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한창우 감수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전기이고 일대기이다. 하지만, 이 책은 보통의 전기 혹은 일대기와는 다르다. 전기나 일대기라고 하면 보통은 어떤 위인이나 성공한 사람을 대상으로 쓰여진다. 하지만, 이 책의 주된 대상은 사람이 아닌, E=mc² 이라는 하나의 공식이다.

이 책은 E=mc² 이라는 공식이 나오기까지 바탕이 되는 이야기들, 즉 이 공식이 세상에 나오기까지의 시대적 배경과 이 공식이 막 세상에 나온 유년기, 이 공식이 서서히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고 많은 사람들이 이 공식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하는 청년기, 그리고, 이 공식에서부터 새로운 발견들을 하게 되는 장년기에 이르기까지 이 공식에 얽힌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그 러다 보니 이 책에는 많은 물리학 법칙들과 물리학자들이 나온다. 중고등학교 과학과 물리 시간에 들었던 귀에 익은 법칙들과 학자들의 이름을 보니 반갑기도 하고, 이 사람들이 E=mc² 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또 어떻게 이 공식을 이해했으며, 어떻게 이 공식을 발전시켜나갔는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E=mc² 은 너무나도 유명한 공식이다. 이 공식은 1905년 아인슈타인이 특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면서 썼던 공식으로 "에너지는 질량에 빛의 속도의 제곱을 곱한 것과 같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공식이 뜻하는 바는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이 공식으로 인해 물리학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우주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된다. 또 이를 이용해 이 세상에서 없어져야 할 핵무기가 세상에 나오게 된다. 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과 미국이 서로 먼저 핵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얼마나 치열한 경쟁을 하였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는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한 권의 책으로 E=mc² 을 그리고 현대 물리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 물론 단숨에 읽어 내려가고, 또 읽은 것을 완전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어렵지만, 잠시 옛 기억을 되살리며 물리학의 세계로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E=mc²
    from thoughts.mooo 2010-02-13 21:44 
    이 책은 전기이고 일대기이다. 하지만, 이 책은 보통의 전기 혹은 일대기와는 다르다. 전기나 일대기라고 하면 보통은 어떤 위인이나 성공한 사람을 대상으로 쓰여진다. 하지만, 이 책의 주된 대상은 사람이 아닌, E=mc² 이라는 하나의 공식이다. 이 책은 E=mc² 이라는 공식이 나오기까지 바탕이 되는 이야기들, 즉 이 공식이 세상에 나오기까지의 시대적 배경과 이 공식이 막 세상에 나온 유년기, 이 공식이 서서히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고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