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의 법칙 - 함께 승리하는
존 맥스웰 지음, ㈜웨슬리퀘스트 옮김 / 21세기북스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20세기의 인간관계론은 카네기가 도맡았지만, 21세기의 인간관계론은 이제 맥스웰이 전담할 것이다. 미국 복음주의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탑리더 중의 하나로서 명망이 높았던 그이지만(명성 높은 대형교회인 스카이라인 교회의 담임 목사 역임), 작금에 와서는 리더십 전문가요 사업가(INJOY 그룹의 설립자)로 더 명성이 높은 맥스월은 이제 자신의 교육 사업을 리더십에서 포괄적인 인간관계로 확장하고 있다. 마치 화남금녀의 존 그레이가 남녀애정상담에서 인간관계교육으로 확장해나가는 것처럼 말이다.


맥스웰의 소통능력의 탁월함은 명확한 표현력과 체계적 구성력, 그리고 풍부한 사례제시에 기인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의 삶을 통해 체화되고 검증된 것들을 전달하는 데에서 그의 탁월함의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맥스웰 스스로 인정한 것처럼 그가 인간관계의 모든 것을 체득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나, 우리(독자)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저자) 모두에게 준엄한 교훈으로 다가오는 것만을 소개한다. 자신이 먹어보아 독이 없고, 몸에 좋다고 판명된 것만을 그는 제공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 맥스웰이 강조하는 것 중 개인적으로 크게 공감하고 있는 것 몇 가지에 국한하여 살펴보겠다. 첫째, 거울의 원칙에 나오는, ‘거울 테스트’에 대한 부분이다. 그는 다섯 가지의 명제로 정리될 수 있다. 내가 가장 알아야 할 사람은 나 자신이다. 내가 가장 잘 지내야 할 사람은 나 자신이다. 나를 가장 괴롭히는 사람은 나 자신이다. 내가 가장 변화시켜야 할 사람은 나 자신이다. 무언가를 해낼 수 있는 첫 번째 사람은 나 자신이다. 이는 다시 자아 인식, 자아상, 자기 정직, 자기 성장, 자기 책임감으로 바꿔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공자가 말하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다. 내가 바뀌면 모든 것이 바뀐다. 혹은 내 밖의 환경은 바뀔 수 없으므로 유일하게 내가 바꿀 수 있는 나 자신에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나중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이는 절반의 진리와 절반의 왜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다음으로 카리스마의 원칙. 이 장의 도입부에 소개하는 필리즈 부인의 예화는 퍽 인상적이다. 천성적으로 사람을 좋아하고,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을 중심으로 대화를 이끌어가는 그녀의 모습은 훌륭한 역할 모델이다. 위싱턴 사교계의 여왕, 펄 메스타가 오는 손님에게는 “이제야 오셨군요!”라고 하고, 떠나는 손님에게는 “이렇게 일찍 가시다니 너무 서운해요”라고 하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국 카리스마라고 하는 것을 남을 밟는 것이 아니라 남을 세워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맥스웰은 카리스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카리스마가 없는 사람은 사람들 속으로 걸어 들어가며, “나 왔어”라고 말한다. 카리스마가 있는 사람은 사람들 속으로 걸어 들어가며, “다들 여기 있었군”이라고 말한다.”(121쪽) 내 주변의 사람들이 내게 원하는 것은, 실상 “내가 그들에게 관심이 있고 또 그들을 도우려 한다는 사실을”(122쪽) 확신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면에서 접근성의 원칙과 연결되는 접점이 발견되는데, 곧 이는 관계 맺기 위해서는 우리가 다가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우리의 수고를 요하는 일이다. 『피너츠』에서 찰리 브라운이 “난 인류는 사랑하지만 인간은 싫단 말이야!”(193쪽)라고 하는 것도 놀랄 일은 못된다. 그것은 한갓 유머를 넘어서 우리 자신에 대한 통렬한 풍자이다. 결국 우리가 주도권을 쥐고 다가가야 한다. 상대에게 원하는 것을, 우리 자신이 먼저 줘야만 한다.


이 책이 보여주는 중요한 통찰이 바로 우리 자신의 자율성에 입각한 주도적 실천이다. 우리가 먼저 실행해야 남들도 반응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제기되는 문제가 그렇다면 어떻게 동력을 끌어내느냐의 문제이다. 바로 이것이 이 책의 단점이며, 한계이다. 인간관계 형성의 원천(영성)이 공백으로 남아있다. 저자는, 기독교인이기에 아마도 신앙을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우리들은 -다른 종교들을 포함한- 범(凡)영성적 견지에서 접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무엇이 됐건 간에 그 에너지의 원천이 누락되어있다. 아니, 원천 자체가 무언지는 중요하지 않다(이 책은 종교를 변론하기 위한 서적이 아니다). 정말 요구되는 것은 에너지를 얻는 방법인데, 이 책은 그 점에 대해 주목하지 않는다.


또한 인간관계가 구현되는 장인 이 세상 내의 왜곡된 권력 구조의 비판(정치)이 결여되어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필시 저자가 기독교 계통에서 활동하는 성직자라는 것과 긴밀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기독교의 역사를 보면 콘스탄티노플 이후로 사회 구조를 건드리기보다는 그 구조의 존속(소위 status quo) 안에서 인간관계를 포함한 개인윤리에 치중한 편이다(물론 예외적 사례가 꾸준히 존재해왔지만, 그것은 언제나 주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이 또한 일종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 할 수 있겠는데, 결국 모든 문제의 해법이 내 안에 있는 셈이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내 영향력의 반경이 한정되어있는 관계로 내가 변화될 시의 파장 역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끝으로 책에 등장하는 작은 교훈 하나만 지적하자. 좀 사소해 보이지만, “나는 훌륭한 책을 읽고 거기서 많은 도움을 받으면 저자에게 잊지 않고 감사의 말을 전한다(110쪽)”는 그의 말에 공감하고, 앞으로는 매번 그렇게 해야겠다는 다짐하는 바이다(종종 이렇게 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습관으로 자리한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