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선생님 365 - 가르치지 않고 가르치는 세상의 모든 것
정철 지음 / 리더스북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지금에서야 돌아보면 학창시절 학교에서 배운 것은 지식적인 것,,, 말그대로 이론에 대한 것이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대학입시를 보기위해(?) 12년의 시간을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에 시달려야 하는게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당연한 행보이고 또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따라다리는 이상한 선입견이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많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전공을 살려 일을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학교에서 배운 지식들을 사용하면서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오히려 사회생활을 하면서 겪는 수 많은 어려움이나 경험중에서 각자 나름대로의 해결방법과 잊지 못할 지식을 쌓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
 
27년차 카피라이터 정철 작가는 그렇게 인생이라는 과목에서 만난 수 많은 선생님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하루에 하나씩 1년 365일 독자들에게 선생님을 만나게 해주고 싶었다는 그는 자신이 좋아한다고 밝힌 노란색을 책의 온 표지에 도배를 하고 억지스러운 선생님이 적지 않으니 자퇴만은 말아달라는 귀여운 당부로 책의 머리를 시작한다.  
  
  
  
  
 
  
 
365일 매일의 선생님을 만나게 해주는 이야기들이 실린만큼 책은 470여 페이지의 조금은 두꺼운 분량이지만 마치 시 한편을 보는 것 같은, 길지 않은 글로 독서를 부담스럽지 않게 한다. 그러면서도 짧은 글에 담긴 그 의미들을 음미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여유가 필요하다. 짧은 한편의 글을 통해서 만나게 되는 인생의 선생님의 모습은 아마 글을 읽는 사람 하나하나에게 다른 모습으로 다가가지 않을까? 굵고 짧은 글에 긴 여운을 남겨주기에 최고봉이 이외수 작가님이라고 생각한다면 정철 작가의 글은 그만큼의 내공은 없지만 모든 사물, 모든 일 하나하나에서 많은 배움을 얻을 수 있다는 '배움의 자세'를 알게 해 준다. 
  
  
 
  
  
 
365개나 되는 글 중에서 작가가 말했듯이 조금은 억지스러운 글도 눈에 살짝 들어오긴 하지만 대부분의 글들이 마음에 와 닿았기에 몇가지만 추리기란 여간 힘든게 아니다. 여기에 삽화나 만화를 적용하면 아마 '광수생각'쯤은 되지 않을까? 나는 글을 읽으면서 이상하게도 내용을 먼저보고 제목과 부제를 읽게 되었는데 거꾸로 읽어서 그런지 느낌의 깊이가 조금은 더 깊었던 것 같다. 
  


 
  
 
물론 읽는 사람들의 경험에 따라 느낌이 더 다양해질 것이다. 글로 만나는 경험보다 과거 내가 겪었던 일들과 연관되어 있는 글들이 조금은 더 마음에 닿았던 것 같다. 노란색의 상큼한 표지 자체가 자꾸 손이 가게 만들기도 했고 내용과 견주어 하나 흠이 될 것이 없는 내부 디자인 또한 책에 매력을 한껏 더해준다. 개인적으로 '학교밖 선생님 365'가 가장 잘 어울릴 것 같은 장소를 추천한다면 아마도 화장실이 아닐까? ^^ 마음편히 책을 볼 시간이 없는 사람들 이라도 찰나의 순간에 온 신경을 집중하고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곳이 화장실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