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웃라이어"는 보통 사람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별한 혹은 성공한 사람을 말한다. 그리고, 말콤 글래드웰이 쓴 흥미로운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무엇이 성공을 가져오는 것일까?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연구하였고 책을 썼다. 성공 요인의 대표적인 것은 재능과 노력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명석한 두뇌, 상황 판단 능력, 특별한 기술 등의 재능이 필요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말콤 글래드웰은 이 책에서 노력 혹은 연습을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10,000 시간의 법칙"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 특별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최소한 10,000 시간 동안 연습하고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빌 게이츠, 빌 조이, 비틀즈 등의 예를 들며 "10,000 시간의 법칙"은 성공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원칙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에서 흥미로운 것은 성공의 요인을 단순히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한정 짓지 않았다는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 외에도 시대를 잘 타고 나야 하며, 사회 환경과 사회 문화가 적절히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는 당연한 것인데도 우리는 "성공"이라는 키워드에서 "능력"과 "노력"만을 너무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에 말콤 글래드웰은 성공에 있어서는 "능력"보다도 시대적인 상황과 사회 환경 등이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캐나다 하키 선수 등 스포츠 선수들, 빌 게이츠, 빌 조이, 비틀즈, 조셉 플롬 등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물론 이들에게는 뛰어난 능력이 있었지만, 단순히 능력만으로 그들이 성공한 것이 아니라, 10,000 시간 동안 꾸준히 준비하고 노력했으며 시대적인 상황이 그들을 도왔다고 이야기한다. 즉, 성공에서 환경적인 요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말이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가족 환경 혹은 사회 환경 등이 적절히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성공할 수 없다는 단순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전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은 성공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이를 통해 자녀 교육에서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생각들도 얻을 수 있다. 왜 동양의 학생들이 수학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우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 것들이 알게 모르게 우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지는 말해준다.
꼭 재산을 많이 모으고 명예나 명성을 얻는 것만이 성공은 아닐 것이다. 그래도 우리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 이런 것들을 무시할 수는 없다. 성공을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 책에서 강조하는 "노력"과 "상황", "환경" 등에 관심을 가져야하지 않을까 싶다.
하키 선수, 빌 조이, 로보트 오펜하이머, 그리고 그밖에 다른 어떤 부류의 아웃라이어라고 하더라도 드높은 횃대 위에 앉아 사람들을 내려다보며 진심으로 "나는 이 모든 것을 내 힘으로 해냈다"라고 말할 수 없다. 슈퍼스타 변호사와 수학 천재, 소프트웨어 기업가는 얼핏 우리의 일상적인 경험에서 벗어난 존재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그들은 역사와 공동체, 기회, 유산의 산물이다. 그들의 성공은 예외적인 것도 신비로운 것도 아니다. 그들의 성공은 물려받거나, 자신들이 성취했거나 혹은 순전히 운이 좋아 손에 넣게 된 장점 및 유산의 거미줄 위에 놓여 있다. 이 모든 것은 그들을 성공인으로 만들어내는 데 결정적인 요소였다. 아웃라이어는 결국, 아웃라이어가 아닌 것이다.
"아웃라이어", 말콜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김영사, 2009년 1월, 3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