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건한 지성
노아 D. 오펜하임 외 지음, 김규태 외 옮김 / (주)하서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매일 매일 뭔가 한다는 것은 대단한 인내력이 요구되며 하기 싫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야할 일들이 있기 마련이다. 하기 싫지만 해야하는 일들, 우리 인생에서 이런 일들은 하나의 족쇄가 되어 삶을 짓누르기 쉽상이다. 만약 매일 매일 하는 것이 즐겁다면 우리는 그것을 즐기며 할 수 있을까? 처음에는 즐기며 할 수 있을 지도 모르지만, 결국 그마저도 매일 해야 한다는 자신 혹은 누군가와의 약속의 무게 때문에 지쳐버리지는 않을까?

『경건한 지성』, 이 책을 받아들고서 들었던 생각이다. 이 책은 기도서의 형식을 닮아있다. 하루에 한 페이지씩 읽은 수 있는 삶의 지혜를 일년 동안 꾸준히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분야는 요일에 따라 다르다, 첫째주 월요일, 역사를 시작으로 해서, 문학, 미술, 과학, 음악, 철학, 그리고 일요일에는 종교에 대한 글을 읽는 것까지 일주일 동안 일곱 가지의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처음 이 책을 받고 이 책의 구성과 담긴 내용에 대한 글을 읽고서는 나도 이 책을 머리맡에 두고 일 년 동안 꾸준히 읽어 볼 생각이었다. 그런데, 결국 단 며칠만에 실패하고 말았다. 책을 다 읽지는 못하더라도 일주일 동안 이 책을 읽은 느낌을 오늘 정도 써야지 마음 먹었지만, 지난 주말 동안 이 책을 집어들고서 다 읽어버린 것이다. 아껴두고 조금씩 조금씩 베어먹는 과자처럼 오래도록 이 책의 진국을 뽑아내고 싶었는데 안타깝다.

쉽게 이야기해서 이 책에 담겨있는 이야기들은 우리들이 알아두면 좋을, 아니 알아두어야 할 상식 수준의 이야기들이다. 깅기스칸, 아리스토텔레스, 윌리엄 포크너, 레오나르도 다 빈치, 잔 다르크,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나폴레옹 등 중근대 시대에 살아있던 선인들의 이야기들, 사회계약, 낭만주의, 회의주의, 공리주의, 표현주의, 도덕적 상대주의 등의 시대를 풍미했던 사상과 이론들, 조로아스터교, 종교개혁, 마리아 막달레나, 탈무드 등 종교에 대한 이야기들, 이런 내용들을 담은 한 쪽 분량의 이야기들의 365편이나 들어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아마도 철학에서 가장 유명한 명제는 르네 데카르트의 저서 『방법서설』에 나오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일 것이다.

데카르트가 내린 이 유명한 결론은 자신이 믿고 있는 모든 것을 철저하게 의심해 본 결과 도출된 것이다. 데카르트는 분명히 참임을 알 수 없는 모든 믿음을 배제하는 데서 출발했다. 예를 들어, 감각을 속일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감각적인 경험의 세계에 관한 믿음은 배제했다. 하지만 절대 의심할 수 없는 것 하나를 발견했다. 바로 자신이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데카르트는 자신이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 사실을 의심하는 것 자체도 이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논리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자신이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도 확실하다고 보았다. 데카르트는 이렇게 의심할 수 없는 하나의 믿음, 즉 자신의 존재에 대한 믿을 발견했다.

경건한 지성, 데이비드 S. 키더ㆍ노아 D. 오펜하임 지음, 조세형ㆍ김태규 옮김, 하서, 2009년 11월, 119쪽.


이렇게 분량이 많다보니 세계사에 등장하는 상당히 많은 부분에 대한 이야기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그것도 길고 상세한 설명보다는 우리가 꼭 알아두어야 할 정도의, 읽는 데 몇 분 걸리지 않을 정도의 이야기들이기 때문에 하루에 한 쪽씩 읽는데 큰 부담이 없을 정도이다. 하루의 시작을 혹은 하루의 마무리를 이 책과 함께 하기에 전혀 부담되지 않을 내용과 분량이다.

정언명령

… 또한 칸트는 도덕률을 몇 가지로 정식화했는데, 그 중에서 보편법칙의 정식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칸트는 이 보편법칙의 정식을 "네 의지의 준칙이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행위하라."라는 말로 설명했다. 여기서 준칙이란, 어떤 행동을 야기하는 규범을 말한다. 예를 들면, 여러분이 만약 남에게 돈을 빌리고 나중에 갚겠다고 거짓말을 한다면 여러분의 준칙은 '거짓말을 해서 돈을 구해라'가 된다. 하지만 이 준칙은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 타당하지 않으므로 그것에 따른 행위는 도덕률을 위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빌려간 돈을 갚기로 약속한 후 이행하지 않는다면 이 세상에서 돈을 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돈을 갚겠다고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준칙을 따르지 않기를 바란다. 따라서 이것은 도덕률을 위반하는 행위이다.

경건한 지성, 데이비드 S. 키더ㆍ노아 D. 오펜하임 지음, 조세형ㆍ김태규 옮김, 하서, 2009년 11월, 253쪽.

비록 이 책을 다 읽었지만, 이 책은 한 번 읽고 다 읽었다고 말할 수 있는 책은 아닌 것 같다. 그래서 난 이 책을 머리맡에 둘 생각이다. 하루의 시작을 이 책과 함께 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하루의 마무리를 이 책과 함께 하기 위해 노력할 생각이다. 새해의 첫번째 계획인 셈이다. 내년 한 해 동안 최대한 많은 날을 이 책과 함께 하고 싶다. 얼마나 지킬 수 있을런지 장담하기는 힘들지만, 내게 부족한 넓은 세상을 보는 눈을 이 책과 함께 채울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경건한 지성, 매일 읽는 365가지의 지혜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35 
    매일 매일 뭔가 한다는 것은 대단한 인내력이 요구되며 하기 싫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야할 일들이 있기 마련이다. 하기 싫지만 해야하는 일들, 우리 인생에서 이런 일들은 하나의 족쇄가 되어 삶을 짓누르기 쉽상이다. 만약 매일 매일 하는 것이 즐겁다면 우리는 그것을 즐기며 할 수 있을까? 처음에는 즐기며 할 수 있을 지도 모르지만, 결국 그마저도 매일 해야 한다는 자신 혹은 누군가와의 약속의 무게 때문에 지쳐버리지는 않을까? 『경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