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장르는 무엇인가? 어쩌면 무용할지도 모르는 이 물음이 책장을 덮으며 밀려왔다. 물론 반드시 대답을 찾으려고 묻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의, 해괴하리만치 독특한 발상에 대한 반응일 뿐이다. 처음에 이 책을 살  때는 이 책의 자세한 사정에 대해 정보가 전혀 없었다. 그냥 여느때와 같이 재미있는, 이번에는 좀 독특한 미학에세이려니 하고 집어들었을 뿐이다.

글쎄, 이 책을 뭐라해야 할까? 이 책에 담긴 글들을 한 데 모아 장르적 특성을 뽑아본다면, 그것은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에 관한 글"이라고 밖에 할수 없을 것 같다. 일찍이 이런 책이 있었나? 이것은  "잘 노는(=놀이에 뛰어난)" 한 어른의 "놀이의 궤적에 관한" 글들인 것이다.

나같이 아날로그적인 인간은 책을 재밌게 읽으면서도 "선형적으로", 텍스트적으로, '앞에서 뒤'라는 한 방향으로만 쭉 읽어내려갔다. 그러나 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각 챕터에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 그렇게 의미심장하다는 것을 몰랐다. 이 책에는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색의 이미지적 구획이 있을 뿐이다. 또한 목차의 챕터별 번호는 원형으로 매겨져 있지 않은가!  이 책은 저자가 말하듯이 비선형적이며 파편적이다. 어디서부터 읽어도 맞물릴 수 있는 순환적 구조. 

또한 매우 이미지적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양 손으로 책을 잡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책장을 휘리릭 넘겨보라. 순간적으로 눈에 포착되는 그림들은 제 각기 강렬하면서도 적확하여 책의 내용과 흐름을 정확히 환기시킨다. 일찍이 이렇게 '이미지'만으로도 이야기가 성립되는 이런 책이 있었던가? 

다시 한 번 생각한다. 이 책의 장르는 무엇인가? 이 책은 무엇에 관한 책인가? 이 책은 무엇을 위한 책인가? 다시 한번 생각해도 이 책은 역시, 놀이, "잘 노는" 한 어른의 유쾌한 놀이, 진귀한 장난감들에 대한 이야기라고할까? 그리고 묘하게도 그 안에는 미학적이고 윤리적이고 또 존재론적인 지형이 모두 들어 있다. 저자는 마르크스가 말한 노동과 놀이의 일치에 대해 언급했는데, 어쩌면 저자는 노동과 놀이가 일치되는 예를 이 책 자체로서 보여주고 있지 않나 한다. 저자는 머리말의 끝에서 enjoy this book이라고 말했다. 이 책은 너무나도 경쾌하다. SO ENJOYAB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천.히 그림 읽기
조이한.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천히 그림 읽기. 처음엔 그림을 천천히 읽는다는 줄 알았다. 그것도 꼭 틀린 건 아니지만, 다 읽고 나니 그림을 읽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천천히 알려주마, 라는 뜻에 더 가까운 것 같다. (책의 관점이 이처럼 오만불손한 것은 아니다. 아무튼) 저자는 조이한, 진중권 2 명으로 되어 있지만, 총 7개 장 중 한 개만 진중권이 썼고 나머지는 모두 조이한이 썼다. 그래서 진중권의 도발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기대한 사람이라면 살짝 실망할지 모르겠으나 조이한의 글쓰기 역시  매우 친근하면서도 진솔해 읽는 재미가 있다.

내용도 만족스럽지만, 이 책의 최대 미덕은 너무나 친절한 눈높이다. 저자의 화법은 매우 독자친화적이고, 구성 역시 세련되고 안정적이다. 형식과 내용이라는 기본적인 개념, 화가의 의식과 작품의 관계 등 그림을 진지하게 대하고자 하는 사람이 처음 부딪히게 되는 고민지점들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준다. 각 장의 구성이 체계적이므로 두서없이 읽어내려간 독자라도, 머리말을 다시 뒤적이며 읽은 내용을 정리해볼 수 있다. 진지하게 그림 읽기를 시도하려고 하는 초보자가 읽기에 적합한, 친절하고도 세련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앙겔루스 노부스 진중권 미학 에세이 2
진중권 지음 / 아웃사이더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마지막장을 덮으며 황보령의 노래가 떠올랐다. '사람이 되고 싶은데, 아름다운 사람이...' 

이 책은 근대미학을 탈근대미학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작업으로, 1장부터 9장까지 고대의 존재미학과 근대의 인식론적 미학을 중심축으로 이야기한 후, 마지막 10장에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존재미학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암시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무게중심은 마지막, 10장-앙겔루스 노부스-에 있다고 느껴진다. 저자는 마지막 장에서 자신의 삶에서 왜 예술이현재진행형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답하고 있는 듯하다. 플라톤의 시대에, 롱기누스의 시대에, 데카르트의 시대에... 예술은 인간에게 무엇이었고, 지금은 또 무엇일까.

이에 대한 저자의 답은 예술과 삶 간의 '존재론적 닮기'라는 관계다. 예술 안에는 인간이 있다, 유한성을 뛰어넘고자 하는 욕구, 변화에 대한 열망, 존재적 고양이라는. 저자는 '존재미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답을 찾은 듯하나, 같은 물음은 읽는 이에게도 전이된다. 전공 공부도, 일과 관련이 있는 것도,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닌데, 나는 왜 철새처럼 예술작품, 미학에세이(?)들 사이를 전전할까? 모르겠다.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는 열망과 관계가 있으리라. 예술에 대해서, 그러나, 그리고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책을 시작하며  '병든 인간만이 책을 읽는다'라고 했다. 그리 새삼스러운 사실은 아니지만, 가슴에 날카롭게 꽂힌다. 책전반의 내용과 어조는 이처럼 날카롭고 적확한 편이다. 이 총서 시리즈의 제목대로 '지식'을 살리는 역할은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짧은 분량이지만 서양 텍스트의 역사를 간략하고 탄탄하게 짚어주어 재미있게 읽힌다. 책이 목적한 바대로 고전에 대한 흥미도 유발되었다.  웃기게도, 책을 덮으며 '저자는 많이 아프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 책(텍스트)에 대한 사랑에 빠질수록 병은 깊어지지 않을까,라는 뜬금없는 생각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짐은 내 날개다
노은님 지음 / 샨티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책 서핑 중 우연히 ‘내 짐은 내 날개다’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노은님이라는 사람도, 그녀의 그림도 한번 접해본 적 없었지만 제목만은 뇌리에 선명하게 박혔다. 

제목만큼이나 강렬한 인상은 준 것은 책 속의 그림들이었다. 이 책에서 읽은 것 외에는 그녀를 알지 못하지만 책에 실린 그림들을 보고 있자면 왠지 그녀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둡고도 맑은 색감이 야릇한 개성을 드러내는 것 같고, 단순하면서도 엉뚱해 보이는 형태가 깊고 순수한 영혼을 보여주는 것 같다. 자기를 내세우는 드셈이 없으면서도 색깔과 고집이 배어나고 툭툭 한번에 지나간 것 같지만 굵은 힘이 느껴진다.


책을 읽기 시작할 때 그녀의 나이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았다. 책을 읽다보면 더욱 알 수 없어진다. 마음이 한없이 약한 어린 아이 같기도 하고, 삶의 작은 재미들도 놓치지 않을 만큼 감성이 풍부한, ‘사춘기’ 소녀 같기도 하고, 이제는 생에 아무 집착이 없는, 아주 나이든 사람 같기도 하다. 어린 마음을 잃지 않고 이런 모습으로 예순을 향해 가는 어른이라니 참 부럽다. 우울하고 폐쇄적이었던 젊은 날이 재미나게 열심히 사는 지금에 녹아들어 버린 모습이 아름답다. 인내심을 가지고 자기 마음에 충실하라, 불필요한 것들 하나씩 버리며 살라, 라는 가르침을 주는 것 같다. 마음을 깊이 울리는 그림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