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에 잠깨어 - 한시로 읽는 다산의 유배일기
정약용 지음, 정민 엮음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된 세상살이에 지쳐 잠을 설칠 때



《한밤중에 잠깨어》는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1762~1836) 한시 집이다. 정민 교수가 유배지에서 지은 다산의 한시  120 편을 골라 풀이를 덧붙였정약용은 스물두 살에 과거에 급제한  관직에 진출해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20 가까이 승승장구하지만 신유박해로 18년에 걸친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한순간에 정상에서 곤두박질쳤으니  유배생활이  고단했을 것이다그래서인지  에는 세상에 대한 원망과 분노에 절망하다가 모든 일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울고 좌절하는 다산의 내면변화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칭찬은  사람  필요하지만훼방은  입에서 말미암는 ./ 근심 기쁨 경솔하게 바꾸지 말라잠깐 만에 티끌과 재가 되나니讚誦待萬口 毁謗由一脣 憂喜勿輕改 轉眼成灰塵” (「자벌레」중에서, 76쪽)며, 세상은 어차피 제멋대로 간다괜히 마음만 다칠라경전 공부한다고 너무 애쓰지 마라 이기려 들지 말고 해코지도 말고 구슬땀 흘리며 그렇게 살아라있는  만족하며 그렇게 살아라.” (107쪽) 고도 한다. 


다산은 유배지에서 좌절과 절망 속에 힘들어하지만 위대한 정신을 드러낸 위인들을 떠올리며 자신 또한 견딜  있다고 ‘ 또한 지나가겠지그도 견뎠는데나라고  견딜까?’라며 살아갈 힘을 추스른다. 그러면서 자신의 평상심은 독서에서 온다고도 했. “낡은  일천 권을 장차 어디 놓아둘까구덩이도 평지 같음 바로  공인 것을.” (28쪽)

 

다산은 그렇게 자신의 감정을 숨기거나 포장하는 대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본래의 자신을 찾아간다그러면서 시를 썼고, ‘목민심서’, ‘경세유표’ 같은 책들도 남겼다세상을 향한 허망함이 읽히기도 하지만 평온함을 찾아가는 다산의 모습에 나 또한 살아갈 힘을 추스른다. 고된 세상살이에 지쳐 잠을 설칠 때마다 들춰보며 다산의 정신력과 지혜를 배우고자 발버둥 친다.



높아지면 언제나 떨어질 걱정/ 떨어지면 마음 외려 후련하다네./ 수레 탄 벼슬아피 우러러보면 아등바등 거꾸로 매달린 듯해.(「자유」, 2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