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텀 씽킹 - 와튼 스쿨이 강력 추천하는 전략적 사고법
데니스 C. 캐리 외 지음, 최기원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회사를 운영하려면 장기적인 운영을 꿈꿉니다.


잠깐만 반짝해서 돈을 버는 것보단 오랫동안 하려고 합니다.


일찍 일어난 새가 먹이를 먼저 먹습니다.


부지런한 새가 먹이를 먹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투자도 단기 투자보단 장기적인 투자 안목이 필요합니다.


단기투자는 장기에 비해 적은 수익을 벌게 됩니다.


장기투자보다 하는 일도 적고 잠깐의 즐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 떨어질지 올라갈지 모른다면 단기투자도 조심스럽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롱텀 씽킹' 입니다.


책에는 장기적인 투자에 대한 성공적인 사례들이 담겨 있습니다.


◆ 장기전략을 위한 로드맵

장기전략을 하려면 구체적인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장기전략으로 성공한 기업들이 존재합니다.


성공하기 위해선 정확한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만들어야 합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나오더라도 정리를 하지 않으면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측정지표를 통해 현 상태와 목표에 대한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단기전략은 잠깐은 즐거울 수 있습니다.


그 즐거움이 계속되지는 않습니다.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도 중요합니다.


동기부여를 주기 위한 기업문화도 있다면 더 시너지가 날 것입니다.


◆ 최고의 기업들

최고의 기업들 하면 어디가 떠오르시나요?

대표적으로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이 있습니다.


많은 회사가 단기에 올인을 합니다.


단기에 올인한 회사들을 누르고 최고가 되었습니다.


그들이 다른 회사와 달랐던 점은 장기적인 운영을 한 것입니다.


장기적인 운영의 단점은 무엇이 있는지 아실 거라 생각됩니다.


당장의 수익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손해를 입고 있고 위태로운 상황으로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참아야 할 한 언덕과 같습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하기도 하지만 경쟁기업을 이기고 최고의 지위를 얻었습니다.


최고의 지위가 처음부터 얻어졌던 것은 아닙니다.


아마존의 위기라 여겨지던 때에는 8년 동안 지속적인 영업손실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 위기를 견디고 극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공했습니다.


끝으로 많은 기업 중에 없어지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장기적인 전략도 견디다가 목적이 흐려진다면 위험해질 수도 있습니다.


처음 목표를 가지고 장기적으로 끌어갈 수 있는 내실을 다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측정지표를 통해 회사가 어디까지 왔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전략에 성공하는 회사들이 많아지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