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하우스
스티븐 J. 굴드 지음, 이명희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최근들어 이렇게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번역이 된 과학서적을 본 일이 없었다는 점을 칭찬하고 싶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진화의 본성이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이자 변이의 최대,최소값이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비슷한 예로 야구에서 4할대 타율의 타자가 사라진 이유를 들고 있다. 굴드에 의하면 그 이유는 타자들의 실력이 내려간 것이 아니라 '4할타자'라는 개념 자체가 실체가 없는 것으로서 전체 선수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굴드는 이 글 전체를 통해 그의 대표적인 주장들을 견지하고 있는데, 환원주의적 시각에 대한 배격, 진보의 개념에 대한 일반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 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일반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다보니 쉬운 논리를 사용하려는 점이 돋보인다고 할 수 있고 또 그로 인해 강한 설득력을 얻었지만 동어반복이 지나친 감을 지울 수가 없다.

이 책 전체를 통한 굴드의 주장은 다음의 한 마디로 요약된다. '생명체는 복잡성을 향한 진보를 통해 오늘에 이른 것이 아니라 무작위적인 진화 속에서 우연히 오늘의 모습에 이르렀다' 한편 이 논리를 바탕으로 굴드는 인간이 생물계에서 특별한 존재라는 위험한 발상을 배격하고 인간은 다만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분포곡선의 오른쪽 꼬리에 불과한 존재'일 뿐이며 생물계의 진정한 지배자는 다름아닌 박테리아라고 말한다. 덧붙여 번역이 상당히 매끄러워 눈에 밟히는 부분을 찾기 힘들었다는 점도 상당한 매력이라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