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교양을 읽는다 1 - 개정판, 종합편, 바칼로레아 논술고사의 예리한 질문과 놀라운 답변들 휴머니스트 교양을 읽는다 3
최병권.이정옥 엮음 / 휴머니스트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의 교양을 읽는다>라는 거창한 제목의 책을 선뜻 구입한 것은 말로만 듣던 바깔로레아 논술고사가 대체 무엇인가 라는 순수한 호기심과 더불어 대입논술을 가르치기 위한 기초자료수집이라는 실용적인 이유에서였다.

인간 / 인문학 / 예술 / 과학 / 정치와 권리 / 윤리 등 6개 영역의 철학적 논제들과 그에 대한 모범답안들로 이루어진 본문의 내용은 문답식의 딱딱한 형식에도 불구하고 대학입학 논술고사라는 용도에 비추어 내용이 주는 충격은 기대이상이었기 때문이었는지 읽기에 속도감이 붙어 어렵지 않게 책을 덮었다. 더구나 나와 같이 실용적인 이유에서 책을 구입하였다면 몇 가지 써먹을 만한 중요한 소스를 찾아내는 재미도 쏠쏠하다.

최근 7차 교육과정에 들어가면서 개선된 부분이 여럿 존재하지만 여전히 공교육은 비효율의 극치이며 비대화된 사교육 역시 학생들에겐 또 하나의 억압기제일 뿐이다. 이것이 예전의 비책들이 그러했듯이 향후 몇 년 동안 개선될 여지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만약 우리나라 대학의 논술고사가 갑자기 바깔로레아 수준이 된다면 결국 또 하나의 고급 사교육 시장을 만들어 계급 재생산 구조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는 결과만을 낳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프랑스를 부러워해야 함은 바깔로레아와 같은 시험이 아니라 그러한 시험을 가능하게 한 프랑스의 탄탄한 공교육 구조, 그리고 그 저변의 공평에 근거한 교육이념과 성숙한 사회의식 등에 맞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 책의 편집의도를 짐작하게 할 머리말의 몇 부분은 어이가 없을 정도로 당황스럽다. '무국경의 세계화', '지식경쟁의 시대', '이 시대 승자클럽', '새 시대의 하인이 아니라 주인이 될 높은 자질의 국민' 운운하는 신자유주의와 국가주의의 절묘한 고리타분함의 배합이란. 바깔로레아에 나타난 이른바 당신들이 말하는 교양이라는 것이 과연 그러한 것에 써먹는 것인가? 제발 품위있게 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구두 2004-03-30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도님!
마지막 구절 "제발 품위있게 살자"를 읽고는 추천 안 누를 수가 없군요, 흐흐.
그런데 언제 옷 입으실 건데요? 흐흐,

도도 2004-05-18 2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쿄쿄~ 몸만 벗은거지.. 맘까지 벗은건 아니요..(어디서 많이 들어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