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묵자 ㅣ 을유사상고전
묵자 지음, 최환 옮김 / 을유문화사 / 2019년 7월
평점 :
**공자를 비판한 실용주의 사상가,
작은 예수이자 큰 마르크스라 불린 묵자.**
을유 출판사의 이 타이틀을 보고 꼭 읽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다.
나는 성인, 현자들의 사상보다 그 사람에 대한 나의 느낌과 판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호감가는 인물에 대한 ‘평전’을 즐겨 읽는다.)
어차피 사상이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에 동조하는 사람들의 사상과 신념이 덧붙기 나름이고
그 결과 원류에서 멀어지거나 전혀 다른 형태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나는 한 번도 기독교 신자였던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테지만
성인이자, 인간으로서의 예수를 매우 존경하고 사랑한다.
또 유교의 불합리한 점에 펄쩍 뛰며 몸서리를 치지만,
큰 어른이자 인간으로서의 공자 역시 존경한다.
그런데 공자를 비판한(그의 사상을) 작은 예수라니!!
요즘 말로 개취(개인취향), 취저(취향저격)였다.
(마르크스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그런데 묵자가 큰 마르크스라고 하니 이 책을 읽으면서 마르크스에 관심이 생겼다.
기회가 되면 그에 대해서도 읽어보고 싶다.)
묵자는 유가(유교)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크게 성한 학문이었다고 한다.
세상의 유명한 학문은 유가와 묵가이다.
-한비자-
그런데 왜 유학만큼 알려지지 않았을까?
나는 그것을 힘싸움, 정치싸움에서의 패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묵자의 사상은 로열블러드, 귀족들이 환영할 만한 사상이 아니었다.
오히려 묵자는 민들레처럼 들판에서 평민, 천민과 함께 일하고 공부했다.
한무제가 동중서의
'백가를 퇴출시키고 유학만을 높인다.'는 정책을 채택한 뒤로
유가는 통치자와 영합하는 길을 찾았다.
(중략)
하층계급 출신인 묵자는
다른 제자 백가와 달리 세파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걸었다.
(중략)
비단옷 대신 누더기와 짚신을 걸치고
백성과 함께 일하고 공부하며
행동로써 자신의 사상을 펼쳤다.
-천웨이런, 묵자가 필요한 시간-
역사는 승자의 기록으로, 권력이라는 편집자에 의해
잘리고 붙여진 챕터들로 채워진 거대한 책이다.
그리고 묵자는 거기서 잊혀진 챕터인 것이다.
낮은 데서 핀 꽃, 묵자는 그렇게 권력에 의해 지워졌다.
천웨이런은 묵자를
“ ‘천하의 이로움을 일으키고 천하의 해악을 제거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강조했고,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다 닳아 없어지더라도 전하를 이롭게 하는 일이라면 한다.’고 하여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난 왜 이 묘사를 읽으며 안창호, 안중근, 신채호 등의 독립운동가들을 떠올렸을까..
아마도 그들의 단단함과 비장한 각오,
불의에 대항하는 모습이 닮았다고 느꼈기 때문인 것 같다.
순전히 사견이지만 묵자를 읽다보면 ’반드시’라는 말을 많이 볼 수 있다. (한자 ‘반드시 필’)
나는 그것에서 그에게 단호하고 약간은 편집증적인(?)
타협하지 않는 고지식함이 있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반드시’를 많이 쓰는 묵자를 떠올리면
영화 ‘브레이브 하트’의 ‘윌리엄 월리스(맬 깁슨 분)’,
맨발로 박애를 말하며 낮은 곳에서 사랑을 실천한 ‘나사렛 예수’,
미혹한 인간을 불쌍히 여겨 땅으로 내려온 ‘환인’,
제우스가 숨겨둔 불을 훔쳐 불쌍한 인간들에게 전해준 ‘프로메테우스’ 가
함께 떠오른다.
그 이유는 그의 중심사상이 ‘겸애’이기 때문이다.
묵자의 핵심사상은 겸애, 비공, 상현, 상동, 잘용, 절장, 비악, 천지, 명귀, 비명,
이 10가지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겸애는 가장 중요한 사상으로
겸애 위에 다른 사상들을 꽃피웠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이유로 나는 10개의 사상이
평화로운 상생을 위한 실용적 실천의 다른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묵자는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는 것이 사회 혼란의 근본 원인이라고 여겼으며
바로 이러한 원인으로 가정은 어려워 지고
국가간에는 서로 공벌현상이 일어난 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천하의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으면
‘강한 자는 반드시 약한 자를 제압할 것이고,
부유한 자는 반드시 천한 자에게 오만하게 굴 것이고,
사기꾼은 반드시 어리석은 자를 속이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그래서 오로지 천하의 사람들이
'두루 사랑하고 서로 이롭게 하는 것’이야 말로 사회를 안정 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최환, 묵자-
묵자는 뜬구름 잡는 마음만 얘기한 것이 아니다.
그는 실용주의자였다.
‘말은 유자(공자)이고, 실천은 묵자다.’ 라는 루쉰의 말처럼
묵자는 책 여기 저기에서 실천과 실용을 말한다.
말, 뜻, 실천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행동이 성실하지 않은 사람은 그 명성에 반드시 손해를 입을 것이다.
명성은 아무 까닭없이 생기는 것이 아니고 영예는 스스로 자라나는 것이 아니다.
-묵자,수신-
군자는 몸소 실천한다.
이익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명예를 잊고 소홀히 하면서
천하의 어진 선비가 될 수 있었던 자는 일찍이 없었다.
-묵자,수신-
율유에서 만든 ‘묵자’라는 책은 약 8cm의 두께에 1200페이지가 넘는 그야말로 벽돌책이다.
그안에는 권15로 구성된 묵자의 사상과 저작들이 담겨 있다.
간단하게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묵자 편장 개요
1. 친사 : 국가에 대한 어진 선비의 중요성
2. 수신 : 군자의 수양 필요성과 수양의 준칙
3. 소염 : 군주와 제후의 인재 선발 중요성과 좋은 친구 선택의 중요성
4. 법의 : 군주가 치국함에 있어 따라야 하는 하늘의 법도
5. 칠환 : 국방, 외교, 내정, 재정, 군주, 신민, 식량 등의 국가 환난 7가지 논술
6. 사과 : 궁실, 의복, 음식, 배와 수레, 축첩 등 다섯가지 방면에서의 절검의 중요성
7. 삼변 : 묵자의 음악에 대한 태도
8. 상현 : 현명하고 재능있는 사람들을 숭상하는 묵자의 중요한 정치 사상
9. 상동 : 국가 혼란은 안정시키려는 정치사상
10. 겸애 : 묵가학파의 가장 대표적인 이론
11. 비공 : 전쟁에 반대한다는 묵가학파의 중요한 이론
12. 절용 : 국가가난에 대한 이론
13. 절장 : 사치스러운 제사에 대해 반대하는 주장
14. 천지 : 하늘의 의지라는 뜻으로 묵가학파의 중요한 이론
15. 명귀 : 묵자가 귀신이 있음을 천명한 이론
16. 비악 : 음악활동 반대한다는 의미
17. 비명 : 운명론을 반대한다는 이론
18. 비유 : 유가를 반대한다는 이론
19. 경/경설 : 묵경
20. 대취 : 묵가 후학들이 지은 저작
21. 소취 : 묵가 후학들이 지은 저작
22. 경주 : 묵자와 제자들의 대화
23. 귀의 : ‘온갖 일중에 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
24. 공맹 : 공맹자와의 변론
25. 노문 : 묵자가 제후, 제자들과 나눈 대화 기록
26. 공수 : 공벌을 반대하고 약소국을 돕는 묵자의 신조
27. 비성문 : 비공 사상을 반대하는 주장
28. 비고림 : 공벌을 막기 위한 지혜
29. 비제
30. 비수
31. 비돌
32. 비혈
33. 비아부
34. 영적사
35. 기치
36. 호령
37. 잡수
나는 37개의 편장 중에서 수신과 겸애를 거듭해서 읽었다.
유교처럼 겉치레를 중요시하는 수신이 아니어서 그 명료함이 마음에 쏙 들었다.
다름 사람을 비방하려는 사악한 말은 귀에 담지 않으며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소리는 입에서 내지 않는다.
-묵자,수신-
마음속에 두는 것은 마르지 않는 사랑이며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은 마르지 않는 공경이며
입으로 나오는 것은 마르지 않는 선량한 말이다.
-묵자,수신-
겸애에서 나는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 사상도 엿보았다.
어진 사람들이 일을 하는 원칙은
반드시 천하의 이익을 일으키고
천하의 해를 제거하는 것이니 이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묵자,겸애-
나누고 싶은 겸애 사상도 있다.
남을 사랑하게 되면 남도 반드시 따라서 그를 사랑하게 되고
남을 이롭게 하면 남도 반드시 따라서 그를 이롭게 하며
남을 해치게 되면 남도 반드시 따라서 그를 해치게 된다.
-묵자,겸애-
첫장부터 마지막까지 순서대로 읽는 책이라기 보다는
필요한 상황에 필요한 편장에서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오래오래 곁에 두고 읽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군주가 한나라를 다스리는 데 그 나라안의 어진 선비를 아껴주지 않는다면 그 나라는 망하게 될 ㅅ것이다. - P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