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친구 엘링입니다 - 시즌 1 엘링(Elling) 1
잉바르 암비에른센 지음, 한희진 옮김 / 푸른숲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나는 내 친구 엘링입니다 --잉바르 암비에른센



이 책은 나이 서른 살이 넘었지만 궁금한 점이 많고 호기심이 많은 조그만 일에도 불안하고 안절부절못한 어린아이의 정신력을 가진 순수한 사람 “엘링”을 주연으로 쓰인 노르웨이 연작소설 첫 번째 이야기 “나는 내 친구 엘링입니다”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엘링’은 엄마가 돌아가신 후 이 세상에 혼자 남게 되고, 바깥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자기가 어떻게 살아야할지 아무것도 모른다. 그러나 아주 사소한 일에도 신경을 쓰고, 궁금해지고 자기 혼자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한다.



나만의 생각이란 것은 맞다 틀리다 없이 나름대로 생각하고 판단하면 되는 것이다. ‘나는 내 친구 엘링입니다’ 책에서 저자 잉바르 암비에른센은 주인공 엘링을 통해 인간들의 모습을 투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리들은 일초 일분에도 수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 나름대로 판단을 하며 살아간다. 그 모든 생각들이 보여줄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책에서 보이는 엘링의 모습은 곧 우리들이 모습일 것 같다. 단지 표현하거나 들어내지 못할 뿐이다.



어느 날부터 엘링은 옆집 사는 사람의 생활을 관심 갖게 되고, 그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어떤 사람일까, 어딜 갔을까 계속 궁금해진다. 엘링이 생각하는 멋진 사람들도 곁 모습만 멋지고 각각의 약점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엘링도 자기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길 좋아하는 사람이란 걸 깨닫게 된다. 이웃들이나 사람들의 대한 호기심이 많은 엘링은 망원경을 통해 누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게 된다. 어떤 날에, 경찰 공무원이 와이프를 폭행 하는 모습을 망원경을 통해 보고 화를 낸다.



“나는 시위 도중에 시위대원 하나가 녹이 슨 쇠사슬에 묶여 승마용 채찍으로 한 대 얻어맞았다고 해서 ‘폭력 경찰 물러가라!’를 외치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대부분의 경찰들이 투철한 책임감을 갖고 어려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한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신선한 과일 광주리에도 썩은 사과가 끼여 있기 마련이다.”--엘링



엘링은 현대사회의 잘 못한 점을 쿡쿡 찌르고 있다. 도둑질, 폭력, 이혼 같은 것을 왜 하는지 이유가 궁금해지고 자기 스스로 판단한다. 엘링은 누군가가 폭행하고 있을 때 모차르트의 조용한 음악이 흘러나오면 어떨까 궁금해 한다. 



우리들은 조용히 차를 마시며 책을 읽고 있는 사람 가운데 가서 소리를 찌르지 않으며 시끄럽고 정신없는 자리에서 책을 펼친 경우도 무척 적다. 서로 말 다툼 하거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을 때 술(!)을 마시며 내 속에 있는 이야기를 털어놓은 우리들의 문화가 그냥 생기는 게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됐다. 어떤 분위기에서 어떤 결과를 나올지 미리 알면 위험한 상황에서 나를 보호하는 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 하게 됐다.



“요즘 이혼에 관한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누가 설거지를 할지, 누가 마지막 남은 감자를 먹을지와 같은 사소한 다툼이 가정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불만족스러운 섹스, 둘 중 한 사람이 오르가슴을 느끼지 못했다는 사실도 심각한 이혼 사유가 된다.”--엘링



저자 잉바르 암비에른센은 이 세상에 엘링 같은 순수하고 소심한 아이들이 많으며 곁 모습은 멋지고 아름다운 사람들도 약점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녀교육을 대해서 큰 고민에 빠진 우리들에게도 아이들을 어렸을 때부터 가르치고 강하게 키우지 않으면 엄마가 돌아가신 후 엘링이 적응하기 힘든 것 같이 우리 아이들도 세상에 적응하기 무척 힘이 든다는 커다란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ut your troubles in a pocket with a hole in it."

--Old Postcard


We always have ups and downs.
Sometimes we are very happy and
sometimes sad. Troubles are problems
and difficulties. We can't avoid from 
different kinds of difficulties and problems.

What we can do is cope with our difficulties
and sometimes just let them g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청소부 밥
토드 홉킨스 외 지음, 신윤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전 쯤에 읽었던  책에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 어떤 사업가가 매일 너무 바쁘게 열심히 일을 하고, 밤도 세우고, 일요일도 일을 하기 때문에 자기만의 시간이 거의 없었다. 큰 성공한 사업가이었다.  어느 날 결혼을 했지만 바로 다음날 자기가 결혼했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렸단 것이다. 이 세상이 얼마나 바쁘게 돌아가고, 우리들이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 쫓아다니려고 얼마나 힘을 쓰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청소부 밥” 책에서 청소부 밥이 들려주는 6가지 이야기를 인상 깊게 읽을 수 있다. 그 이야기들의 키포인트를 본다면 아래와 같다.


1. 지쳤을 때 재충전하라 Recharge versus discharge

2. 가족은 짐이 아니라 축복하다 View family as a blessing, not a responsibility

3. 두덜대지 말고 기도하라 Pray; don't pout

4. 배운 것을 전달하라 Pass it around

5. 소비하지 말고 투자하라 Don't spend; invest

6. 삶의 지혜를 후대에 물려주라 Leave a legacy


우리들은 어쩔 수 없이 또는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을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 할 때가 많을 것 같다. 지치고 힘들 때 재충전하기 위해서 더 지친 일들에 빠진 경우도 적지 않는 것 같다. 이렇게 생각하고 힘들어하고 있는 로저(Roger)가 청소부 밥이 들려주는 이 이야기를 듣고 가족과 인터에서 큰 성공을 얻으며 가족은 짐이 아니라 축복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청소부 밥이 자기 와이프한테 배운 것을 친구가 된 CEO Roger에게 전달했듯이 CEO Roger도 자기가 배운 6까지 지침들을 자기 이웃에게 들려준다. 작은 책이지만 크고 커다란 의미 있고, 우리들의 삶에서 꼭 배워야 할 것들이 담겨있는 소중한 책이라고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ew year comes and goes. But it doesn't just come and go, it brings new hopes and desires. Every year, we make some tasks or duties and do our best to fulfil it.

 

Lunar New Year! it was totally new for me for the first time. We also have lunar new year in Nepal but we don't celebrate it. We just have one day holiday. We don't think this day as a festival like we do here in Korea.

 

Time passed and I have celebrated lunar new year holidays about nine times here in Korea. It's one of the biggest festival here in Korea and we'll have at least three days to one week holidays. I had five days holiday this year including Saturday.

 

It had started by 6th of February. February 5th was my working day. After my work, I visited to my brother's dormitory. There were other Nepali brothers and sisters. Had my dinner with them and talked until midnight.

 

On 6th, they left that home. Actually, that house was pretty good with three rooms with a good kitchen. But the boiler in that house was not in order. Every room was just like ice even they on their boiler and rise up the temperature. So they had decided to leave that house.

 

One civil engineer, Bang-ho and pastor of near by church helped us to move that house. I also worked with them. To move a house is really hard and tired. Without arranging the things, we went to the church with some Samgyabsal and sea-food to have our dinner. It was  Wednesday; so we took the Wednesday evening praying service and enjoyed dinner with many people.

 

On 7th Feb, returned back to my dormitory and took a short rest. Washed my clothes and cleaned my room. In the afternoon, went to Hwakokdong to join the meeting of our broadcasting media's friends. There were five members and producer of that programme. We talked about many things about programme, personal things, future plans and so on. It took about 5 hours to go and return.

 

On 8th, did nothing. Just stayed at Nepali friends dormitory all day long and enjoyed different kinds of Nepali food. But 9th Saturday, we had a blast. Two Korean friends visited us. We Nepalese were six including I and 8 all together including my Korean friends. We made some damplings together, fruit jacks and Nepali food. Some of my Nepali friends are new to Korea so that they can't understand Korean and my Korean friends also can't use Nepali. It was very fun to see their chating^^ I did my best to translate one language to another. I always enjoy it.

 

10th, Sunday is always fun and important. We have started English talking group in my church. There are many small groups. In our group, there are about 6 members. We all are not good in English but doing our best to improve it. I'm sure, we do it^^

 

I hope everyone had a greatful Seol-nal holidays here in Korea or abroad. I hope this year brings success and happiness in everyones' lif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 happy man is too satisfied
with the present to dwell too
much on the future."

--Einstein


'The Present' book by Spenser Johnson
says that the present is PRESENT(gift).
What we have right now is itself a
gift so why don't we be happy!

If we are satisfy with the things we have
now, we'll be  happier  in the futu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