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그리고 완벽하지 않은 사랑도 없다

 

평소 내가 하던 생각이다. 굴곡이 있는 인생이던 평탄한 인생이던 자신이 그 인생의 주인공이니 이야기의 내용도 흐름도 결말도 어느정도는 원하는 방향으로 맞추어 살 수 있을 것이란 것. 그렇기에 모두의 인생이 완벽한게 아닐까?하고 생각을 했었다. 물론 개인마다 완벽이라는 기준이 다르기는 하겠지만 말이다. 사랑도 그렇다. 누가 누구를 만나서 연애를 하고 헤어지고 또 누군가를 만나서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고 가정을 이루고,,, 내 이야기뿐만 아니라 남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왠지 연애소설이나 영화를 한편 찍어도 될 법한 스토리가 상당하다.ㅋㅋ

 

 

늦은 나이에 남편을 만나 결혼한 슈코. 마흔 다섯이라는 나이에도 남편에게 집착 아닌 집착을 하며 애끓는 사랑을 하고 있는 그녀는 가끔 남편과 떨어저 엄마와 여행을 하곤한다. 열다섯살의 미우미를 만났을 당시에도 여행중이었던 슈코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미우미에게 시선을 떼기가 힘들다. 여행지에서 마저도 남편만 생각하면 설레고 행복에 빠지던 슈코는 미우미의 아빠와 하룻밤을 보내게 되고, 이런 충격적인 사건에도 볼구하고 이야기의 흐름을 보고 있자니 아마도 그녀와 남편에겐 혼외 정사가 흔히 있는 일인 것 같다. 여행지의 인연으로 미우미는 슈코의 가족과 연락을 하면서 지내게 된다. 그렇게 자연스레 슈코의 남편과 알게 되고 이렇게 복잡하고도 미묘한 관계가 시작된다.

 

 

책을 보면서 대학시절 일본어 교수님께서 해주셨던 이야기가 생각이 났다. 일본 유학시절 놀란점이 있는데, 그건 회식등을 하고 나서 남녀 두명이 짝을 이뤄 가면 당연히 둘이 하룻밤을 보내고 온다고 모두가 생각한다고 했다. 더더욱 충격적이었던 것은 사랑하는 사이나 연인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그런 사이가 아니라 그냥 일회성인 만남, 그 상대가 기혼자이건 미혼자이건 그런건 관계가 없다고 했었다. 그런 문화를 참 받아들이기가 힘들었다고. 그런데 그들은 그런걸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

'잡동사니'를 보면서 십 몇년전에 들었던 이 이야기가 계속 떠오를 수 밖에 없었다. 슈코가 너무나 사랑하는 남편은 바람둥이다. 그녀와 결혼 했으면서도 여자친구가 있고, 그 외에도 하룻밤을 즐기는 상대가 많다. 슈코는 그런 점까지 받아들여서 자신이 그의 여자가, 그리고 그가 그녀의 남자가 되길 바랬던거다. 참.. 그거 상상이나 할 수 있는 이야기인가? 너무 사랑한 나머지 그 사람의 여자들까지도 인정해야한다는 것. 더욱 서운한 점은 남편 또한 슈코가 누구와 잠자리를 하든 질투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를 소개해 줄 만큼 배포가 크다는 점. 서로 소유하고 있지만 소유하지 않은 관계. 와... 이건 이론적으로도 정말 불가능할 것 같은 이야기인데...

 

이런 내용이 등장하면서부터 공감하기가 어려워서인지 책 읽기가 수월하지 않았던 것 같다. 결국 슈코가 여행지에서 만난 미우미와도 남편은 사적으로 만나는 사이가 되었고 그렇게 서른이 훌쩍 넘게 차이나는, 그것도 미성년자인 미우미의 첫 남자가 되기까지 이른다. 남편과 만나는 여자들도 머릿속에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너무 궁금하다. 우리에게만 정서적으로 맞지 않는 이야기인지, 일본에서도 충격적인 이야기인지 모르겠다.

 

그런데 우스운점은 에쿠이 가오리.. 그녀의 문제가 너무나 담백하고 아름답기까지 해서, 자칫 지져분해 보일 수 있는 스토리가 매력적이기까지, 어쩌면 있을 수 있는 일이란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이게 바로 그녀의 매력인 것일까? 사랑은 하는게 아니라 빠지는 것이라고 했던 작가의 말이 기억난다. '잡동사니'에서는 그런 면이 확실히 드러나는 것 같다. 눈에 콩깍지가 제대로 씌워서 그 어떤 것도 장애로 느껴지지 않는 관계.. 특히 슈코가 남편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대목들에서는 그녀가 꼭 사춘기 소녀인 것 같은, 얼마나 남편을 사랑하는지가 제대로 느껴져 나마저도 그를 사랑해야할 것 같은 생각이 마구 든다.

 

 

 

공항에 세워둔 차를 타고 연안 도로를 달리면서 나는 솔직해 지려고 했다. 해변 도시의 그 햇살, 포럼이라는 기묘한 모임,

확실히 일은 만족스러웠지만 나에게 중요한 건 하나뿐이다. 남편이 없는 장소에서 잠을 자고 눈을 뜨고 식사할 수 있었던 것, 주어진 일을 처리하고, 남들과 이야기하고 웃고 악수하고,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었던 것. 맛있는 것을 맛있다고, 맛없는 것을 맛없다고 느겼던 것. 나는 그런 일들이 기뻤다. 도망치지 않고, 보이지 않는 세계에 틀어박히는 일도 없이, 사물을 내 눈에 비치는 그대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이.

 그건 남편을 만나기 이전의 나다. 남편을 만나 그에게 지배당해버리기 전의 나.

핸들을 잡고 전방의 차량 흐름을 주시한 채 어이없는 내 자신을 속으로 비웃었다. 나는 남편에ㅔ 지배당하고 싶어 못 견디면서 동시에 그 이전의 나를 고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남편이 그토록 사랑했던 여자는 바로 그때의 나이기 때문이다.   p187

 

 

 

이런 이유로 슈코는 남편과 떨어지 있고 싶지 않으면서도 그가 없는 일상을 찾으려 했던 것이다. 그런 모습을 사랑했던 남편이기 때문에 항상 긴장하고 노력해야하는 것이다. 마흔 다섯에도 정열적인 사랑을 할 수 있다니! 그것도 남편과 말이야~~@@;;

그런 슈코의 모습이 부럽기도 하면서 나라면 절대로 맺지 못할 인연들을 감당하는 슈코가 대단해보인다.

 

 

언뜻 보자니 상상하기 힘든 바람둥이를 둘러싼 연애 소설처럼 느껴진다.

그런데 서평을 쓰려고 이래저래 생각해보니, 에쿠니 가오리 정도의 작가가 큰 의미없이 파장을 일으킬 만한 줄거리로 책을 썼을리가 없을 것 같단 생각이 문득든다. 단순히 사랑 이야기에 국한된게 아닌, 집착이나 놓지 못 하는 많은 욕심들은 사랑과 잡동사니로 표현한게 아닐까? 왠만하면 한번 본 책은 두번을 잘 읽지 않는 나인데, 꼭 한번 더 봐야겠단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잘 넘어가지 않는 다는 이유로 '이야기'에만 집중에서 봤었는데, 한숨 고르고 다시 읽기 시작하면 다른 무언가가 '툭'하고 떨어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