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날 갑자기 무엇인가를 하던 채로 그대로 눈이 멀고, 그것은 전염이 된다. 수용소에 격리되고 도시의 기능은 마비되고 사람들은 원시의 위험에 노출된다. 눈이 멀어서 다르다는 점은 세상이 온통 하얗게 보인다는 것. 그러나 그도 세상이 보이지 않기는 매한가지. 소설은 어둡고 칙칙하게 시작되어 작가가 그려내는 상황을 그대로 따라가기가 다소 거북하다. 어둡고 또 어둡지만 눈먼 자들이 어둠 속에서 차차 익숙해지듯 어느덧 소설 속으로 스며든다.


  상황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우리는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한다는 말 속에 우리의 현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 우리는 어느 틈엔가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기를 갈망하면서 하루를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가 생각해볼 일이다. 소설 속 상황처럼 볼 수 없게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생각하게 되지만, 눈이 멀어서 볼 수 없는 것들 속에는 처음부터 보려고 하지 않아 볼 수 없었던 것들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 소설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사람, 안과의사의 아내. 그녀는 눈먼 사람들의 처음부터 끝까지 그 모든 것을 바라본다. 차라리 눈이 멀었다면 그 속에 휩쓸려 갈등하지 않아도 좋을 것들을 갈등하며 때로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눈먼 사람들의 처지에서 선택을 하기도 한다. 누군가 눈먼 사람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때로 관찰하고 때로 그 입장이 되어 행동해야 한다면 그녀를 선택한 작가의 안목은 적중했다. 반면에 안과의사가 눈먼 사람들을 어쩌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뿐만 아니라 도시 전체, 한 국가, 전 세계의 모습은 무기력한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단지 눈이 멀었을 뿐인데 세상은 뒤집어진다. 눈이 멀었기에 어떤 행동도 불사하는 사람들 내면 깊숙이 도사리고 있는 본성을 파헤친 장면은 섬뜩하다.


  가장 심하게 눈이 먼 사람은 보이는 것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말, 생각해 보기로 하고, 그래도 보고 싶어하는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과 사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거라는 말과도 통하는 구석이 있다.


  ‘모든 행동은 늘 쉽게 설명할 수는 없다. 때로는 어렵게도 설명할 수가 없다.’ 작가가 설정한 ‘눈먼 자들의 도시’가 그렇다. 어쩌면 사마라구가 형상화한 소설 속 눈먼 자들의 이야기는 현실의 적나라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세상에 태어나서 세상의 규칙 속에 어우러져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로서는 소설 속의 이야기가 비현실적으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어느 순간 찾아드는 설명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항변으로 이 소설을 떠올리게 될지도 모른다. 한편, 무엇에든 익숙해지는 사람으로서는 그러한 항변의 기회마저도 쉽사리 잊고 일상사로 돌진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저 잊은 듯이 생활하는 것이 전부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