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2 - 고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2
김도환 지음, 장선환 그림 / 한겨레출판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의 맥락을 제대로 잡는 통사책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이번주에는 고려에 대해 읽어보았습니다.

 


 

1.jpg


 

전체 5권 구성의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시리즈는 선사시대와 삼국, 고려, 조선전기, 조선후기,

근현대사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한 권 안에 고려역사가 다 설명될 수 있을까?

읽기 전에는 사실 걱정이 앞섰는데 읽어보니 괜한 걱정이었어요.


역사와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꼼꼼히 서술하고, 정치사를 중심으로 사회.경제.문화 분야와의 균형감이


잘 드러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한국사를 중심으로 아시아와 세계사를 아우를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사실 한국사만 떼어놓고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잖아요.

역사를 전체적인 시야로 볼 수 있는 책이라고 할만 합니다.

 

 

 

 


 

2.jpg

 

 

1권에서 후삼국의 이야기까지 진행되었는데 2권은 태조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이후부터 시작됩니다.


이야기의 흐름이 매끄럽게 이어지고 한 권이 끝나면 다음 권 이야기가 기다려지더라구요.


고려역사를 크게 고려초기의 사회와 제도, 귀족사회의 성립과 발전, 무신정권, 고려와 원나라,


공민왕의 개혁과 고려의 멸망, 다섯 카테고리로 구분해놓았습니다.


카테고리 제목만 봐도 고려의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들이 그려지네요.

 

 

 

 

 

 


 

3.jpg

 

각 장 첫머리마다 해당 시기의 간략한 연표가 수록되어 있어서 시간순으로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4.jpg

 

 

태조 왕건의 초상화는 처음 접해봐요. 저는 늘 예전 TV드라마속 주인공 얼굴이 상상됐었는데,


제가 생각하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네요. ㅎㅎ


사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그려진 태조왕건 어진들은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모두 사라졌다고 해요. ㅜ


다만, 개성 왕씨 족보에 태조왕건의 어진을 베껴 그린 그림을 참고해 그렸다는 초상화가 실려있어서


그 모습을 짐작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5.jpg

 

태조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낮추고 호족들을 대우해주는 정책을 썼습니다.


태조는 호족세력을 끌어들이고 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세력이 큰 호족의 딸들과 결혼을 했는데,


부인이 무려 29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고려 건국시 정책을 보면 태조의 이러한 생각이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6.jpg


 

고려의 건국과정을 그림으로 묘사해놓은 부분입니다.


효과적으로 전후 맥락을 이해하고 내용을 기억하기 쉬워서 마음에 드는 부분이에요.


글로 읽고, 그림으로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면 어려운 역사도 구조화되어 더 쉽게 기억된답니다.

 

 

 

 

 

 

 

 

 

7.jpg

 

고려하면 왕건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광종도 기억해야 할 왕이에요.


왕건이 죽은 후 왕위다툼으로 어수선하던 때...... 광종이 왕위를 물려받습니다.


두 형의 불행한 죽음을 겪은 광종은 호족의 힘을 줄이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그 동안 써 오던 중국 연호를 버리고 '광덕'이라는 고려만이 새로운 연호를 사용하고,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힘을 약화시켰습니다. 또한 과거제도를 통해 새로운 인재를 많이 등용하였습니다.

 

 

 

 

 

 


 

8.jpg


 

고려의 도읍 개경의 모습입니다.


한 폭의 옛그림을 보는 듯 편안한 느낌입니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에요.


지도를 자세히 보면 각 건물의 위치를 설명해주고 있어서 당시 개경의 모습이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9.jpg


 

10.jpg


 

고려 초기의 중앙정부 조직과 군사제도를 도표화 하여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나타내줍니다.

 

 

 

 

 

 


 

13.jpg

 

성종은 어려서부터 유교를 열심히 공부했고 왕이 된 뒤에는 고려의 제도를 유교적 틀에 맞추어 다듬었습니다.


'성종'이라는 묘호를 받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대개 '성종'이라는 묘호는 나라의 기틀을 다진 왕에게

붙이는 이름입니다. 성종 때 나라가 안정되자 많은 호족들이 개경으로 와서 벼슬자리를 받으려고 했습니다.


이들은 아들과 손자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벼슬자리를 이어 받아 문벌귀족을 이루었고, 문벌귀족은


고려의 중심세력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14.jpg

 

 

<역사발자국> 코너에서는 삼국사기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삼국사기는 지금까지 남아있는 우리나라 역사책 가운데 가장 오래된 책이에요.


삼국사기는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과 10여 명의 관리들이 함께 쓰고 펴낸 책입니다.


책임자인 김부식과 관리들은 유교를 공부한 유학자로 삼국사기에는 유교적 색깔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일어난 역사는 좋고 나쁘고를 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서술했고, 이에 반해 신화나


전설 등은 줄이거나 아예 서술하지 않았다고 해요.

 

 

 

 

 

 


 

15.jpg


 

16.jpg

 

 

묘청의 난 이후 고려가 한동안 편안해지자 문벌귀족들은 어려울 때의 일을 잊고 사치스럽게 생활했고,


전쟁이 없다보니 군인인 무관에 대한 대우도 차츰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불만이 쌓인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문관들을 죽이고 권력을 잡았습니다. 이후 100여 년 동안


무신들은 권력을 놓고 서로 다투며 나라를 어지렵혔습니다. 이것이 바로 무신정권입니다.

 

 

 

 

 

 


 

17.jpg

 

무신정권 성립과정을 그림으로 쉽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코너는 한 눈에 역사적 사건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정말 유용한 것 같아요.

 

 

 

 

 

 


 

18.jpg

 

 

무신들이 백성들을 돌보지 않고 권력다툼에만 집중하다보니 백성들의 형편은 아주 나빠졌습니다.


이에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특히 낮은 신분에서 벗어나려는 민란도 많이 발생했습니다.

 

 

 

 

 

 


 

19.jpg

 

고려에 무신정권이 들어섰을 때, 몽골 초원에서는 테무친이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힘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금나라와 송나라는 서로 힘을 겨루느라 몽골이 힘을 키우는 것을 막지 못했습니다.


그 사이 태무친은 몽골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칭기스칸의 자리에 올랐고 이후 서쪽으로는 유럽과 아라비아반도 부근,


남쪽으로는 인도와 베트남의 북쪽까지 이르렀습니다. 인류 역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대제국이 되었습니다.

 

 

 

 

 

 


 

20.jpg

 

 

당시 몽골의 위세는 전 세계를 위협할 정도였습니다. 이는 고려시대의 무신 정권과도 맞물려 있기에


꼭 읽고 넘어가야 할 세계사의 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에서는  몽골의 역사도 몇 장에 걸쳐 할애하고 있습니다.


한국사책 속의 작은 세계사라고 할만 합니다.

 

 

 

 

 


 

21.jpg


 

대장경이란 '석가모니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 모음'으로 고려에서는 두 번에 걸쳐 목판 대장경을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는 거란이 침입했을 때이고, 두 번째는 몽골과의 전쟁을 치를 때였습니다. 이렇게 정성을 들여


부처님에게 빌면 소원을 들어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만들어진 대장경 목판이 모두 8만여 개나 되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릅니다.

 

 

 

 

 

 

 

 

22.jpg

 

 

무신정권과 몽골과의 전쟁, 원나라의 간섭을 거치면서 고려 사회는 크게 변해 갔습니다.


권문세족이 고려의 지배층이 되었고, 이들의 횡포로 백성들의 삶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공민왕의 원나라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고 권문세족을 억누르기 위해 노력했지만, 노국공주의 죽음 이후


신돈에게 정치를 맡겼고 급기야 공민왕의 개혁을 반대하는 신하들 손에 죽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23.jpg

 

 

선죽교의 이야기를 쭉 따라 읽어갑니다.


이방원과 정몽주가 서로 주고받았던 하여가와 단심가는 지금까지 두고두고 명시로 꼽히고 있죠.


실제 선죽교 사진을 보며 시를 읽어보니 더욱 생생하게 당시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개성에 있는 선죽교, 언제쯤 직접 가볼 수 있을까요?

 

 

 

 

 

 


 

24.jpg


 

한국사 연표와 찾아보기 코너로 역사 속 어려운 어휘나 인물도 바로 찾아볼 수 있으니


초등학생들에게도 활용도가 높은 한국사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