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항에서 일주일을 - 히드로 다이어리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10년 1월
평점 :
알랭드 보통의 팬인 나는 또 다른 책을 찾아보다가 공항에서 일주일동안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적었다는 이 책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영국의 히드로 공항으로 부터 초청을 받아 일주일동안 공항내에 모든곳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허가를 받고, 공항의 '상주작가'로서 생활하게 된다. 그는 만약 외계인이 와서 지구의 문화, 기술, 신앙에서부터 자연파괴, 우리의 상호 관계성, 여행을 할때의 우리의 마음을 모두 포착할 수 있는 한 장소에 데려가야 된다면 그곳은 바로 공항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처음 상업적인 곳과 거래를 한다는 것에 탐탁치 않았지만 위와같은 이유때문에 거절해야할 이유를 찾지 못하고 상주작가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으로 공항에서 면세점이나 명품샵들을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이유로, 그는 어떤 의미로 사람들이 죽음앞에서 존엄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욕망과 관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비행기를 탈 때의 위험성 때문에 마지막 순간을 잘 보내고 싶어하는 욕구를 갖게된다. 또 하늘로 올라간다는 것은 실존이라는 주제, 그리고 종교와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다. 또 기술이 발전함에따라 비행기가 추락할 확률이 줄어듬에 따라 사람들은 더 종교에 의지하게된다. 신의 의지가 아니면 비행기가 떨어질일은 없는 것이다. 이 부분을 통해 뭐랄까 기술의, 과학의 역설같은 것을 느꼈다.
그 외에도 보통은 연인을 떠나보내는 사람, 오랫만에 가족을 만나 들 뜬 사람들, 폭발물 전담 처리반 직원들, 공항청소부, 구두닦이를 보며 그들의 사연을 들어보았다. 그리고 기내식이 준비되기위해 얼마나 많은사람들이 고생하는지도 그렸다. 사람들이 기내식을 먹으면서 음식에 대해 생각은하지만 그것을 만들기 위해, 생계를 꾸리기 위해 새벽부터 일하는 리투아니아 처녀는 떠올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보통은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췄다. 또 한 장소이지만 그곳에 살던 사람들과 처음으로 여행에서 온 사람들간의 의미의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잊기 때문에 행복을 다른곳과 동일시하게 되고 다시 여행을 떠나게 된다고 했다.
참신하고 재미있는 내용이었지만 약간 실험적인 구성이기도하고 여름날에 더워서 조금 쉬엄쉬엄 읽어서 그런지 템포가 조금 빠른것같아 약간 정신없기도 했다. 하지만 보통의 독특한 위트와 철학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고, 공항에 포커스를 맞추고 그의 시각으로 다양한 스토리를 잘 풀어냈다. 나중에 꼭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고, 여행에 대해, 또 공항에 대해 다른 의미를 느껴보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