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쓰는 기회가 늘수록 어떻게 하면 잘 쓸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된다. 이런 저런 방법을 찾아보다 글 쓰는데 도움이 되는 책을 읽기로 마음 먹고 찾은 책이 바로 "글쓰기 생각쓰기"이다. 여러 서평들을 보니 이 책은 많은 분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오호, 괜찮겠는걸. 이 책을 읽으면 글쓰기에 대한 내 생각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될 거야!"

이 책을 읽으며 든 생각은 다른 분들의 평가처럼 글쓰기에 대해 알아가기에는 좋은 책이라는 것과 제대로 읽기에는 어려운 책이라는 것이다. 우선 이 책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내가 글을 쓰면서 고민했던 것들이 상당 부분 들어있었다. 덕분에 어떤 방향으로 글을 써야할 것인가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글쓰기에는 지름길이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나 어려웠다. 책에 나온 내용들을 하나씩 하나씩 곱씹어가며 읽다보니 책의 분량에 비해 읽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버릴 내용이 없다는 말도 될 것이고, 책을 읽으며 많은 생각을 했다는 말도 될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우선 처음에는 좋은 글쓰기 원칙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어떤 글이 좋은 글이며, 우리가 써야할 글은 어떤 글인가 하는 이야기들이 들려준다. 그 다음으로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말해준다. 글 전체의 흐름을 일치시키는 방법과 어떻게 글을 시작하고 끝낼 것인지 그 방법을 알려준다. 이렇게 어떻게 글을 써야할 것인지에 대한 큰 이야기를 해준 다음에는 글의 형식에 따라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지 이야기해준다. 인터뷰, 여행기, 회고록, 과학기술 문서, 비즈니스 문서, 비평, 그리고 유머.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논픽션 글을 쓸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고 어떤 점을 신경써야 하는지 알려준다. 다음으로는 글 쓰는 자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어떤 자세로 글을 쓸 것인지 어떻게 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을지에 대한 글을 읽어보면 글 쓰는 것이 쉽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마지막으로 영어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건 원본에 들어있는 내용 중 영어 글쓰기에 대한 내용만을 따로 빼서 책의 마지막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영어 글쓰기를 하지 않는 사람이면 읽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좋은 글이란 무엇일까? 다른 곳에서도 많이 보아온 내용이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좋은 글이라는 것도 분명하고 간단한 글이다.

… 좋은 글쓰기의 비결은 모든 문장에서 가장 분명한 요소만 남기고 군더더기를 걷어내는 데 있다. 아무 역할도 하지 못하는 단어, 짧은 단어로도 표현할 수 있는 긴 단어, 이미 있는 동사와 뜻이 같은 부사, 읽는 사람이 누가 뭘 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게 만드는 수동 구문, 이런 것들은 모두 문장의 힘을 약하게 하는 불순물일 뿐이다. 그리고 이런 불순물은 대개 교육과 지위에 비례해서 나타난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19쪽.

글을 쓰는 것은 더하는 것이 아니라 빼는 것이다. 뭔가 주절저절 늘여놓기 보다는 필요한 것만을 집어넣고 빼도 되는 것은 빼야 좋은 글이 되는 것이다. 명심하자.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은 항상 어려운 일이다. 어려운 작업이 되는 이유 중 하나는 도대체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분명할 때는 글을 술술 잘 써지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다음 말을 이어가는 것이 참 어렵다. 무엇을 쓰고자 하는 것인지 내 자신에게 항상 물어보자.

… 글 쓰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야 한다. 나는 과연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그걸 모르는 경우가 너무 많다. 또 자기가 쓴 글을 읽어보고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야 한다. 내가 제대로 말을 했나? 이 주제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보기에 글이 명료한가? 그렇지 않다면 어딘가 모호한 구석이 있다는 것이다. 명료한 작가는 그것이 과연 무엇인지, 정확히 어디가 모호한지 알아보는 눈이 있는 사람이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24쪽.

그리고, 글을 쓰며 어려운 문제 중 하나가 누굴 위해 글을 쓰는가 하는 것이다. 자, 난 지금 이 글을 누굴 위해 쓰는가? 누군지도 모를 이 글을 읽을 사람을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는 문제 다음으로 또 하나의 문제가 여러분에게 닥칠 것이다. "누구를 위해 쓰는가?"

근본적인 문제인 만큼 근본적인 답이 있다. 자신을 위해 쓴다. 엄청난 수의 청중을 머릿속에 그리지 말자. 그런 청중은 없다. 독자들은 모두 서로 다른 사람이다. 편집자들이 어떤 종류의 글을 출판하고 싶어 할지, 사람들이 어떤 글을 읽고 싶어 할지는 생각하지 말자. 편집자와 독자는 막상 글을 읽을 때까지 자신들이 무엇을 읽고 싶은지 모른다. 게다가 그들은 언제나 새로운 것을 찾고 있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38쪽.

윌리엄 진서의 이 말은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누구를 위해 글을 쓰는가?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글쓰기에는 절대 지름길이 없다. 꾸준히 써봐야 글쓰기 실력도 늘어나는 것이다. 노력도 하지 않으며 왜 난 다른 사람처럼 글을 잘 쓰지 못하는 걸까 탓하지 말자. 매일 매일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글은 써야 는다. 그거야 당연한데, 이 말이 당연한 것은 그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배우는 유일한 방법은 강제로 일정한 양을 정기적으로 쓰는 것이다.

신문사에서 매일 글 두세 편을 써야 하는 일을 하면 여섯 달 안에 훨씬 잘 쓰게 될 것이다. 반드시 좋은 글을 쓰게 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군더더기와 진부한 표현이 가득할 수 있다. 하지만 종이 위에 언어를 펼쳐 놓는 힘과 자신감이 생기고 일반적인 문제를 알게 될 것이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49쪽.

이렇게 보면 기자들이 글을 잘 쓸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그들은 하루에 두세 편 이상의 기사를 써야 하니 돈 받으며 글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닌가. 더군다나 선배 기자들을 통해 교정까지 받으니 이 얼마나 좋은가!

어떤 글에서건 가장 중요한 문장은 맨 처음 문장이다. 첫 문장이 독자를 둘째 문장으로 끌고 가지 못하면 그 글은 죽은 것이다. 그리고 둘째 문장이 독자를 셋째 문장으로 끌고 가지 못하면 마찬가지로 그 글은 죽은 것이다. 이렇게 독자가 완전히 걸려들 때까지 한 문장 한 문장 끌고 가는 것이 글의 가장 결정적인 부분인 도입부이다.

… 따라서 도입부는 금방 독자를 붙잡아 계속 읽게 만들어야 한다. 참신함, 진기함, 역설, 유머, 놀라움, 비범한 아이디어, 흥미로운 사실, 질문으로 독자를 유혹해야 한다. 독자의 옆구리를 찌르고 소매를 끌어당기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또 도입부는 어느 정도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 글을 왜 썼으며 왜 이 글을 읽어야 하는지 독자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그렇다고 너무 이성적으로 호소하지는 말자. 독자를 조금 더 꾀어 계속 호기심을 갖게 하기만 하면 된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55쪽.

글을 쓸 때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항상 고민거리이다. 아직 글 쓰는데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짧은 블로그 글을 쓰면서도 이 문제로 고민 참 많이 한다. 글의 시작이 중요하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이걸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건 정답이 없는 것 같다. 결국 자꾸 써봐야 알겠지.

긴 글을 구성하는 법은 명쾌하고 즐거운 문장을 쓰는 법만큼이나 중요하다. 글쓰기는 일관적이고 순차적인 작업이며 논리가 그것을 이어주는 끈이라는 점, 한 문장과 그 다음 문장, 한 절과 그 다음 절, 한 단락과 그 다음 단락 사이에 긴장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 고풍스럽고 훌륭한 이야기 방식이 독자를 부지불식간에 끌어들인다는 점을 기억하자.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쓴 명쾌하고 즐거운 문장들은 산산이 흩어져버리고 만다. 독자는 글쓴이가 여행을 제대로 준비했다는 점만을 눈치 채야 한다. 모든 단계가 필연적으로 보여야 한다.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돌베개, 2007년 11월, 236쪽.

아직까지 긴 글을 쓸 기회가 별로 없었지만, 앞으로는 긴 글도 써보려고 한다. 남에게 보일 글이라기 보다는 생각을 정리하고 삶의 흔적을 남겨두기 위한 글을 쓰고자 한다. 이 책을 보고 회고록에 대한 관심이 많이 늘었는데,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회고록을 쓰겠다는 것은 아니고 글쓰기 연습을 하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 같다.

아무리 좋은 책을 읽었더라도 그게 내 것이 되지는 않는다. 읽은 내용이 내 것이 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 그것 밖에는 없을 것이다. 조금씩이라도 매일 노력하자.

이 책을 읽으며 아쉬웠던 것은 글쓴이가 미국 사람이다 보니 아무래도 책 내용이 영어권 사람들 위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문들도 영어를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라 아쉬웠던 부분들이 종종 있었다. 우리나라 작가 중에 이런 글쓰기에 대해 좋은 글을 써주신 분이 없을런지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글쓰기 생각쓰기, 좋은 글쓰기를 위한 조언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34 
    글을 쓰는 기회가 늘수록 어떻게 하면 잘 쓸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된다. 이런 저런 방법을 찾아보다 글 쓰는데 도움이 되는 책을 읽기로 마음 먹고 찾은 책이 바로 "글쓰기 생각쓰기"이다. 여러 서평들을 보니 이 책은 많은 분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오호, 괜찮겠는걸. 이 책을 읽으면 글쓰기에 대한 내 생각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될 거야!" 이 책을 읽으며 든 생각은 다른 분들의 평가처럼 글쓰기에 대해 알아가기에는 좋은 책이라는 것과 제대로 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