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수 애장판 1~8(완결) 세트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기생수를 보다 처음으로 떠오른  그림은 바로 고야의 <아들을 잡아먹은 사투르누스>

 사투르누스는 자식이 태어나면 자신의 모든 것을 빼앗아간다는 예언을 듣고 태어나는 자식들을 모두 잡아먹었다는 신화속 주인공이다.  기생수는 살기 위해서 사투르누스는 자신의 힘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



  신이치에 기생하는 오른쪽이를 보는 내내 바로 떠오르는 내가 좋아하는 인물 하나 .....

 

  원피스의 루피.... 그의 고무 몸뚱이가 얼마나 신기하고 기발했던가? 한도 끝도 없이 늘어나는 두팔를 비롯한 몸뚱이. 신이치는 오른쪽 팔만 만능이다.  일본 만화에서 인간과 로봇의 합체에서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서로다른 종끼리의 합체로 발전했달까? 원피스는 식물열매와 인간 몸과의 합체. 열매가 인간의 몸에 뿌리를 내리면 악마의 열매 능력자가 되는 거랄까?

  신이치의 오른쪽이를 알고 루피를 만났다면 오다 에이치로의 상상력도  순수한 오리지널리티는 아니었던거다.

고토및 기생수들의 모습은 베르세르크 속의 괴물들을 떠올리게 한다.

 기생수와 한 몸으로 살게 되면서 감성이  마른 우물이었다가 갑자기 폭주해서 제어가 안 될 때도 있는 신이치는 상처받고 극복하지 못한 순정만화 속의 인물들을 떠오르게한다. 마르스의 마키오가 내내 생각났다.

 

 

    어느날 갑자기 벌레들이 나타나 인간의 몸 속으로 들어가 몸을 점령하고 인간을 먹이로 먹는다. 그들은 인간의 뇌를 장악하라. 그 다음에는 인간의 수를 줄여라라는 본능적인 신호를 받고 있다. 그 점만 빼면 영화 맨인 블랙과 꽤나 닮았다. 인간인지 외계인지 겉만 봐서는 모른다.  인간인지 기생수인지 겉만 봐서 모른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들에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는 만화 - 기생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