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가 드물다는 질곡의 현대사를 살아왔던 우리, 한국전쟁은 어떻게 이후의 우리사회를 규정하여 왔는가?
 |
우리 사회는 아직 전쟁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한국전쟁의 경험은 우리 현대사에서 계속 반복, 재생되어 왔다. 한국전쟁 연구의 출발점. |
 |
'다현사'로 대학가에 널리 알려졌던 의식화(?) 교재. 아직 읽지 않았다면 통째로 엎어질 각오를 해야할 것. |
 |
한 민족주의 역사학자의 6.25 체험기 개전초기부터 수복까지의 당시 서울의 상황을 개인적으로 소회하면서도 역사학자의 시선을 잃지 않고 있어 사료로서도 유용하다.
|
 |
두말할 나위 없는 분단문학의 최고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