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유 있는 '뻥'의 나라 - 황희경의 차이나 에세이
황희경 지음 / 삼성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중국의 강호 속으로 고고씽~!

세계는 지금 중국을 주목하고 있다.
중국에겐 무엇이 있을까? 중국에겐 무엇이 힘일까?
모든 사람들이 궁금해 한다.

나는 경제적인, 정치적인 이유를 떠나서 모두에게 이 책 읽기를 권하고 싶다.
서평 서두부터 이 책읽기를 광고하듯 말하는 이유는 퍽이나 잘 짜여지고 흥미롭고 유익하게 그리고 무엇보다 여유있게 이 책을 읽을 수가 있어 좋았기 때문이다.
문학 평론집이라고 하면 거창할 것 같고 중국의 사회문화 비평집이라고 해도 거창할 것이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이 흥야~ 흥야~ 여유로움 속에 녹아 있다고 한다면 다분한 나의 과장된 감상일까?

이 책을 읽는 중간에 <로빙화>라는 아주 오래된 중국영화도 한 편 보았다.
왠지 '변하는 중국, 변하지 않는 중국'이라는 부제에 딱 맞는 영화 한편을 본 듯한 느낌인지 모르겠다.
(비단, 중국만이 아닌 세계로 확장해서 봐도 무방할 터이지만 좀 더 세부적인 주변 묘사에서의 중국은..)
그것은 본 사람들이 판단하고 공감할 문제이니 각설하고.

모두들 들어만 보고 깊이있게 그것들에 대해 자세히 모르겠다 싶은 이야기들.
아큐, 샤오쯔, 차, 홍루몽, 서유기, 루쉰, 마오, 공자, 논어, 장자, 삼국지, 손자병법 등등 이 모든 것이 이 한 권의 책에 다 나온다. 조곤 조곤 이야기하는 저자의 짤막 짤막한 글들을 읽어내려 가다 보면 어느새 이것들을 읽은 기분으로 달한다. 아니, 다시 새로이 읽고 싶게끔 인도한다.

중국, 중국인에겐 알 수 없는 내공의 힘.
책을 읽으면서 중국인들의 내면에 달통達通의 힘, 달생의 힘이 깃들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면,
옛날에 두 사람이 아주 격렬하게 싸웠다.
한 사람이 사칠은 이십팔이라 하고, 한 사람은 사칠은 이십칠이라고 하여 싸움이 이뤄진 것이다.
그런데 고을 원님이 사칠은 이십칠이라 한 사람은 무죄석방 시키고, 사칠은 이십팔이라 한 자를 곤장 판결을 내린 것이다. 이유는 왜 일까?
고을 원님의 대답은 "사칠이 이십칠이라고 주장할 정도로 멍청한 놈과 끝끝내 싸우는 사람이 더 멍청한 놈이니 널 때리지 않으면 누굴 때리겠느냐?" 했다는 것.

이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읽어도 재미있다. 하지만 작가의 덧붙이는 의미를 보면 더욱 의미깊다.

첫 번째는 싸우지 않는 지혜를 말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싸울 필요가 없을 정도로 분명한 상식문제를 두고 싸우지 말아야 한다. 만약 싸운다면 바보라는 것이다.두 번째는 씁쓸한 사실을 말해 주고 있는 건데, 그건 바로 사칠이 이십팔이라고 주장하다가 도리어 매를 맞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현실에 대한 하나의 풍자라고 할 수 있는데 사칠이 이십칠이라고 한 자가 거꾸로 무죄로 석방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p. 204


라고 말한다.
너무 생각의 여유를 둠을 잘라버리는 말에는 경계할 필요가 있지만, 이처럼 미처 생각지 못한 각도까지 바라보게 함에는 분명 좋은 글이다. 예전에 어디에서 "책을 100% 믿는 사람은 바보"라고 하는 말을 읽었던 것 같다. 나도 어느 정도 그 말에는 동의하지만 이 부분에서 만큼은 내가 미처 보지 못한 각도까지 제공함에 "역시 책읽는 맛은 이런 것!" 하는 생각을 하게 했다. 읽으면서 무릎을 탁! 치게 하는 그 무엇 말이다.
사실, 무죄석방된 사람까진 다시금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인상깊은 책 속 이야기는 <손가락 두 개로 표하는 감사> 부분인데 이 부분도 참으로 기발하며 좋다.
못 읽은 분들을 위해 살짝 감춰둬야 겠다. 다들 책을 읽으면서 옛 중국인의 기발한 기지를 확인하시길~

"오래된 책도 새로운 눈으로 보면 새 책이고, 새 책도 헌 눈으로 보면 헌 책이다." p. 232
라는 말이 나온다. 그래서 일까? 이 책 곳곳은 이 문장에 걸맞는 그런 이야기 구성집이다.
옛 이야기를 아주 재미있게 잘 구성해 놓은 새 책인 [중국이유있는뻥의나라].
<논어>, <장자>, <홍루몽>, <서유기>, <아큐정전> 등 중국의 고전들을 전부 새로 읽고 싶게끔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아니, 나만의 시각이었다면 이렇게 재미있게 못 찾아볼 것 같다.

덧붙이자면, 책 표지 맨뒷의 추천의 글중 가장 이 책과 근접한 추천의 말은 한미화 출판칼럼니스트가 쓴 말이 아닌가 싶다.
"잭 웰치는 '돈을 생각한다면 중국어를 배워야 한다'고 했지만, 중국은 돈으로 보려 해서는 잡히지 않는 그 무엇은 아닐까. 저자는 자본의 안경으로는 볼 수 없는 21세기 중국의 변화무쌍한 얼굴을 특유의 내공과 재치로 보여준다."

참으로 간략하고 탁월하다. 공감한다. 자본의 안경으로는 볼 수 없다.
중국, 그들의 강호속으로 다들 한 번 들어가 보시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