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 50주년 기념 에디션
린다 노클린 지음, 이주은 옮김 / 아트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린다 노클린 지음

이주은 옮김 | 아트북스




작년에는 <자화상 그리는 여자들>을, 최근에는 <완전한 이름>을 읽으면서 여성 미술가에 대한 생각을 꾸준히 하게되었다. 그리고나서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라는 제목을 접했을 때 앞의 책들을 떠올리며 '그래, 여성 미술가들이 참 없어. 많이 힘든 상황이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작품 활동을 해왔지. 대단해. 멋있어.' 라는 생각을 했다. (세 권 다 '아트북스'책이네?!! 오오~ 역시 아트북스 : )


사실 책이 얇아서 (주석 포함해서 127 페이지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접근했다. 앞서 읽은 책들과도 결이 비슷할 거라고 지레짐작 하기도 했다. 하지만 머릿글을 읽으면서 자세를 바로하고 좀 더 진중하게 읽어야 하는 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례]

- 머리글_캐서린 그랜트

-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30년 후


이 책에 실린 린다 노클린의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며 페미니즘 미술사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한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간과했던 점은 '여성 미술가'가 아니라 '"위대한" 여성 미술가'라는 점이었다. 일반적인 여성 미술가에 대해서는 내가 여태껏 관심을 많이 두고 있었다. 하지만 '위대한'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여성 미술가는 크게 신경을 써 본적이없다. 아니, 반고흐처럼 위대한 미술가라는 타이틀이 붙은 남성 미술가들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지만 여성 미술가의 위상은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었기에 나의 오류가 시작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형제들이여, 잘못은 별들에게 있는 것도 아니고, 호르몬, 월경주기, 또는 우리 내부의 빈 공간에 있는 것도 아니다. 잘못된 것은 제도와 교육인데, 여기서 교육이란 사람이 의미있는 상징과 기호체계, 그리고 신호의 세계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망라한다. 과학, 정치학, 예술 등은 백인 남성이 특권을 누리는 분야다. 그들이 여성이나 흑인에 비해 성공할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여성과 흑인이 낸 순수하게 뛰어난 성과는 사실상 기적에 가깝다." _p.32_


예술 전반에 걸쳐서 여성들이 재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에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라는 의문점을 제시하고, 특히 위대한 여성 미술가라는 그 한계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서술하며 파고들고 있다. 예술 분야 중에서도 미술 분야에 있어서 생각해 보지 못했던 부분은 "누드의 문제"에 나와있다.


"미술가를 지망하는 여성에게는 남자 모델이든 여자 모델이든 상관없이 누드모델이 전면적으로 제공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893년 말이 될 때까지 '숙녀' 학생은 런던의 왕립미술원에서 인체 드로잉 수업에 들어갈 수 없었고, 그해 말부터 입장이 가능해졌다 해도, 모델은 "신체 일부는 옷으로 가려진" 상태여야 했다." _p.47_ 누드의 문제_


나의 깜량의 문제로 내용을 잘 요약할 수가 없음이 안타깝지만 이 글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봐야지 그 흐름을 잡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여성남성 구애없이 꼭 읽고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남성의 더 큰 '관용'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항상 결혼과 직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듯 보인다. 이를테면, 성공의 대가로 고독을 얻거나, 직업을 포기한 대가로 성관계를 하고 동반자를 얻는 것이다." _p.62_ 숙녀의 업적_


"그들은 예외없이 모두 미술가 아버지의 딸이거나, 아니면, 좀더 이후인 19세기와 20세기에는 강하고 지배적인 남성 미술가와 긴밀한 개인적 관계를 가졌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특징 중 어느 것도 남성 미술가에게는 특이할 것이 없다. 앞에서 언급한 미술가 아버지와 아들의 경우처럼, 미술가 아버지의 딸이 미술가로 살 수 있다는 것은 적어도 최근까지 거의 예외 없는 사실이다." _p.69_ 성공_


"우리는 그저 무늬만 여성 평등이 아니라 진정한 여성 평등을 위해,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질문 중 하나를 다루고자 했다. (...) 이로써 이 글이 예술의 다른 영역들을 탐색할 패러다임을 제공했기를 바란다. 여성에게 기회를 박탈하고 또는 불이익을 주었던 사례 - 미술가 지망생이 여성인 경우 누드모델 수업에 참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 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았다." _p.86_ 결론_




여성 예술가들의 어려움을 다른 예술 분야와 미술 분야를 나누어서 생각을 해 본적이 없었다. 문학계보다 미술계에서 위대한 예술가의 탄생이 조금 더 어려웠던 것도 처음 알게 되었고 처음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내가 여성이어서 더 관심이 생긴것일수도 있지만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앎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싶다.


덧)

1. 미술 작품들이 많이 실려있고, 그 중의 몇 몇은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까지 되어있어서 이해가 잘 되었다.


2) 얇지만 굵직한 내용!! 많이 어렵지도 않아요. 린다 노클린의 글은 둘 다 흥미롭습니다. 머리글이 제일 어려웠던듯..;;;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고 진지하게 읽은 후 작성한 지극히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


#왜위대한여성미술가는없었는가? #린다노클린 #캐서린그랜트 #아트북스 #아트북스서포터즈 #자화상그리는여자들 #완전한이름 #여성미술가 #여성 #문학계 #페미니즘미술사 #책추천 #신간소개 #일침을가하는내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