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통해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묘한 감동과 쾌감을 준다. 내가 주로 하는 생각을 하는 또 다른 사람, 읽는 내내 ‘내 말이’ 하며 공감하게 만드는 문장들.아마도 친구를 만나 스트레스를 푸는 사람들이 느끼는 쾌감이 이런 것 아닐까? (만남과 수다로 스트레스를 푸는 것은 내게 알 수 없는 즐거움이기 때문에 어렴풋이 이런 쾌감이려니 상상해 본다.)대만의 교수, 지지엔즈의 책은 읽는 내내 속이 시원한 쾌감을 느꼈다. 나는 그동안 불교가 다수의 사람들에게 오래되고 어려운 말을 쓰는 어려운 종교로만 인식되는 것이 무척 안타까웠다.내게 불교는 ‘부처님’을 신으로 모시고 복덕을 ‘비는’ 종교를 넘어스승이신 싯타르타의 삶의 진리를 배우는 하나의 학문이고 생활 철학이기 때문이다.심리치료사로 죽고 싶은 내게 불교는 언제나 큰 통찰을 준다. 불가의 가르침인, 나의 마음, 나의 현재, 프레임을 바로 보고 내 생각의 힘으로(일체유심조)어리석은 집착을 내려 놓는 일(방하착). 그것이 바로 심리치료가 지향하는 일이 아니던가.학자이자 교육자답게 불학의 교육 목표부터 발생 이유와 방법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철학자의 불교 공부노트’ 를 읽다보면 알듯말듯하던 불경의 진리가 개론서처럼 눈앞에 쉽게 펼쳐진다. 이고득락(고통을 벗어나 즐거움을 얻는다.)을 키워드로 펼쳐지는 철학자의 공부내비게이션만 따라가면 적어도 이 책 안에서 길을 잃는 일은 없을 것이다. (나는 요즘 불광출판사 ‘사성제 필사단’에 합류해서 일묵스님의 ‘사성제’를 읽고 있어서 책내용이 더욱 입체적으로 잘 이해되었다.) 하지만 지지엔즈의 불학은 그저 머리로 이해하는 ‘이론 공부’가 아니라삶 속에서 실천하는 체득의 공부다. 언어의 틀에 갇혀 의의만 알고 실천하지 않는 것은 지지엔즈의 불학이 아니다. 이 점이 나의 불학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지지엔즈 교수의 책과 철학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종교를 넘어 마음의 평안을 얻는 통로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