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 톨스토이의 마지막 3부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상원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보이반의 산 이야기]의 저자 최성현은 산에서 농사도 지으며 번역일도 하고 글도 쓰며 사시는 분이다. 예전에 한 지역MBC 다큐 '잡초는 없다'의 방송으로 알게 되었는데, 그때 저자는 톨스토이의 <바보이반>과도 같은 삶을 살고자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톨스토이의 글은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의 길을 만들어 줄 만큼의 바이블과도 같다. 나 또한 톨스토이의 그러한 가르침이 좋아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오늘의 책 출판사에서 나온 콩알책을 지인들에게 곧잘 선물로 주기도 한다.

 

그런 대문호의 마지막 저서라니 더욱 읽어보고 싶었다.

운문형식으로 엮인 글들이라 잔잔한 여운을 주며 읽히는 글들은 많은 감동을 준다.

하지만 요즘같이 물질주의가 만연해 있고 육체적인 쾌락과 즐길거리가 즐비한 세상에서

간혹 이러한 가르침은 톨스토이에 대해 예찬하는 나조차도 어떤 문구에서는 조금 반감이 드는 구절도 있긴 하다. 하지만 전체적인 가르침의 느낌을 흡수하는 것이 먼저 일거란 생각이 든다.

그에 따라 자신에게 비춰 행할 것은 자기에게 달린 일!

 

이번 책을 읽으면서 국내 법정스님의 말씀과도 닮은 구절을 많이 찾게 되는데.. 같이 나열해도 될까 조심스럽다.

전체적인 나만의 주!주제라 함은 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되도록이면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알고 행하지 않는 것. 無爲.

우리는 너무 시끄럽고 너무 바쁘게 할 일들을 만들어 쌓아가며 산다.

 

조용 조용 타이르듯한 말투의 권고는 그러한 짐들을 내려놓으라 말하는 듯 하다.

이 책은 나의 책 읽기 스타일이 유감없이 발휘되는 책이었다.

가뜩이나 느리게 활자를 읽어가는 나에게 여기에 나오는 글귀들은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나를 오래도록 붙잡는다. 눈동자가 아래로 다음 장으로 빨리 옮아가지 못한다.

한꺼번에 읽어내려가면 그 맛이 제대로 나질 않았다.

그저 두고 두고 서너 페이지 읽을 때에야만 맨쌀밥을 입에 넣고 오물오물 오래 씹어 삼키는 그런 달콤한 맛이 난다.

 

톨스토이는 이 책으로 더욱 많은 분들의 멘토와도 같은 역할을 계속 해나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