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흥의 교육 - 이재영이 묻고, 장순흥이 답하다 푸른들녘 교육폴더 13
장순흥.이재영 지음 / 푸른들녘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 중심의 교육은 학생의 지식만을 강조하게 됩니다.


강조를 하게 되면 자율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없습니다.


지식만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중요한 문제를 찾고 푸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소개해 드릴 책은 ‘장순흥의 교육’입니다.


저자는 40년 교육 현장을 경험한 PSC 교육법을 소개해줍니다.


PSC 교육의 베이스는 문제 발견에 있습니다.


단순한 지식을 넘어 관련 지식을 깨우치고 협동하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선 문제에 질문하고 또 질문하면서 깊이를 더해가야 합니다.


발견한 후에는 스스로 학습하고 협업해야 하는데요.

어떻게 해야 교육의 본질을 높일 수 있는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협력을 잘하려면?

협력하는 힘을 키우려면 팀 프로젝트 수업을 많이 하게 만듭니다.


팀 프로젝트가 잘되려면 어떤 자세가 필요할까요?

필요한 자세는 바로 경청하는 자세입니다.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자기 이야기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남의 이야기를 안 듣게 됐을 때 그 팀은 협력하지 못하게 됩니다.


협력하려면 겸손함, 배려, 존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서로 협력하는 훈련을 해야 팀원들 간의 관계가 좋아질 것입니다.




◆ 독학의 성공 방식

독학은 독하게 마음먹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성공이라 표현했는데요.

독학하겠다고 마음먹지만 성공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독학은 시간, 장소, 주변인의 지지와 상관없이 스스로 학습하는 겁니다.


직접 학습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지식에 이해를 얻는 과정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접하면서 자신의 지식을 넓힐 수 있습니다.


독학의 핵심은 자기 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형성해야 합니다.


이 습관을 통해 기술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강력한 자기 계발 비법입니다.




끝으로 저자는 데이터를 살피라고 말합니다.


현재 무수히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바라볼 때 현실적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요즘 사회는 인구절벽의 문제로 고민이 많습니다.


출생률이 급격히 떨어진 것은 외환위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사람들의 관심은 외환보유고, 환율, 구조조정 문제에만 있었습니다.


출생률 문제는 외환위기 때부터 관심을 가졌다면 많이 완화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법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