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네 대화 편 -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3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 / 서광사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는 저술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또한 소크라테스는 공자의 논어처럼 제자들이 스승의 말을 기록해 둔 간접적인 저술조차 없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직접적으로 알 도리가 없으며, 그저 제자 플라톤의 저술을 통해 짐작할 뿐이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가 기소되어, 재판정에서 변론을 하고, 사형 선고를 받고, 주위의 종용에도 탈옥하지 않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담은 네 개의 대화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유로 이 책에는, 특히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에는 '인간 소크라테스'의 진면목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 담대한 죽음을 읽으며 우리는 경건함 마음가짐을 저절로 갖게 된다. 


플라톤이 대략 40세 이전에 쓴 저술을 초기 대화편이라고 하는데, 플라톤의 사상이 완전히 무르익기 전에 쓰여진 것들이라서 소크라테스의 사상이 많이 담겨 있다고 여겨진다. 이 책의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이 이에 해당하며 특히 에우티프론은 소크라테스가 진리를 찾기 위해 사용한 문답법(논박과 산파술)이 잘 드러나서 더욱 소크라테스적인 대화편이다. 


반면 파이돈은 플라톤이 40세부터 60세까지 쓴 중기 대화편에 속하는 것으로 플라톤이 40세 무렵 남부 이탈리아에 다녀오면서 영향을 받은 피타고라스 학파의 사상도 반영되어 있으며, 더구나 플라톤의 이데아 이론의 원형이 담겨 있으니 이 책의 다른 세 대화편과 달리 소크라테스의 영향에서 상당히 벗어난 플라톤적 대화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판에 갇힌 물고기 한국근대사진연구총서 1
이경민.이기복 지음, 영월책박물관 편집부 외 엮음 / 아카이브북스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표절학자 정문기 박사의 진면목을 냉정하게 보여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혹 : 신동만의 세계 낚시 이야기
신동만 지음 / 낚시정보신문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천할 수 없는 책이다. 기대를 가지고 읽었는데 실망스러웠다. 비싼 것은 참겠는데 교정을 안한 듯 오탈자가 어이 없이 많다. 출판사가 책을 상품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이겠다. 호기심 가진 사람을 위한 정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문장이나 내용도 형편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개정 증보판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1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년에 될 때까지 철학책을 읽지 않고 살았는데 어쩌다 플라톤의 국가(정체)를 읽게 되었다. 문외한이 무엇을 알겠으랴만은 나와 비슷한 분들을 위해 간단한 정보를 남겨본다.


국가(정체)는 플라톤 장년 시절에 쓰여진 이른바 중기 대화편으로(전체 10권 중 제1권은 초기 대화편으로 문체가 나머지 9권과 다르다), 소크라테스의 영향에서 벗어난 독자적인 사유를 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후기 대화편 "티마이오스"처럼 읽기 불편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초기 대화편인 "소크라테스의 변론"만큼 쉽지는 않다. 플라톤을 처음 읽는다면 아마 초기 대화편이 더 편할 것이다.


국가(정체)는 플라톤의 대화편 중 두 번째로 분량이 많다고 한다. 그런만큼 플라톤의 사유가 종합적으로 담겨 있다. 고등학교 시절 들었던 단어들인 동굴의 비유, 이데아, 철인정치 등이 모두 국가(정체)에 담겨져 있다. 플라톤을 한 권만 읽는다면 아마 국가(정체)가 가장 적당할 듯하다.


이 책은 플라톤 연구에 평생을 매진한 박종현 교수님이 후학에게 기초를 닦아주고자 헬라스어 원전을 꼼꼼하게 번역하신 산물이다. 이로 인해 의역이 아니라 직역 문장이기에 문법에도 맞고 단어도 어렵지 않은데 쉽게 읽히지 않는다. 또한 직접 헬라스어 원전을 읽는 사람까지 염두에 두고 헬라스어 단어의 의미와 문법까지도 꼼꼼하게 설명하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정체)는 읽고 싶지만 철학에 큰 관심이 없다면 아마 천병희 교수님의 번역이 더 나을 것 같다.


이 책의 초판은 1997년에 번역되었고, 이 번역이 박종현 교수님의 최초의 플라톤 번역이었다. 그러다보니 박종현 교수님은 이 책에서 플라톤의 사상을 종합하여 설명하시기에 주석(각주)이 많다. 그리고 이 책은 2005년의 개정증보판으로,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추가한 주석은 각주가 아니라 미주로 덧붙어져 있다. 각주도 많을 뿐 아니라 별도의 미주까지 있다 보니 주석을 전부 읽으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본문 읽기가 끊기기 십상이다. 다만, 각주는 본문을 이해하기에 꼭 필요한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미주는 헬라스어 번역과 관련된 문법적 내용이 대부분이라서 읽지 않아도 내용 파악에는 큰 무리가 없다.


플라톤의 사유에 대해서나, 박종현 교수님의 해석 내지 번역에 대해 평하는 것은 내게 불가능한 일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백산맥은 없다 - 이 땅의 산줄기는 백두대간이다
조석필 지음 / 산악문화 / 1997년 4월
평점 :
품절


절판되어 중고로 구매해 읽어보았는데 정말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