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그 禪의 물결
감산덕청 지음, 심재원 옮김 / 정우서적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오늘날 장자라고 알려진 책은 내편, 외편, 잡편으로 나닌다. 그 중 외편과 잡편은 후세 사람이 덧붙인 것이고, 내편 7편 중에서도 소요유, 제물론, 덕충부, 대종사 4편만이 가장 장자의 사상이 순수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한다. 


이 책 <장자, 그 선의 물결>은 명나라때 스님인 감산덕청이 장자의 내편에 대해 주석과 해설을 단 <장자내편주>를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장자의 전부를, 다시 말해 내편은 물론이고 외편과 잡편까지 모두 읽고 싶은 사람은 이 책을 선택해서는 안된다. <장자내편주>에 대한 번역은 이전에 <감산의 장자풀이>라는 이름으로 나온 적이 있다.


<장자, 그 선의 물결>은 장자 내편의 각 부분을 장자 본문 번역, 장자 본문과 감산덕청 주석의 원문(한자), 감산덕청 주석 번역, 감산덕청 해설 번역, 역자의 해설의 다섯 체계로 설명하고 있으며, 추가로 인물이나 용어에 대해서는 역자가 별도의 각주를 붙여두고 있다. 


학술적으로 본다면 매우 엄밀한 구성이기는 하지만 가독성이 좋지는 않다. 특히 감산덕청의 주석(해석)을 기반으로 장자 본문을 번역하였는데, 본문의 내용이 긴 경우 본문 번역과 감산덕청의 주석을 함께 읽으려면 책장을 앞뒤로 계속 뒤집어야만 해서 읽기가 매우 번거롭다.


그럼에도 장자의 사상(엄밀하게 본다면 장자에 대한 감산덕청의 해석)을 이해하기에 매우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감산덕청의 주해가 매우 일관성이 있고, 역자의 번역 역시 그 일관성을 해치지 않는다. 기존 장자 번역서의 아전인수 격의 해설을 피하고 감산덕청의 주해를 충실히 반영하려고 역자가 많은 공을 들였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다만 이런 노력이 과하였는지 감산덕청의 주해와 역자의 해설에 같은 내용이 반복되다 보니 책의 뒷부분에서는 지루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이 책의 큰 흠이라면 역자의 해설이 아닌가 싶다. 감산덕청의 주해를 정밀하게 설명하는 부분은 참으로 좋았지만 장자의 사상을 지금 상황에 적용한 부분(예를 들면 사대강사업 반대 등)은 없느니만 못했다. 개정판에서는 역자의 해설이 절반으로 줄이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이 낚시
문강순.신준식 지음 / 문현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플라이낚시의 입문서적이 나왔기에, 더구나 외국 서적을 번역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이 직접 쓴 것이라기에 필요는 없지만 응원하는 차원에서 구매하였는데, 받아서 확인해 보니 많이 아쉽다.

 

입문서는 많은 내용을 최대한 쉽게 설명해야 하기에 오히려 잘 만들기가 어렵다. 그래서 무엇보다 잘 만들어진 외국의 책을 참조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 책은 전혀 그렇게 하지 않은 듯하다. 책 말미에 참고서적에도 단행본 한 권, 비디오와 DVD가 두 개 적혀 있는 게 전부다. 그러니 내용이 부실할 수 밖에...

 

부실한 내용 외에 조악한 사진과 일러스트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캐스팅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인데, 사진과 일러스트가 좋지 않아 입문자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쉽지 않을 것 같다. 

 

결론적으로 번역되지 않은 최초의 플라이낚시 서적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좋은 평가를 받을 점을 전혀 찾지 못했다. 제대로 된 플라이낚시 입문서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 빌딩 길잡이 -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낚싯대
윤종호 지음 / 에세이퍼블리싱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인가 알라딘에서 낚시서적을 검색하다가 이 책이 출판된 것을 발견하고 몹시 놀랐다. 우리나라에 무려 '로드 빌딩' 서적이 출판되다니... 반갑고도 놀라웠지만 당장 필요가 없었기에 차일피일 미루다가 얼마 전에 구매하여 열어보고는 기대 이상의 내용에 다시 놀랐다.

 

로드 빌딩 분야에서 최고로 평가 받는 책은 데일 클레멘스의 <Advanced Custom Rod Building>이지만 이 책은 출판된지 너무도 오래 되었기에 도판도 촌스럽거니와 내용에도 지금과는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내가 로드 빌딩을 하려고 10여 년 전에 구입했을 때도 너무 낡았다는 느낌이 늘었는데 지금 보면 오죽할까.

 

물론 책 전체의 완성도 측면에서 보면 <로드 빌딩 길잡이>가 <Advanced Custom Rod Building>보다 뛰어나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이제 로드 빌딩에 관심을 갖게 된 입문자, 특히 외국어에 능숙하지 않은 한국의 입문자가 선택하기에는 <로드 빌딩 길잡이>가 더 좋다는 것은 분명히 말할 수 있다.

 

낚시대 설명 등 몇 곳에 사소한 오류가 보이긴 하지만 그건 그야 말로 사소한 것일 뿐. 많이 판매되지 않을 것임을 잘 알면서도 이런 책을 집필한 저자에게 고마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 도덕경, 그 선의 향기
노자 지음, 감산덕청 주석, 심재원 옮김 / 정우서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도덕경은 쉽지 않다. 예전 도덕경에 대한 왕필의 주해를 번역하고 해석한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를 읽은 바 있으나 전혀 남는 게 없었다. 쉽게 읽히고 쉽게 이해되는 유가경전과 달리 도덕경은 본문 번역, 주해 번역, 역자의 해설을 모두 읽어봐도 그 의미가 알쏭달쏭했다. 한 문장, 한 문장은 겨우 알 듯하더라도 도덕경을 관통하는 노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었다. 읽기는 했으되 이해는 안되는 찝찝함으로 인해 다른 도덕경 번역본을 읽어봐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있다가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이 책의 뛰어난 점은 일관성이다. 부족한 식견으로 짐작하건대 일관성을 얻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감산덕청의 주해 자체가 일관적이었기 때문이다. 역자의 해설에 따르면 감산덕청은 노자의 도(道)를 실체와 작용의 이원적 구조로 이해하는 체용론으로 주해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체용론적 해석은 모호하기만 한 도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아울러 도덕경 본문과 감산덕청 주해에 나오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에 대한 역자의 명료한 해설과 정확한 번역도 책의 일관성에 큰 도움을 주었기에 역자의 노력을 높이 사고 싶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노자의 철학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노자 사상에 한 발 다가서는 데 이 책은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확신한다.


사족이겠으나, 아쉬운 점을 덧붙여 둔다. 역자는 한자어가 아니라 우리말로 번역하려고 노력하였는데, 우리말 번역이 오히려 이해를 방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러한 번역을 한 까닭을 각주에서 상세히 풀어주었다면 좋았을 것 같다. 그리고 역자의 다른 책인 <장자, 그 선의 물결>과 달리 이 책에는 감산덕청의 주해에 대해 본격적으로 해설하지 않고 최소한의 해설만 각주로 달고 있는데, 감산덕청의 주해 자체도 이해하기 쉽지 않은 만큼 자세히 해설하였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 - 빅 데이터에서 찾아낸 70억 욕망의 지도
송길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빅데이터 분석에 대해 생각할 바를 많이 제공하는 좋은 책이다. 다만 이 책은 빅데이터 자체의 한계(혹은 빅데이터 분석의 한계?)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아 아쉽다.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한계는 소비능력과 데이터 생산량 사이의 불균형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로서는 한 대의 자동차를 사지만 데이터는 수십, 수백 명 만큼의 분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소비자 중 일부가 온라인에 자신이 소비할 수 있는 분량 이상의 글을 쓰면 분석할 빅데이터 자체가 왜곡되어 분석 결과도 실제 여론과는 차이가 생긴다. 이것은 빅데이터의 한계이자 빅데이터 분석의 난점일텐데 이 책에는 이렇다 할 설명이 없다.

 

빅데이터의 또 다른 한계는 온라인의 글을 쓰는 사람의 심리에서 데이터 왜곡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온라인에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군가엔가 자신을 표현하려는 욕망을 가지고 있어서 알게 모르게 과대포장하는 경향이 있는데, 빅데이터 분석은 이 점을 지나치기 쉽다. 즉, 온라인의 글은 그래서 잘 알지 못하는 것을 잘 아는 것처럼, 잘 아는 것은 실제보다 과장해서 쓰는 경우가 많고 아예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관심이 있더라도 잘 쓰지 않는다.

 

이 책의 저자는, 예전의 캠핑은 멋있고 섹시한 것이었으나 요즘의 캠핑은 즐거운 것이라고 한다(225쪽 이하). 캠핑에 대한 대중의 인식 내지 트렌드가 변했다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 캠핑을 즐기지 않는 90% 사람은 여전히 캠핑을 즐겁다기 보다 멋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들은 온라인에 캠핑에 대한 글을 쓰지 않기에 빅데이터 분석에 반영되지 않는다. 빅데이터가 분석하는 글은 캠핑을 즐기는 10% 사람이 쓴 것이다. 그런데 그들은 캠핑이 아이들 때문에 괴로웠더라도, 아이가 떼를 써서 다시는 캠핑을 가기 싫었다고 쓸 수 없으니, 트위터와 블로그에는 즐거운 캠핑이었다고 쓰기 마련이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런 왜곡을 어떻게 보정할 것인지, 보정할 수는 있는지 의문이다.

 

이 두 가지에 대한 언급과 해결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점에서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완전히 객관적인 책은 아니며, 빅데이터 분석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책, 다시 말해 저자가 소속되어 있는 다음소프트 등의 빅데이터 분석회사의 마케팅을 위한 책으로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