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
김별아 지음, 오환 사진 / 좋은생각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에세이를 좋아한다.

작가의 속내를 쉽게 풀어내고 독자와의 공감을 가장 크게 이끌어주는 매개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나의 입장에서 단숨에 읽히는 책이라 더 마음에 들어한다.

자기계발서의 경우 자꾸 메모를 해야할 것 같은 생각에 중간중간 머뭇거리게 되고

소설의 경우에도 다음 전개가 궁금해 제대로 읽지않고 넘어가거나 긴장감에 배가 살살 아파와서

몇번이나 놓아다가 읽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에세이의 경우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읽히고 호흡이 길다.

그점이 아주 맘에 든다.

 

김별아의 에세이는 장영희의 [문학의 숲을 거닐다]와 닮아 있었다.

절반은 책관련 에세이이고 나머지 절반은 시관련 에세이이다.

나는 시를 잘 읽는 편이 아니어서 앞쪽의 책관련 에세이가 더 맘에 들긴 했지만

덕분에 뒷쪽의 여러편의 좋은 시들을 감상할 수 있었다.

글을 읽고 그것이 내삶의 어느 한쪽..어느 일화일수도 있고 어떤 생각일수도 있는.. 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

새삼스레 신기했다.

김별아는 글과 맞닿은 삶의 한쪽을 따뜻하고 생동감있게 적어 넣었다.

그 한쪽은 엄마라는 이름으로 '엄마들'의 아픔과 슬픔에 공감하며

작가라는 이름으로 밥을 먹고 살아온지 십칠 년째이지만 글 잘쓰는 비법은 애초에 없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중국 모소족의 모계사회를 동경하며 이런 곳에서라면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다고 외치고 있다.

보석이나 명품이 없어도 보석같은 세상,보석같은 사람, 보석같은 사람들을 가려보는 눈이 있기에

결코 가난하지 않고 부자라 말하고 있다.

 

책과 시에 관한 에세이이지만 이 모두가 인간 김별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자서전처럼 거창하지는 않지만 그녀의 온갖 소소한 것들에 대한 대꾸질쯤 된달까?

 

1970년대의 아련한 빛바랜 추억처럼 보이는 오환의 사진들도 놓칠수 없겠다.

자꾸 기억을 모락모락 들쑤시고 가슴을 한번 쓰다듬게 만드는 따뜻한 사진들이다.

행복을 말해주는 에세이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

정말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을 만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