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 - 2025년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스즈키 유이 지음, 이지수 옮김 / 리프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괴테를 향한 괴테를 위한 괴테에 의한 삶 ] #광고

<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

스즈키 유이 지음

이지수 옮김 | 리프


괴테 때문에 괴로웠다.

<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의 도이치는 우연히 홍차 티백에서 발견한 괴테의 말이라고 하는 명언의 출처를 알지 못해서 괴로웠고, 나는 그런 도이치를 바라보며 괴테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해서 괴로웠다. 이 책은 괴테를 향한 괴테를 위한 괴테에 의한 도이치 및 그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파우스트> 마지막 장에서는 모든 우주의 시공간이 사랑으로 하나가 됩니다. 하지만 각 각세계는 저마다의 특성을 잃지 않지요. 그것이야말로 괴테의 꿈이었습니다. 그도 이렇게 말했습니다. Love does not confuse everything, but mixes. - Gothe" _p.121_

내가 앞서 언급한 '괴테를 향한 괴테를 위한 괴테에 의한 이라는 말은 조금 과장된 감이 없지 않은 말이지만 책을 읽고 도이치의 마음과 일상을 따라가다보면 위의 말이 맞구나 싶을 것이다. 괴테를 이토록 사랑할 수 있다니!

" (...) 명언은 분명 유명한 위인의 유명한 말이지만, 실제로는 익명성과 무개성이 조건이 되는 셈이야. 혹은 맥락에서 떨어져 나왔기 때문에 오히려 온갖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도 만점의 말이거나. 근데 난 그래도 된다고 봐. 착각이야말로 평범한 말을 명언으로 만들어 준다고나 할까. 요즘 시대에 소설의 한 구절이나 하이쿠 시구, 정치가의 연설, 유행어 같은 게 명언이 되려면 사람들의 '신화력'이 회복되어야 해!" _p.80-81_

문학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유명한 작가들에 대해 한때 관심이 많았는데 괴테에 대한 건 별로 떠오르지 않아서 속상했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인상적이어서 커서 다시 읽었던 기억이 있고, <파우스트>는 글쎄.. 아직인 것 같다. 조금이라도 더 알고 있었더라면 도이치의 마음에 더 이입할 수 있지 않았을까. 물론 도이치는 괴테 연구의 일인자 즉 학자이기 때문에 내가 그 깊이까지는 다다르지 못하리라는 건 자명하지만 아무튼! <파우스트>를 최근에 읽은 독자라면 더 재미있게 이 책을 읽을 수 있을 듯하다.

소설 제목 같지 않은 이 소설은, 도이치가 괴테의 명언이라고 쓰여 있는 말( Love does not confuse everything, but mixes. - Gothe)의 출처를 추적하는 과정이 나온다. 자료를 찾아보고, 책을 들여다보고, 지인들에게 연락을 하고, 동료 교수들이나 연구자들에게 물어보고 토론을 하면서 약간은 의아함이 들 정도로 집착을 하게 된다. 가족에 대한 이야기, 주변 사람들과 관계에 대한 이야기도 도이치의 일상과 함께 자연스럽게 나오고, 끝까지 다 읽으면 도이치의 변화된 모습을 알 수 있으니 괴테와 자신이 상관이 없다고 생각되더라도 책을 덮지 말기를 권한다. 물론 충분히 흥미롭다.

더더욱 알 수가 없어졌다. 괴테의 명언도, 딸도, 모든 게 그 말을 못 찾았기 때문이라고 곧장 책임을 전가해 버릴 수 있다는 편리함을 생각하면 끝까지 찾지 못하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_p.163_

앞부분에 집중을 못했던 감이 있었는지, 나는 책을 다 읽고나서 또다시 맨 앞으로 (prologue) 돌아왔다. 이 책의 시작이자 도이치의 지금에 대해서 나와 있었다. 이걸 알고 소설을 시작하면 더 좋을 듯해서 언급한다.

누군가의 명언이나 괴테에 관심 있는 사람 모여라!

명언이 세상에 이렇게 많이 있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 리프, 포레스트 북스 책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괴테는모든것을말했다_라라

#책을대신읽어드립니다_라라

#괴테는모든것을말했다 #스즈키유이 #이지수 #리프 #포레스트북스 #괴테 #명언 #독일 #유럽 #연결 #사랑 #이키다서평단 #도서협찬 #아쿠다가와상 #소설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