘이 달렸다. 하기사, 누군가 매력적인 대안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11p. 긍정주의는 원래 가혹한 자기성찰을 요구하는 철교도적 칼뱅주의에 반발하는 `신사상 운동`으로 태동했지만 20세기에 들어와 소비자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이데올로기로 탈바꿈한다. (한명숙의 추천사 중)

24p. 희망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감정 상태이자 갈망이다. 반면 낙천주의는 인지 상태이며 의식적인 기대이므로 누구든 수련을 통해 개발할 수 있다.

65p. 이라크 전의 병력 증강을 두고 `배타적 증폭`(자기와 생각이 같은 사람들의 말만 들음으로써 판단 착오나 실수를 강화시키는 것)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그 말을 그대로 적용해도 좋다. 마음이 몸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 얼마나 신나는 생각인가? 행동과학자들이 그렇게 해서 열차에 올라탈 표를 거머쥔 것이다. 암 관련 연구에는 엄청난 이해관계가 걸려 있고, 행동과학자들은 거기 매달릴 수 밖에 없다. 그들이 암퇴치를 위한 연구에 달리 어떠게 기여하겠습니까?

72p. 그 이데올로기는 현실을 부정하고, 불행에 즐겁게 굴복하고, 닥친 운명에 대해 오직 자기 자신을 비난하라고 말한다.

81p. P.T. 바넘효과: 19세기 말 곡에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을을 알아맞혔던 인물.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으로 여기는 경향을 `바넘 효과`라고 한다.

107p. 수많은 사람들이 그걸 믿고 있기 때문에 양자물리학을 그릇되게 적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서 좋을 것 없다고 말했다.

125p. 칼뱅주의를 믿는 영혼, 혹은 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은 영혼은 진짜 일, 그러니까 `특별한 일`이 없으면 자기혐오로 자신을 소진시킬 수밖에 없었다.

133p. 칼뱅주의는 사악한 성향을 이유로, 긍정적 사고는 `부정성`을 이유로 자아를 공격한다.

140p. 이제 긍정적 사고는 불안한 사람을 위한 진정제, 심리적인 문제를 겪는 사람을 위한 치료제에 머무르지 않는다. 긍정적 사고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된 의무가 되었다.

165p. 적절한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해, 혹은 더 인간적인 기업 정책을 요구하기 위해 사회운동에 참여할 수도 있지만 그러려면 평생 노력을 바쳐야 한다. 지금 당장 가능한 것은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 뿐이다.

168p. 무엇보다 정리해고는 돌연히 전면적으로 실시해 희생자들이 해고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불만을 전염시킬 시간을 주지 않는 것이 관건이다.

173p. 아름다운 포스터와 멋진 문구만으로 의욕이 샘솟는다면 당신은 몹시 쉬운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곧 로봇이 그 일을 하게 될 것이다.

172p. 한편으로 노먼 빈센트 필 방식의 구식 긍정적 사고와의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해 코치들은 "훌륭한 팀원은 예외없이 긍정적인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늘 미소 띤 얼굴에 불평은 한 마디도 하지 않고, 지나친 비판을 경계하며, 상사가 어떤 요구를 해도 우아하게 따르는 그런 사람 말이다.

202p. 요즘에는 어디를 가든 `유인제공`이나 `부가가치`같은 기업 용어와 맞닥뜨리게 된다. 똑같은 지휘 계통에, 똑같은 책상 배치에, 미학을 경시하는 똑같은 밋밋한 기능주의에 똑같이 동기유발 및 인위적으로 조성된 팀 정신에 의존하는 것 천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