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아지똥
유은실 지음, 박세영 그림 / 창비 / 2019년 11월
평점 :
‘나는 똥이다. ‘
이 첫 문장부터 코끝이 시큰거렸다.
마지막 장을 읽을 때는 아예 울어버렸다.
’강아지똥/ 권정생’이 처연하면서 감동적이라면
’송아지똥/ 유은실’은 아름다우면서 숭고했다.
이 동화책은
살아 있는 시간이 그렇게 짧은데 나이를 따지는 건 불공편하다며
말놓기를 청하는 스웩 충만한 감나무, 리듬감과
평화를 사랑하는 질경이, 평이가 있는 마당에서 ‘태어난’ 송아지똥 이야기이다.
송아지똥은 스스로를 똥또로똥이라고 이름붙이고
자신의 짧은 똥생을 생각하며 세상을 아름다움을 관찰하는 철학적인 똥이다.
이름은 부르기에 좋은 고유명사의 역할도 있지만
그보다 먼저 ‘존재’함을 선포하고 알리는 수단이기도 하다.
인디언들은 스스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스스로가 알아낸 자신의 정체성, ‘나’라는 존재에 대한 선언,
그것이 바로 이름인 것이다.
그런데 똥또로똥이라니...이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걸까.
그것을 알기 위해 우선 똥또로똥의 출생을 알아봐야 한다.
똥또로똥은 도망나온 송아지가 잡혀가기 전에 ’낳은’ 똥이다.
도망쳤다는 것은 갇혀 있다는 것을 알아야 일어나는 행동이다.
아마도 이 송아지는 갇혀있는 자신의 처지를 알고 자유를 꿈꾸었을 것이다.
송아지가 속박을 벗어나 도망칠 때
몸속에 희밍과 함께 품고 있었던 똥이 철학적이고 순수한 똥또로똥으로 태어난 것이다.
다시 잡혀가는 송아지가 남긴 희망의 한 조각이자
한 덩이 자유로 말이다.
-난 왜 여기서 태어났어?
-음 저 아랫마을 축사에,사는 송아지가 고삐가 풀린 틈에 도망쳤대.
여기까지 와서 너를 낳고는 저기로 다시 잡혀갔지.
-잡혀가는 건 슬퍼.
-똥또로똥. 그래도 도망쳐 봤잖아. 도망쳤으니까 잡힐 수도 있는거야.
어느 날, 똥또로똥은 강아지똥(권정생)이야기를 듣고 강아지똥처럼 쓸모 있는 삶을 꿈꾸게 된다.
하지만 시멘트 위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무엇으로도 쓰이지 못하고 굳어 죽는다.
그런 똥오로똥의 삶이 헛되고 쓸모 없다고 누가 감히 말할 수 있을까.
꼭 무엇이 되어서 죽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송아지똥, 똥또로똥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있는 그대로, 왔던 그대로도 충분하다고 위로한다.
한 점의 덜함도 더함도 없이 세상을 사랑하고
흐림없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속삭여준다.
아이에게 읽어주면서 어른이 위안받는 동화책이랄까.
그런 점에서 이야기를 듣는 아이들에게는
너희는 있는 그대로 소중하고 아름답다고 알려주고
이야기를 읽어주는 어른에게는
지금으로도 충분하다고, 잘 하고 있다고 가르쳐 주는 참 고마운 책이라고 생각한다.
의미없는 ‘똥또로똥’이라는 이름에도 이런 철학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거창하고 위대한 존재가 아니라
그냥 똥또로똥하게 태어나서 똥또로똥하게 살다 똥또로똥으로 죽는다는 것.
참으로 자연스럽고 아름답다.
마지막으로 나는 빌런 역할을 맡은 참새를 보며 악플러들을 떠올렸다.
날카로운 부리로 그저 상처를 주기 위해 쪼아대는 나쁜 존재.
그로써 상처받고 무너져 가는 피해자들..
몇 달내 있었던 안타까운 일들이 떠올라 가슴이 아팠다.
하지만 작가는 이 책에서 참새의 날카로운 부리를 이겨내는 방법을 알려 준다.
바로 주변의 공감과 용기가 그것이다.
-몰랐어?나, 주인인데. 이 마당에서는 여기 깃들어 사는 모두가 주인이야.
마당 주인들아. 모두 일어나!! 마당법을 어간 참새를 쫓아내자.
함부로 타인을 쪼아서도 안되지만,
당하고 있는 피해자를 위해 용기를 내어야 한다는 것.
약한 여럿이 모이면 큰 힘이 된다는 것.
무명, 무면의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가르침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