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유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희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더 이상 <소유>는 필요치 않다. 물건은 빌려 쓰고 인간의 체험까지 돈을 주고 사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단계가 시작되었다. "
이 책의 맨 뒤편에 써 있는 말이다.
저자는 자본주의가 소유의 단계를 넘어, "접속" 과 "체험"을 사고 파는 단계로 이행되었음을 이야기한다. 여기서 접속이란 단순히 인터넷, 네트워크의 접속 뿐만 아니라, 모든 경험과 체험에 대한 접속을 이야기한다.
가령 과거에는 집을 "소유"하고 자동차를 "소유"하는 것이 중요하였다면, 점차 집을 렌트하고 차를 렌트하는 다른 말로 하면 집을 빌려 경험하고 차를 빌려 경험하는 것이 중요해 진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거대 쇼핑몰에 의한 광장의 대체, 문화 체험 관광, CID에 의한 폐쇄된 공동체 및 서비스로 변화하는 재산 등 과거 소유해야 경험할 수 있었던 것들이 경험 그 자체를 판매하고, 그러한 경험에 접속권을 판매하는 산업으로 변화함을 이야기 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의 경제가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체험이 점차 상업적 네트워크로 변질되고, 이에 대한 접속권한이 중요해지면서, 이는 앞으로 모든 관계에 있어 체험은 돈을 내야만 하는 세상으로 변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이야기 한다.
이러한 접속과 체험 중시 경제는 기존에 우리가 가지고 있던 다양한 문화를 상품화하고 이는 문화의 대중화를 넘어 획일화하고 일회성으로 소모시킴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을 고갈시킬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자본주의는 그 제도 자체보다도 그 뒤를 떠 받치고 있는 시장 참여자간의 신뢰관계가 중요한데, 체험중심 경제는 이러한 신뢰관계의 위기를 가져오고 이는 자본주의 자체의 위기가 될 것이란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이미 10여년 전에 쓰여졌던 저자의 주장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보면, 저자의 주장이 많은 부분
미래를 잘 예견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그가 그린 미래의 모습이 이미 많이 현실화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다만, 리프킨이 그리는 미래의 모습에 대해 어느 정도 동감하지만, 그 작동 원리에 대한 해석에는 약간의 이의가 있다.
재산의 서비스화, 공동 재산화 등에는 동의하지만, 이는 소유의 관계가 희박해진다기 보다는 과거에는 소유권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던 부분에까지도 점차 광범위하게 소유권이 확산되고 있다고 본다.
이로 인해 과거 무료로 향유할 수 있었던 부분까지도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제로 이행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적 체험을 제한하고, 체험의 획일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체험과 접속에 대한 소유권을 획득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간의 격차를 확대시킬 것이란 것이 개인적 의견이다.
즉 "소유의 종말"이라기 보다는 "소유의 확대"가 맞는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