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떠든 사람 누구야? - 제3회 비룡소 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ㅣ 비룡소 문학상
윤해연 지음, 김진화 그림 / 비룡소 / 2014년 10월
평점 :
사람들에게는 은연중에 동화책은 왠지 맑고 밝고 순수한 내용을 담고 있을 것이라는 편견이 있을 것이다. 때로는 재미있지만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아 공허한 동화 속 캐릭터도 있다. 하지만 아이들도 어른들과 똑같이 다채로운 감정을 느끼고, 무심결에 저지른 잘못으로 죄책감을 느끼고 괴로워할 수도 있다.
「오늘 떠든 사람 누구야?」 책은 그런 의미에서 동화책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나는 아이들의 생활을 담은 동화책을 좋아한다. 그런 동화책을 교실에서 읽어주면 책 한 권으로 아이들에게 생활지도를 비롯해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가끔은 동화책이 아이들의 마음을 담았다기 보다는 ‘이렇게 해줬으면 좋겠다.’라든가 ‘아이들의 마음은 이럴거야’라는 어른들의 짐작을 담고 있어 자연스럽지 못하고 불편할 때도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다른 동화책과 다르고, 조금은 불편하기도 할 것이다. 꼭 소재나 글의 주제 때문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작가의 어조는 나지막하고 조심스럽고 느리다. 그래서일까, 아이들의 하루를 통해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게 되는 독자도 더 천천히 글을 읽게 되고 생각하게 된다.
어쩌면 직접적이지 않고 글의 내용을 통해 짐작해야 해서 어린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겠다. 떠든 아이들의 이름을 적으라고 했던 담임선생님이 영광이가 적은 수첩을 보고 당황하여 서둘러 나가신다던지 하는 상황 말이다. 영광이 조차 그런 선생님을 보며 ‘너무 화가 나서 그냥 나가신 걸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 설명해 주지 않아서 아이들은 자기 나름대로 선생님이 왜 나가신 건지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아이들이 만화가 아닌 그림책, 동화책을 읽어 좋은 점이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요즘은 정말 아이들이 즐겨 보는 TV프로그램이나 만화책을 보면 너무 자세히 인물의 마음상태에 대해 설명해 주는데 다른 사람의 마음을 미루어 짐작해 보는 것, 그 상황에 대해 생각해 보고 나라면 어떻게 할지 생각해 보는 것. 그런 시간이 아이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반 아이들에게도 읽어주고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 싶다. 또한 어른들이 읽으면 은연중에 아이들에게 잘못하는 어른들의 행동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하는 이야기이다.
‘내가 던진 돌’은 동생의 출생과 새의 죽음이 겹치며 봉구의 마음의 변화를 잘 볼 수 있었던 이야기이다. 비슷한 경험을 한 아이들에게 자신의 생활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죽음에 대해 아이 나름대로 받아들이는 마음이 어른들이 생각하듯이 상투적이지 않고(아이들은 죽음에 대해 잘 모를 것이라는) 아이들도 진지하게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좋았다.
‘구두장이 할아버지’에 나오는 하운이의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동생의 죽음에 대해 ‘너 때문’이라는 엄마의 말을 듣고 입을 다물어 버리게 되는 하운이가 할아버지와 함께 동생에 대한 죄책감을 치유하고 다시 입을 열게 되는 이야기이다. ‘주인이 없는 그림자’라는 표현이 참 인상적이었다. 어쩌면 그것은 미처 치유하지 못하고 우리 마음에 남아있는 상처의 또 다른 모습일 것이다. 주인 없는 그림자에게 신발을 신겨주며 좋은 곳으로 가라고 하는 할아버지의 모습에서 아이들의 아픈 마음을 들여다보고 위로하는 작가의 시선이 느껴진다. 어떤 일이든 슬픈 일을 겪고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이 글을 읽으며 위로를 받았으면 좋겠다.
다 큰 어른의 마음에도 아직 치유되지 못한 아이가 있다. 대부분 어린 시절에 받은 상처나 경험을 잘 해결하지 못하고 어른이 되어서일 것이다. 아이들이 혼자 읽어도 좋을 책이지만 부모님이나 선생님과 함께 읽으며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