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의 풍습 - 제대로 알고 싶은 ㅣ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
양지영 옮김, 치바 코지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일본의 풍습 일본사/일본문화
치바 코지, 알에이치코리아(RHK)

알에이치코리아의 한 권으로 끝내는 인문 교양 시리즈
제대로 알고 싶은 <일본의 풍습>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 많은 사람들이 가까운 일본으로 여행을 자주 가지만 일본에 관심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그 나라의 풍습에 대해선 잘 모르는 게 대부분이다. 왜 일본에는 신이 많을까? 마네키네코는 왜 오른손을 들고 있지? 왜 단오에 남자아이 행사를 따로 할까 등등~들어봤다해도 자세한 이유까진 찾아보기 전엔 알 수 없다.
그 나라의 풍습을 알면 그 나라 사람과 문화가 보인다는 주제로 펴낸 이 책은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나눈 일본의 연중행사와,
탄생부터 죽음까지 인생의 중요한 시기를 보낼 때 함께 하는 통과 의례, 그리고 알아두어야 할 일본의 예절에 대해 일러스트와 함께 설명한다.
특히 계절마다 달력으로 한 눈에 보여주는 풍속과 24절기, 일러스트를 더한 설명으로 이해를 돕는다.
45개의 다채로운 풍속을 통해 일본을 더욱 속속들이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읽어봐야 할 책이다.

풍습을 알아야 일본, 일본인, 일본 문화가 보인다!
일본인의 일상에 살아 숨 쉬는 풍습과 의미
저자 치바 코지는 고마자와여자대학 인문학부 일본문화학과에서 강사, 준교수, 교수를 역임 후 2019년 12월부터 도호쿠복지대학 학장 및 학교 법인 센단학원 상무 이사에 취임했다. 조동종 호린지의 제24대 주지로 TV,잡지,강연 등을 통해 불교의 가르침과 삶의 태도를 대중에게 소개하고, 치바현 이치하라시의 관광 대사로 활동 중이라고 한다.
먼저 풍속에 대해 설명한 후 계절별로 나눠 풍속을 설명하는데 포인트는 '운기 상승'을 키워드로 잡은 풍속들이다.
풍속은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내려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과 관습으로 전통이나 관례, 통과 의례 등을 들 수 있는데,
원래 신과 부처를 공경하고 감사하며 평안과 무병장수, 행운을 비는 행사에서 유래했으며 사람들은 풍속으로 소통하며 깊은 유대관계를 맺어왔다고 한다.
농작업에 맞춘 24절기, 음양오행설, 십간십이지 등에 대해 설명이 나오는데~우리나라 달력에서도 볼 수 있는 24절기 표시에 대해 알게 되는 시간이었다.
농경 민족으로 계절을 파악하는 게 중요했기에 24절기가 만들어졌다는 것. 이건 우리나라와 비슷했다.
하지만 자연 속에 신이 있다고 생각한 자연 신앙, 거기에 중국의 불교가 더해진 토속 신+부처. 신사가 많은 나라이기에 오롯이 토속 신인줄로만 알았는데 의외로 유연한 일본은 불교를 받아들여 옛부터 내려오는 풍습 속엔 항상 신과 부처가 있다고 한다.


왜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의 행사가 다를까 궁금했는데, 남성 중심 사회가 되어 남자아이 성장 기원이 중요했기 때문이라니~처음엔 남녀차별 아닌가 싶었는데, 생각해보니 이렇게 따로 다르게 하는 게 더 특별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특히 히나마쓰리 여자아이때는 히나 인형을 장식하는데 또 이것의 변천을 알 수 있어서 재미있고, 단오의 셋쿠 남자아이 행사에서 쓰는 입신출세를 기원한 고이노보리는 만화책에서 본 기억이 있다. 장식들의 개별 이름과 뜻도 알 수 있으며 이 풍속으로 어떤 운기를 UP하는지 아래 표시되어 있는 것도 재미있다.
우리나라 설날과 같은 오쇼가쓰, 설 요리 오세치 요리, 새해 첫 참배 하츠모데 등 새해가 되면 행사가 쭉 이어지는데, 첫 꿈도 이런 의미를 가진다는 게 특이했다. 계절별 액막이 행사나 성장을 축하하는 행사, 연말 대청소 스스하라이, 여름에 보양식으로 장어를 먹는 이유 등 풍습들을 쭈욱 둘러보니 조상에게 감사하고 액을 피하고 행운을 빌며 계절별 변화를 인지하며 삶에도 변화를 주는 것의 의미였다. 결국 다 잘 되고 잘 살자고 하는 것들이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어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다. 인생의 단락마다 찾아오는 통과 의례와 관혼 상제 등 탄생부터 장례까지 풍속으로 시작해 풍속으로 끝남을 알 수 있는데 이것 역시 인생의 달력으로 정리해 쭉 보여준다. 동일본, 서일본 지역별로 나뉘어 달라지는 음식이나 형식에선 우리나라의 지역별 차이점과 비슷하구나 싶기도 하고~
그리고 생각보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풍습들이 많아서 놀랐다. 저자가 일본사람이 아니었으면 중국 사람인가 싶을 정도로 중국에서 영향받은 것들이 꽤 많구나~
다 읽고 나니 드는 생각은 그럼 우리나라 풍습에 대해 나는 잘 알고 있는가란 질문이었다.
당연히 지금껏 살고 있기에 알기는 알지만 이 책만큼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 잘 모르고 있음을 깨달았다.
우리나라 설이나 정월대보름, 추석, 동지 정도만 알지~설이면 떡국, 정월대보름엔 오곡밥, 추석에 송편, 동지에 팥죽 같은 것들도 왜 이런 걸 먹어야 하나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일본의 풍습을 보며 색다르기에 특별하다고 느꼈는데 그만큼 자국의 풍습은 특별하게 느끼지 않았구나란 반성도 하게 된다.
일본의 풍습을 읽으니 좀 더 일본이란 나라에 가까워진 기분이 들면서, 동시에 우리나라 풍습에 대해서도 알아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달라서 더 특별하게 느껴지는 일본의 풍습. 일본에 대해 더 이해하고 알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일본사, 일본문화책이다.
가독성도 좋고, 표와 일러스트로 이해하기도 편하다.
#일본의풍습 #치바코지 #알에이치코리아 #제대로알고싶은일본의풍습 #RHK
#일본사 #일본문화 #일본풍습 #일본풍속 #일본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