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아포리즘 365 일력 (스프링) - 하루 한 번, 삶의 물음에 쇼펜하우어가 답하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에이미 리 편역 / 센시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365 일력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저 /편역,편집 에이미 리 / 센시오


하루 한 번, 삶의 물음에 쇼펜하우어가 답하다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365 일력>

요즘 철학자의 책들이 눈에 많이 들어온다.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전 세계 지성의 정신적 스승이라 불리는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가장 인상깊었는데,

그 이유는 촌철살인과 같은 폐부를 찌르는 조언들 때문이다. 거의 성악설에 가까운 느낌으로 인간을 바라보고, 삶은 기본 베이스가 고통이라는

다크한 시선으로 바라보는데~만약 젊었을 때 읽었다면 이상한 사람이라 생각했을지도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 나이 먹고 읽다보니 지극히 현실적인 내용으로 삶의 혜안이 여기에 있었네란 생각이 들었다.


일단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365 일력의 장점은,

만년 일력으로 365일 하루하루를 쇼펜하우어의 조언으로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력이 뭔가 싶었는데 날짜를 한 장에 적어 매일 한장씩 젖혀서 보는 것 탁상 달력과도 같다.

책으로 보면 한 번 읽고 나면 다시 읽기가 쉽지 않고 깨달음을 얻었던 것도 금방 잊히기 마련!

매일을 촌철살인 인생 명언으로 각성하고 다르게 살려고 노력하며 반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편역편집한 에이미 리는 대형 출판사 편집 주간과 출판사 대표를 역임, 틈틈이 영어 번역자로도 활동했다고 한다. 이 집필을 위해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 올라온 쇼펜하우어의 영어 작품을 모두 살펴보았고 쇼펜하우어의 가치를 새삼 깨달았다고 한다.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365 일력은 쇼펜하우어 작품 전체에서 골고루 발췌했다는 점, 그리고 변형되고 왜곡되지 않은,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 의해 엄정히 번역된 영어 원서 문장에서 정확히 따왔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매일 만나는 쇼펜하우어 인생 상담소란 타이틀로 월별로 주제가 다른데, 읽어보면 반복되는 내용들도 있기에 어떤 점을 강조하는지 알 수 있다.

1월 인생 플랜, 2월 지혜로운 삶, 3월 삶의 의미, 4월 고통과 상처, 5월 인간관계, 6월 삶의 태도, 7월 마음 돌보기, 8월 일과 휴식, 9월 삶의 결실, 10월 홀로서기, 11월 멋지게 살기, 12월 사랑과 평화로 나뉜다.



새로운 월로 들어갈 때 나오는 그림은 쇼펜하우어가 사랑한 야곱 반 로이스달의 풍경화라고 한다. 마음이 차분해지는 그림이다.

그리고 일별 날짜 옆에 작은 그림이 들어갔는데 꽃 그림이 많다.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라고 한다. 확실히 그림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의 느낌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일력 11월 예술적 살기의 조언이 떠오른다. "과도한 장식 없이 진실에 충실한 작품을 곁에 두고 감상하라.", "야곱 반 로이스달의 풍경화 속에서 평화와 고요를 발견하라." 저자 역시 조언을 깊게 새긴 듯 하다.

전체 작품에서 가져온 365개의 아포리즘(아포리즘 뜻: 깊은 진리를 간결히 표현한 말이나 글) 한 문장과 그 아래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 의해 정확하게 옮긴 문장이라고 한다. (편역편집자의 해설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하단에 영어로 표시했고,

여기서 끝이 아니라, 쇼펜하우어가 사랑하고 즐겨 인용한 원어 문장을 실었는데~라틴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힌두인어에 이르는 원어를 그대로 수록했으며 QR코드를 함께 실어 원어 발음을 직접 들을 수 있게 한다.

QR코드로 들어가면 원어 발음과 영어로 번역한 문장 둘 다 들을 수 있다.

그냥 보는, 읽는 것만이 아니라 원어까지 찾아 듣게 하는 매력이 있다. 영문 수록도 영어를 잘 하는 사람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것 같다.



사실 이 책은 일력으로 하루 1장씩의 조언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한 장 한 장 대충 봐서는 전체를 꿰뚫어보기 쉽지 않아 리뷰를 위해 대략적으로 필사를 하며 읽었다. 1년치를 한 번에 보니 월별 주제에 맞는 조언과 여러 번 나오는 이야기가 있어 어떤 것을 중심으로 생각하는지가 느껴졌달까.

인생은 항해와 같아 운에 따라 순항하거나 항로를 벗어나거나 간신히 방향타를 잡고 애쓸 뿐이란 말에선 내 맘대로 계획대로 안되는 게 인생이기에 좌절말고 할 바는 다 하고 나머지는 운에 맡기며 나아가야 함을 배웠다. 비참해지지 않는 방법은 엄청난 행복을 기대하지 않는 것, 기대가 없으면 실망도 없음을 다시금 깨닫는다. 인생은 뭐다? 고통이다. 그저 견디는 것. "인생의 기본값은 고통이다. 그저 견디며 살아갈 뿐이다."왜 저렇게 부정적으로 말하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고통의 부재가 행복의 기준이기에 고통이 긍정적일 수 있다고 친절히 말한다. 오히려 쾌락은 시기 질투를 낳기에 부정적인 것이다. 무작정 낙관적인 것보단 비관적인 편이 나은 이유는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면 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지나 욕망은 끝이 없고 원하는 걸 얻는다 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돌이킬 수 없는 과거에 갇히지 말 것, 현재를 살아야 하며 공들여 하루하루를 살아야 함을. 얼마나 아무렇지 않게 보내는 시간이었는지 돌아보게 만든다. 후회의 과거, 불안함을 부르는 미래보다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

아무래도 상처 받기 쉬운 인간관계에서 지혜가 더 돋보이는데~오히려 사교적인 숱한 타인과의 관계가 고통을 낳는다는 것, 외롭다고 모임에 나가는가? 모임이나 오락에 빠지는 것은 내면이 공허하기 때문이다. 혼자서도 행복해야 함을. "시시때때로 흔들리며 불안한 이유는 무게 중심이 단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체는 나 자신, 남의 평가에 가치 매기지 말 것, 스스로를 가장 잘 아는 건 자신이기에. 그리고 타인은 바꿀 수 없기에 불쾌하거나 부당한 모습을 보이면 즉시 결별할 것, 약간의 거리를 두는 게 이상적이라는 고슴도치 가족의 예를 들어 배울 수 있다. 현자는 고독에서 평온을 찾는다.

"예의를 지키는 일은 지혜롭고, 무례하게 구는 일은 어리석다."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도 곱다는 걸 알았지만 예의를 지키지 않는 무례함은 적을 만들 수 있다는 지혜를 얻는다. 사건 자체가 아닌 그에 대한 자신의 결정이 중요함을, 일과 성취에서 중요한 자기객관화, 나에게 없는 것 바라거나 부러워말고 가진 것을, 장점을 발전시켜라.

영혼의 부유함이 진정한 부임을, 명성이나 인정은 일시적인 가치기에 돈보다 살아있는 즐거움을 누리자, 홀로 서려면 경제적으로도 독립, 관계적으로도 독립되야 함을, "행복은 당신 안에 아주 조금 있을 뿐, 바깥에는 전혀 없다." 내 안에서 기쁨을 찾자.

예술적으로 살기가 어떤 이점을 줄까 싶었는데, 예술가의 눈으로 사물을 꿰뚫어보는 재능을 빌려준다고 한다. 예술가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는 것. 뭔가 멋있게 느껴진다. 내 시선으로 평가하기보다 작가의 어떤 시점으로 탄생하고 그렸는지를 염두에 두며 봐야겠단 생각이 든다.

인생의 지혜와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쇼펜하우어 어록이 담긴 일력으로 새로운 깨달음을 얻고 관계보단 내면에 치중하며 욕망을 버리고 집중할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걱정없이 오늘을 즐기며 살아가야겠단 생각을 하게 된다. 어제와 다른 삶을 살고 싶다면, 관계에 지쳤다면, 삶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아 힘겹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삶의 지혜를 얻고 싶은 사람들이 매일 읽으면 도움될 쇼펜하우어 일력이다.


#쇼펜하우어아포리즘365일력 #쇼펜하우어 #에이미리 #센시오 #북유럽

#자기계발 #처세술 #쇼펜하우어명언 #쇼펜하우어조언 #쇼펜하우어어록

#쇼펜하우어달력 #쇼펜하우어일력 #삶의자세 #인간관계 #삶의의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