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일, 더, 많은 숫자의 지배 - 숫자로 이루어진 세상에서 똑똑하게 사는 법
미카엘 달렌.헬게 토르비에른센 지음, 이영래 옮김 / 김영사 / 2024년 2월
평점 :
하루 3번, 3분 이상 양치 해야 한다는 교육을 받던 저는 외국인들이 회사에서 점심시간 이후 양치하는 한국인들에게 놀랐다는 이야기를 보고 더 놀랐어요
사실 칫솔양치보다 치간치실로 치아 사이를 청결히 하는게 중요하다고 해요
저는 하루 3번 칫솔양치 안 하면 충치!!하고 죄책감을 가져요
실질적인 청결보다 하루3번3분이상에 더 기억이 잘 나는 걸요!
왜 그럴까요?
그건 숫자로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기억하게 되니,
치실이라는 단어보다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매일, 더, 많은 숫자의 지배에서
그 해답을 찾았어요
p. 58
뇌의 전두엽 바로 뒤에 있는
마루엽속고랑(Intraparietal Sulcus, IPS)
뇌스탠을 통한 연구에서, 수를 보거나 생각할 때, 깊이와 거리를 가늠할 때!
이 공간, IPS가 활성화 되었어요
게다가 생후 6개월의 아이도,
북소리 3번 들으면, 점 3개 그림 쪽으로 본답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수에 반응하고 있습니다
이 본능을
현대 문물은 더 부추기고 더 예민하게 만들고 있죠
손에 들고 있는 폰이 각 앱의 사용시간을 알려주고
손에 매달린 시계가 심박수, 걸음수를 측정하고
개인 사진의 좋아요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현대이니깐요
매일, 더, 많은 숫자의 지배에서는 이런 상황을 “비교지옥”이라고 칭합니다 맞는 말이죠 특히 한국은 더 해요! 모두들 인정하시죠?
숫자는 객관적이고, 거짓말도 못 하고, 악의라고 없죠
하지만 숫자를 쓰고, 보고, 해석하는 건 사람입니다
사람은 주관적이고 때론 거짓말도 악의도 품죠 그리고 선입견도 있죠
숫자에 대한 사람들의 환상 중
2,4,6,8…은 여성을 떠올리고,
1,3,5,7…은 남성을 떠올린답니다
수의 비약!
3,7은 행운의 숫자, 중국에서는 8이 행운의 숫자죠
한국과 일본에서 4는 안 좋은 숫자지만 정말 그럴까요?
매일, 더, 많은 숫자의 지배에서는
이런 숫자에 대한 선입견, 고정관념, 확증편향과 같은
섣부른 생각에 대한 백신을 줍니다
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라
수는 영원하지도, 보편적이지도, 객관적이도 않다
수는 항상 정확하지도 않다
수가 정밀하다는 것이 그 수가 정확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는 어떤 의미에서는 거의 항상
주관적이다
수를 측정하고, 해석하는 것은 사람이니깐
기사에서 보는 통계수치
내가 한계치라고 생각한 달리기의 거리/시간
내 나이에 이걸 어떻게 해 하고 포기한 일
인스타의 하트에 울고 웃는 시간들
모두 숫자의 함정일 수도 있어요
의심하세요!
출판사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자유의지로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