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홀한 글감옥 - 조정래 작가생활 40년 자전에세이
조정래 지음 / 시사IN북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조정래 선생님께-

 

글을 써오신지 벌써 40년이 훌쩍 넘으신 선생님의 책을 두고 

제가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를 시작한다는 것이 황송하기만 합니다.

 

선생님께서 황홀하다 칭하신 '글감옥' 속에서 꿈꾸셨던 것을 

제가 조금이나마 알아채긴 한 건지,

작가 생활의 원동력이셨던 그 '산소'를 공급받긴 한 건지 ,

저의 독서가 '옳은 독서가 되었는지'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공간에 글을 적습니다.

 

사실....선생님의 뜻이 담긴 책을 읽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몹시 떨리고, 또한 기쁩니다. ^-^

 

 

 

 

 

 

작가 생활 40년 자전에세이

 

이 책은 대학생들이

작가 조정래 선생님께 궁금해하던 것들을 모으고 추려

84가지의 짧은 질문과, 그에 대한 선생님의 대답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질문은 대충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문학론· 작품론· 인생론. 읽어가다 보면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그 구분을 할 수 있께 될 것이다. 그 응답들을 형식을 달리한 나의 자전 소설로 읽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p.5 -작가의 말- 중에서


 

 

사실 나는 이 책에서 질문을 던진 독자만큼도 못 되는 사람이었다.


조정래 선생님은 내게 '이미지'로 남아 계셨다.

검은색 표지의 책 태백산맥, 한자로 쓰인 작가 조정래.

 

도서부였던 고등학생 시절, 서고 한 켠에 고이 모셔져 있던- 

대하소설『태백산맥』,『한강』,『아리랑』.

점심시간을 거의 서고에서 보냈기에 난 이 책들에 익숙했지만

그 내용은 하나 알지 못했다.

 

선생님의 어떤 책도 제대로 손에 쥐어본 적도 없던 내가,

황홀한,이라는 단어에 홀리고

그것이 글감옥,이라는 것에 감탄하여 책을 사게 되었다.

 

 

 

둔감해져 버린 내 코 끝에 와닿은 푸르른 산소

 

중고등학생 시절엔 정말 지겹도록 소설에만 빠져 지냈다.

해마다 발간되는 문학상 시상 단편집을 챙겨 읽고,

대대적인 광고를 하는 베스트셀러는 물론,

귀에 걸리는 제목만 있으면 어떻게 해서든 구해 읽었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세계 문학 전집/한국 문학 전집들로 고개가 돌아갔다.

질려버린 걸까, 왜 이렇게 재미가 없지?

음. 이제와 생각해보면,

소비되는 소설......들의 향긋하고 알싸한 향에 내 코가 둔감해진 게 아닐까 싶다.





 소설가의 산소 역할의 산소는 무엇이라. 그건 '진실'입니다. 사회적 진실, 역사적 진실, 인간적 진실을 옹호하고 육성하고 지키는 일, 그것이 바로 산소 역할입니다.

                                                                                                 p.34

 

소설은 시시한 것이 아니라 인간사에 남겨지게 되는 중요한 기록 중의 하나입니다.

                                                                                                 p.107


불합리한 상황 속에서 아프고 서글프고 힘들어 눈물을 뚝뚝 흘린다거나,

지금 당장 우리나라가 일어나지 않으면 큰 일이 날 것 같다는 애국심에 활활 타오른다는 등... 

소설들은 나를 질리게 하였던 것 같다.

 

그 와중에 선생님의 글을 읽으니 몸 속이 정화되는 기분이었다.

'민초에게 산소를 불어넣어주는 사람.

그래- 소설가는 그런 사람이면 좋겠다.

아니, 적어도 오래도록 한결 같이 글을 쓰려면... 그런 사람이 되어야겠지.'

 

 

세상을 향해 올곧게 자라나는 사람이 되겠어 

 



 넋이 없는 인간이 제대로 사람노릇을 할 수 있겠습니까. 문학은 그 넋을 감동시키는 작업입니다.

                                                                                                 p.185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있자니,

온갖 일들이 그림처럼 머릿 속을 스치고 지나갔다.

 

내가 겪지 않은 먼 옛날의 일들과,

내가 알 수 없던 또 다른 이면의 일들....

그리고 언젠가는 내가 보고 듣고 겪어야 할 어떤 흐름들까지.

 

운명처럼, 숙명처럼 나는 무언가를 생각해야만 했다.

 

 

 

행동까지는 못하여도, 옳고 그름은 알아야지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은 다름 아닌 사회 지도층의 솔선수범, 지배계층의 정직한 권력 수행, 지식층의 양심적 언행 등을 총괄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평소에는 세금 한 푼 안내고, 국난이 닥쳐와도 군대에 가지 않았던 우리의 옛 양반들의 행태와는 정반대의 정신이었던 겁니다.

                                                                                               p.376

이 땅에서 사는 당신과 나는 어쩔 수 없이 같은 운명, 한 숙명에 묶여 있습니다. 그걸 사회학에서는 공동운명체라 합니다.

그 불가항력 때문에, 이 땅의 지식인이기 때문에 당신은 싫더라도 지식인의 책무를 짊어져야 합니다. 그러니까 어차피 져야 할 짐이라면 보기 좋게 솔선해서 지십시오.

                                                                                              p.378

참된 지식인의 삶은 고달프나 그 의미와 보람은 하늘의 넓이입니다.

                                                                                              p.379


선생님은 질문을 던진 어떤 대학생에게 '지식인'으로서의 사명을 말씀하셨다.

 

삼사십년 전의 고등학교가

지금의 대학교 쯤으로 취급되는,

'대학생으로서의 위엄과 책임감'을 깨닫지 못하는 이 시대의 대학생들에게...

'대학생이니 지식인'이라고 불러주시는 선생님의 말씀 속에는

이 땅의 젊은이들이 책임지고 바른 마음, 맑은 정신을 갖추라는 의지(?)가 보이는 듯 했다.

 

 

 

 

황홀한, 황홀할 수 밖에 없는... 하나뿐인 '글'

 

작가 조정래 선생님은, 에너지 가득한 폭포수 같은 분이시다.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뜻을 굽히지 않으셨기에 수 많은 대하소설들을 써내셨고,

한결같이 사십여년 오직 '글'만 생각하시며 주색잡기 어떤 것에도 눈을 돌리지 않으셨다.

 

우리가 보기에 대쪽같고 과격한......그 감옥.

사실은 그래서 글감옥은 황홀한 것이다.

일생을 '글'에 몰입하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상태에 이르셨으니.

 

 

 

 

 

 

나도 활홀하게 빠져들 그 무언가를 찾아야지.

나는 '활홀한 대지(大地)'라 할까나,

이 세상 곳곳에서 모든 것으로부터 열정을 얻을 수 있게? ㅎ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