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일약국 갑시다 - 무일푼 약사출신 CEO의 독창적 경영 노하우, 나는 4.5평 가게에서 비즈니스의 모든 것을 배웠다!
김성오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책 제목이 "육일약국 갑시다"이라는 것이 이상했다. 책을 읽고 나서야 아하! 왜 이 책의 제목이 이렇게 지어졌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
지 은이 김성오님은 메가스터디 엠베스트 대표이사이다. 이 분이 걸어온 길을 보면 약간은 이해하기 힘든 구석이 없지 않아 있다. 마산의 조그만 약국의 약사에서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국내에서 가장 큰 중학생 전문 온라인 교육업체의 대표이다. 쉽사리 연결되지 않는 직업들이다.
이 책에서 김성오 대표는 자신이 걸어온 길, 어떻게 조그만 약국의 약사가 기업형 약국을 경영하고 청소기 부품 제조업체의 사장을 하고, 이제는 온라인 교육 사업까지 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하고 있다. 즉, 자신이 걸어온 인생을 우리에게 말해주며 어떻게 하면 이 험난에 세상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성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김성오 대표께서는 "섬김"과 "사람"을 강조하고 있다. 장사 혹은 사업이라는 것은 이익보다 사람을 남기는 것이라고 말하며 이를 통해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는지 이야기해준다.
매 일매일 정성껏 씨앗을 뿌리다보면, 오늘 거두는 열매도 있고 내일 거두는 열매도 있게 마련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씨앗을 뿌리는 것이다. 매일 두 개의 씨앗을 뿌리고 하나의 열매를 거두면, 점점 수확은 늘어나게 될 것이다. 예전 뿌려두었던 씨앗의 열매를 거두는 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1개를 뿌리고 1개를 거두거나, 0.5개를 뿌리고 1개를 거두는 욕심을 부리면, 금방 바닥이 드러나고 더 이상 수확을 할 수 없다. 이는 영업이나 마케팅 등 대인관계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황금률이다.
육일약국 갑시다, 김성오 지음, 21세기북스, 2007년 7월, 72쪽.
뿌 린 만큼 거둔다. 이건 절대 진리인 것 같다. 뿌리지도 않고 거두려고만 하면 거둬들일 것이 있겠는가? 욕이나 먹지 않으면 다행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흔히 감나무 아래에서 감 떨어지기를 기다리듯 뿌리지도 않고 얻기만 바라는 경우가 많다. 세상은 절대 그렇게 돌아가지 않는데 말이다. 그러면서 세상을 탓하는 경우도 있다. 난 열심히 감나무 아래에서 입 벌리고 기다리고 있는데, 왜 감은 떨어지지 않는 것이냐고!
우리는 흔히 Give&Take 라는 말을 한다. 말 그대로 '주고받는' 것이다.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바로 순서다. '기브(give, 주다)'가 '테이크(take, 받다)'에 선행해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받은 만큼 주게 된다. 그게 인지상정이다. 그리고 베푸는 삶을 살다보면 내가 나눈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받게 되어있다.
육일약국 갑시다, 김성오 지음, 21세기북스, 2007년 7월, 78쪽.
요즘은 받는 것에만 익숙한 사람들이 많아서, 이 말을 실천하는 것이 마음 내키지는 않다. 그래도 베풀고 베풀다 보면 하늘이 감동하고 사람들이 감동해서 내 뜻을 알아줄까? 아마 이런 생각이 성공한 사람들과 나의 차이이겠지.
'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는 옛말이 있다. 맞는 말이다. 울어야 한다. 나를 알리기 위해서, 관심을 끌기 위해서 울어야 한다. 적극적인 아이만이 눈물과 콧물이 범벅된 떡이라도 입에 넣을 수 있다. 자신의 욕구를 알리고 쟁취하는 데 부끄러움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육일약국 갑시다, 김성오 지음, 21세기북스, 2007년 7월, 134쪽.
사 실 나의 어려움이나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것은 창피해서 하지 못한다. 이 글을 보면 역시 그렇기 때문에 더 힘든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려우면 어렵다고 이야기하고 필요한 것이 있다면 필요하다고 말한다면 다른 사람이 그것을 지금 당장 들어주지 않더라도 내가 어렵거나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을 테니 나중에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도 적당히! 지나치면 아니한 만 못하다.
경쟁은 역전도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회다. 만약 경쟁이라는 것이 없다면 나는 여전히 4.5평의 약사로 남아있을지도 모른다. 경쟁이 없다면 가진 자는 항상 넘치고, 없는 자는 항상 부족한 상태가 고착될 것이다. 거지는 죽을 때까지 거지로, 부자는 죽을 때까지 부자로 산다는 말이다. 경쟁은 거지도 부자로 만들 수 있는 역전의 기회다.
육일약국 갑시다, 김성오 지음, 21세기북스, 2007년 7월, 174쪽.
이 내용을 보면 이 분이 얼마나 긍정적으로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보통 사람이라면 출발선이 다른데 어떻게 경쟁이 되느냐라고 말할 것이다. 나부터도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 동일한 결승점을 두고 서로 다른 출발선에서 출발할 때 누가 더 유리할까? 뒤에서 출발한 만큼 더욱 노력하면 가능해지지 않을까. 물론 그만큼 힘은 더 들겠지.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도 많을테고.
이 분의 이야기를 보고 있자니 정말 이렇게 해서 성공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이렇게 살아가다가는 바보 소리 듣기에 딱 좋지 않을까 싶다. 이런 우직함이 있었기에 지금의 그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섬길 줄 알고, 사람이 전부라는 것을 안다는 것. 쉬운 것처럼 보이지만, 가만 생각해보면 그리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