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3월
평점 :
이 책의 장르는 무엇인가? 어쩌면 무용할지도 모르는 이 물음이 책장을 덮으며 밀려왔다. 물론 반드시 대답을 찾으려고 묻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의, 해괴하리만치 독특한 발상에 대한 반응일 뿐이다. 처음에 이 책을 살 때는 이 책의 자세한 사정에 대해 정보가 전혀 없었다. 그냥 여느때와 같이 재미있는, 이번에는 좀 독특한 미학에세이려니 하고 집어들었을 뿐이다.
글쎄, 이 책을 뭐라해야 할까? 이 책에 담긴 글들을 한 데 모아 장르적 특성을 뽑아본다면, 그것은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에 관한 글"이라고 밖에 할수 없을 것 같다. 일찍이 이런 책이 있었나? 이것은 "잘 노는(=놀이에 뛰어난)" 한 어른의 "놀이의 궤적에 관한" 글들인 것이다.
나같이 아날로그적인 인간은 책을 재밌게 읽으면서도 "선형적으로", 텍스트적으로, '앞에서 뒤'라는 한 방향으로만 쭉 읽어내려갔다. 그러나 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각 챕터에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 그렇게 의미심장하다는 것을 몰랐다. 이 책에는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색의 이미지적 구획이 있을 뿐이다. 또한 목차의 챕터별 번호는 원형으로 매겨져 있지 않은가! 이 책은 저자가 말하듯이 비선형적이며 파편적이다. 어디서부터 읽어도 맞물릴 수 있는 순환적 구조.
또한 매우 이미지적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양 손으로 책을 잡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책장을 휘리릭 넘겨보라. 순간적으로 눈에 포착되는 그림들은 제 각기 강렬하면서도 적확하여 책의 내용과 흐름을 정확히 환기시킨다. 일찍이 이렇게 '이미지'만으로도 이야기가 성립되는 이런 책이 있었던가?
다시 한 번 생각한다. 이 책의 장르는 무엇인가? 이 책은 무엇에 관한 책인가? 이 책은 무엇을 위한 책인가? 다시 한번 생각해도 이 책은 역시, 놀이, "잘 노는" 한 어른의 유쾌한 놀이, 진귀한 장난감들에 대한 이야기라고할까? 그리고 묘하게도 그 안에는 미학적이고 윤리적이고 또 존재론적인 지형이 모두 들어 있다. 저자는 마르크스가 말한 노동과 놀이의 일치에 대해 언급했는데, 어쩌면 저자는 노동과 놀이가 일치되는 예를 이 책 자체로서 보여주고 있지 않나 한다. 저자는 머리말의 끝에서 enjoy this book이라고 말했다. 이 책은 너무나도 경쾌하다. SO ENJOY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