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 우리는 나보다 똑똑하다
찰스 리드비터 지음, 이순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집단지성"은 깊은 관심을 기울이는 주제 중 하나이다. 그래서 이 책을 보기 전부터 상당한 기대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기쁘게도 이 책은 나의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이 책에서도 집단지성의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는 위키백과에 보면,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에 의한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집단지성에서는 개인이 아닌 집단이 주체가 된다.

이 책은 집단지성에 대해 상당히 날카롭고 폭 넓은 분석과 평가를 하고 있다. 물론 집단지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주로 다뤄지지만 집단지성에 대한 비판들도 함께 싣고 있다. 덕분에 지금까지 집단지성에 대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많은 부분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생각할 수 있었다.

왜 집단지성이 좋은 것일까? 왜 필요할까? 왜 많은 이들이 집단지성에 대해 이야기할까? 그것은 뛰어난 몇몇 사람의 생각보다도 평범한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들이 모일 때 더 좋은 해결 방법이나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아이디어는 다른 사람과 나늘 때 비로소 움직인다. 혁신과 창조, 더 근본적으로는 번영과 행복,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은 우리가 아이디어를 축적하고, 교환하고, 개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도구를 얼마나 갖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아이디어는 표현되고, 검토되고, 다듬어지고, 차용되고, 수정되고, 개작되고, 확장되면서 성장한다. 이런 활동은 한 사람의 머릿속에서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드물고, 대개 다양한 관점과 안목을 가진 수많은 사람들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찰스 리드비터 지음, 이순희 옮김, 21세기북스, 2009년 5월, 276쪽.

집단지성이 오래도록 유지되기 위해서는, 즉 협업 사업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있다. 막연히 대중을 위한 것이니까 혹은 좋은 일이니까 어떤 사업을 한다는 것은 처음에는 활기 넘치고 의욕을 가지고 일을 시작할 지 모르지만, 이를 지속하기에는 부족하다.

유토피아적 윤리관은 집단지성을 뒷받침할 수 없다. 이타주의에만 의존하는 집단지성은 오래 살아남지 못한다. 협업적인 사업모델이 성공을 거두려면, 사람들에게 보상을 하고 사람들의 욕구와 개별적인 목표를 충족시켜야 한다. … 그러나 이런 실용적인 혜택은 사람들의 협업적 활동을 촉진하는 유일한 요인이 아니다. 사람들의 협업적 활동을 촉진하는 또 다른 요인(실용성은 떨어지지만 효과는 매우 강력한)은 바로 남들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찰스 리드비터 지음, 이순희 옮김, 21세기북스, 2009년 5월, 282쪽.

집단지성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지도 모른다. 아직도 많은 분야에서 집단지성을 적용하고 끌어내는 것이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제는 집단지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끌어내고 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집단지성은 색다른 가능성을 안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자유주의적이고 계몽주의적인 전통 위에 세워진 신뢰와 협업의 가능성,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증거를 토대로 더 나은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신뢰와 협업의 가능성이다. … 집단지성은 경제발전을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사회발전을 위한 도구다.

우리는 아이디어를 공유해야 한다. 그것만이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이디어를 공유하면 아이디어는 점점 늘어나고 자라나서 아이디어를 더욱 강화하는 순환고리를 이룬다. 우리는 무엇을 갖고 있느냐뿐만 아니라 무엇을 공유하고 있느냐에 따라서도 규정된다. 이것은 우리가 앞으로 백년 동안 신조로 삼아야 할 가치관이다.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찰스 리드비터 지음, 이순희 옮김, 21세기북스, 2009년 5월, 295쪽.

건방진 소리이지만, 이 책의 경우 책을 옮길 때 쉽게 풀어 내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책의 내용이 소설처럼 쉬운 내용은 아니지만, 읽고서 한 번에 이해하지 못하고 여러 번 되새기면 읽은 구절이 많이 있었다. 내용의 흐름이라든지 용어의 선택 등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혹시라도 이 책의 개정판이 나오게 된다면 이런 점들을 고려해서 편집을 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43 
    "집단지성"은 깊은 관심을 기울이는 주제 중 하나이다. 그래서 이 책을 보기 전부터 상당한 기대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기쁘게도 이 책은 나의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이 책에서도 집단지성의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는 위키백과에 보면,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에 의한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집단지성에서는 개인이 아닌 집단이 주체가 된다. 이 책은 집단지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