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는 철학자로 유명합니다.


그가 한 말 중에는 ‘너 자신을 알라’고 말합니다.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할 때 스스로 ‘나 자신을 알자’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말이 필요할 것 같은 사람에게도 조언하는 용도로도 쓰기도 합니다.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이 어떻게 나온 지 알고 계시는가요?

누가 가장 현명한 사람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시작점이었습니다.


질문으로부터 그 말이 나오게 된 겁니다.


주변에 있는 현인들을 찾아가 질문해보지만 정답을 말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현인의 말로 소크라테스는 왜 그런 사람이 없다 했는지 인정을 하게 됩니다.


소크라테스가 바라봤을 때 오만함을 버리고 자신의 무지함을 자각하는 것이 지혜라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은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빠져나오길 원했습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법을 어기지 않기 위해 자신이 자신을 변론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죽기 전까지 한 권의 책도 저술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소크라테스의 사상이 지금까지 전달이 됐을까요?

그것은 바로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에 의해 보전됐습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스톤, 파이돈, 향연도 플라톤이 저술했습니다.


플라톤이 아니었다면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시간이 흘러 잊혔을지 모릅니다.


소크라테스는 크리톤에게 탈옥을 권유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탈옥이 정의롭지 못하다고 말하며 추구하는 진리를 설명하고 정의를 지키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 소크라테스의 변명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와 청년들을 부패시킨 죄로 고발에 대해 변명했습니다.


3차례의 변론을 소크라테스는  가졌습니다.


죄목 중에는 나라가 믿는 신이 아닌 잡신을 믿게 한다는 항목도 있었습니다.


이 항목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친구가 델포이 신전에서 신탁을 받았는데 가장 지혜로운 자는 소크라테스란 내용을 듣게 됐습니다.


이를 확인하려고 지혜로운 사람을 찾아다녔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그는 죽음에 대해서 두 가지로 바라봤습니다.


하나는 죽게 되면 지각할 수 없게 되며 꿈 없는 잠을 자는 것과 같다며 이득이라 표현했습니다.


나머지는 이승과 저승으로 구분되어 있어 저승으로 옮겨가는 것도 새로운 삶으로 내 다 봤습니다.


이런 이유로 죽음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두려워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또한, 법안에서 살아가면서 법을 어기면 안 된다는 신념이 있었는데요.

살아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끝으로 이 4권의 장은 소크라테스의 사상이 잘 담겨있다고 보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죽음과 진리에 대해 깊게 생각했습니다.


그의 굳은 신념이 사람들에게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지혜를 찾고 무지를 인정하는 소크라테스를 봤습니다.


알기 위해 무엇이 옳은지 찾으려 했던 그의 모습이 인상 깊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