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길산 1 황석영 대하소설 1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해도는 동으로 함경도와 강원도에 인접해서 마식령산맥의 산세에 닿고, 남은 예성강을 지경으로 경기도의 들판과 만나며 북은 대동강을 건너 평안도를 바라보는데 서쪽으로는 바다로 솟아나가 중국의 산동을 마주보고 있다. - P7

응방(응방)
고려ㆍ조선 시대에, 매의 사육과 사냥을 맡아보던 관아. 중국 원나라에 매를 바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고려 충렬왕 원년(1275)에 설치하여 조선 숙종 41년(1715)까지 존속시켰는데, 설치 초기부터 민폐가 심하여 한때 폐지하기도 하였다. - P8

장살(장살)
형벌로 매를 쳐서 죽임

연면
혈통, 역사, 산맥 따위가 끊어지지 않고 계속 잇닿아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소한의 선의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수많은 법 중에서도 헌법인가?

12: 법은 최소한이 도덕(게오르크 옐리네크) - P12

14: 이번에는 무려 헌법을 영업, 법 자체보다 그 바탕에 있는 ‘사고방식‘ - P14

15: 서로 다른 사람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건강한 사고방식 - P15

경성헌법 - P22

계약자유의 원칙은 민사법의 대원칙이지만, 신성불가침의 원칙은 아니다 - P28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할지 모르지만, 법 자체는 평등하지 않다. 법체계는 엄격한 위계질서의 피라미드; 신법 우선, 특별법 우선, 상위법 우선 - P31

자유도, 평등도, 시장경제도, 인간 존엄성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 - P32

인간의 존엄성...
인간은 이성에 바탕을 둔 자율적이고 윤리적인 인격의 주체이기 때문에 존엄하다 - P39

칸트는 인간존엄성의 근거를 이성에 따라 인도되는 도덕적 자율성에 두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독자적으로 양심에 따른 결정을 내릴 능력이 있는 존재이므로 그 자체를 목적으로서 존중되어야 하고,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 P40

‘최고 존엄‘이라는 말은 코미디다 - P42

인간은 서로에게 상냥할 수 있다. 어쩌면 그래서 인간은 존엄한 것 아닐까 - P47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철학적으로 정리한 칸트는 오히려 인간이 존엄하기 때문에 사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인간은 자율적 이성을 가졌기에 존엄한데, 그런 인간이 스스로 타인의 생명을 빼앗는 선ㅊ택을 했다면 그의 행위에 걸맞은 책임을 지게하는 것이 그를 인간으로 존중하는 방법이라는 논리다. - P50

체사레 베카리아(형법학자): 사형폐지론을 주장한 대표적 계몽사상가 - P50

평생 짐 나르는 짐승처럼 취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범죄 억제책이라는 베카리아의 주장과 자율적 이성을 가진 인간이 스스로 타인의 생명을 빼앗는 선택을 했다면 그의 행위에 걸맞은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그를 인간으로 존중하는 방법이라는 칸트의 주장 중에 어느 것이 더 인도적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 P51

가장 강력한 사형폐지론의 논거는 오판 가능성이다. 그러나 오판 가능성을 이유로 사형제를 폐지해야 한다면 오판의 여지가 없이 명백히 유죄가 인정되는 사건에는 사형이 가능하다는 것일까? - P53

그럼에도, 이 모든 이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형제 폐지를 고민해야 하는 이유가 한 가지 남아 있다. 우리는 국가가 합법적으로 국민을 죽이는 사회에 살고 싶은가. - P56

우선은 원칙의 문제다. 국가에 합법적으로 국민을 살해할 권한이 부여된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는 다를 수 밖에 없다.
응보라는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형을 집행하듯이 공공복리를 목적으로 일부 국민의 생명을 희생시키는 것을 고려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이때 어떤 원칙이 지배하는 사회에 살고 싶은가. - P57

감정의 문제도 있다. 끔찍한 범죄에 대한 우리의 분노 감정이 사형을 정당화한다면, 사형 집행에 대한 감정 역시 정화해야 한다. 불편한 것들은 무지의 베일 뒤에 가려두고 목소리만 높이는 것은 무책임하다.
모두 감안해도 응보를 위해 사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불편함과 망설임을 느낄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응보 감정이 존중되어야 한다면, 국가에 의한 살인인 사형에 대해 느껴지는 불편함과 두려움의 감정 역시 존중될 필요가 있다.
우리는 국가가 합법적으로 국민을 죽이는 사회에 살고 싶은가, 그렇지 않은가. 이 질문을 먼저 우리 스스로에게 진지하게 던져본 후에야 우리는 사형제도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 P59

존엄한 존재는 동등하다. 소수만이 남들보다 더 존중받는 사회라면 나머지 구성원들은 존엄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평등이 필요하다. 자유와 평등은 인간 존엄성을 지탱하는 기둥이고,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 역시 자유권적 기본권, 평등권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치산의 딸이 (감히) 사무치게 쓴 망부가.
그리고 이 소설을 읽는 팁!
따옴표에 실린 사투리는 꼭 입말로 읽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은 없는 이야기 - 최규석 우화 사계절 만화가 열전 2
최규석 지음 / 사계절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닫으면서 느끼는 이 불편함은 무엇일까. 나는 최화백이 조금 나쁜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구판절판


우리 인간은 시장에 모든 것을 맡겨도 될 만큼 똑똑하지는 않다고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다. 이런 결론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시장에 모든 것을 맡겨도 괜찮을 만큼 우리가 똑똑하지 않은데, 시장에 대한 규제는 가능한 것일까? 대답은 '그렇다'이다. 아니, 사실은 그 이상이다. 많은 경우 우리가 똑똑하지 않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규제가 필요하다. -230쪽

1978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은 우리 시대 최후의 르네상스적 인물이었을 것이다.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스스로를 조직하는지에 정통한 단 한 사람. -230쪽

사이먼은 우리의 합리성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했다. 사이먼에 따르면 우리는 합리적이 되고자 노력하지만 합리적으로 되기 위한 우리의 능력에는 심각한 제약이 있다...
정보의 부족이 아니라 정보를 처리하는 우리 능력의 한계다. -231쪽

나이트와 케인스는 상당수 현대 경제학의 이론적 근간인 '인간의 합리적 행동'이 이런 불확실성(확률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사안이 우리 삶의 일부분에 그치기 때문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232쪽

도널드 럼스펠드(2002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관한 언론 브리핑에서)
"알려진 기지수(旣知數)들이 있다. 우리가 알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알려진 미지수(未知數)들이 있다. 즉 우리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미지수들도 있다. 우리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을 말한다."

There are known knowns; there are things we know we know.
We also know there are known unknowns; that is to say we know there are some things we do not know.
But there are also unknown unknowns – there are things we do not know we don't know. "
—United States Secretary of Defense Donald Rumsfeld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There_are_known_knowns)

-> (장교수는) 인간의 합리성 문제를 언급함-232쪽

허버트 사이먼은 우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범위와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선택의 자유를 의도적으로 제한하자고 제안한다.
-> 사이먼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제한된 합리성을 극복하기 위해 규칙을 도입한다. 이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사이먼이 즐겨 드는 사례가 바로 체스 게임이다. (한 게임당 평균 10의 120 제곱의 경우의 수)-232쪽

(사이먼에 따르면) 규제의 효용성은 행위의 복잡성을 제한해서 피규제자들이 보다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있다. 이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에서 선명하게 입증되었다. -235쪽

일부러 제한적인 규칙을 만들어 우리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한정하고, 그렇게 해서 우리의 환경을 단순화시키지 않는 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세상의 복잡성에 대처해 나갈 수 없다. 우리에게 규제가 필요한 이유는, 정부가 당사자인 경제 주체들보다 관련 상황을 반드시 더 잘 알기 때문이 아니다. 규제의 필요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제한된 정신적 능력(주: '제한된 합리성')에 대한 겸허한 인정인 것이다. -2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