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사이 - 나답게 살기로 한 여성 목수들의 가구 만드는 삶
박수인.지유진 지음 / 샘터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 사이 : 여성 목수 에세이

박수인, 지유진 지음 / 샘터


에세이를 좋아한다. 여행이든 인생이야기든 다른 사람의 이야기들을 듣는 것은 흥미롭다.

직업에세이책은 더욱 더 흥미롭다. 내가 가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의 스토리. 막연하게 상상만 해본 그 직업 뒤엔 어떤 숨겨진 이야기들이 있을까?!

그래서 읽게 된 책 <나무 사이>. 부제로 나답게 살기로 한 여성 목수들의 가구 만드는 삶이란다.

직업 앞에 여성이란 단어가 들어가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데~아무래도 남성이 대다수인 직업이기에 더 특별하게 느껴진다.

분명 더 힘들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책의 저자는 박수인과 지유진. 그래서 목수'들'이다. 제목만 봤을 때는 목수 두 명이 만나서 공방을 차린건가 싶었는데

책을 읽어보니 회사에서 만난 사이였다. 그것도 한 명은 법대를 나왔고, 다른 한 명은 체육과를 졸업했다. 과장과 대리로 만나 퇴근 후 언니 동생하며 술 한잔하는 사이에서 룸메이트가 되고, 꿈꾸는 여성상을 이야기하다 기술직의 모습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함께 사업 동반자가 된다.

-언니가 배우는 목공 기술과 내 디자인 재능을 살려 우리만의 공방을 만들기로 했다.



두 사람의 이야기가 엇갈리며 이어지는데~먼저 목공에 흥미를 느껴 학원에서 배우다가 휴직 후 취업까지 하게 되고, 서른 넘은 여자가 목공방에 취업하기 쉽지 않다는 에피소드와 몇몇 곳을 거쳐 공방을 열기까지의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어떻게 시작하게 됐고, 취업과정에서 겪는 에로사항들을 알게 된다. 확실히 대다수가 남자가 하는 직업인지라 편견?이 있어선지 경험 있는 저자보다 아무런 관련 지식 없는 남자에게만 일을 준다던지 하는 여자라서 받는 불이익이 너무 짜증났다. 하지만 그런 것들을 다 이겨내고 경험과 데이터를 쌓은 저자1은 저자2와 함께 공방을 차린다. 경험으로 인해 공방 창고의 조건이 정해지고 그렇게 카밍 그라운드가 탄생한다.

-일도 가구 만들기와 같다. 좋아하는 일을 잘하기 위해선 방법이 없다. 그냥 계속하는 수밖에.

-쉽지 않은 시간이었고, 분에 차고 우는 날이 훨씬 많았지만, 그때의 시간을 지나왔기에 단단해진 내가 있다. 그리고 지금의 연이 있다.

-나무를 이용해 차분한 감성의 집에도 잘 어우러지면서 반려동물에게도 편한 가구를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반려동물이 보내는 신호인 '카밍시그널'과 그들을 위한 단단하고 안락한 공간이라는 의미의 '그라운드'가 합쳐진 '카밍그라운드'라는 이름을 떠올렸다.



처음엔 한 명이 주인공이 아닌가 싶었다. 목공일을 먼저 배우고 제작하는 건 한 명이지 않은가. 하지만 읽다보니 둘이었기에 가능했음을 알게 된다. 생각이많은 사람과 일단 시작하려는 사람. 다른 성향으로 엇나갈 수도 있을텐데 이 둘은 서로 배려하며 배우고 발전한다고 느껴진다. 함께 일하고 함께 살고 늘 대화를 하며 거기에서 아이디어도 나온다. 이렇게나 결이 맞는 사람과 함께 뜻을 도모하며 할 수 있는 건 천운이 아닐까도 싶다.

공방은 두 가지 타입으로 교육쪽, 제작쪽이 있는데 카밍그라운드는 제작 공방이다. 목재별로 다루는 기계들도 달라진다는 지식을 알게 된다.

파베리아의 추위나 물난리, 불난리 등등 다양한 일들을 겪지만 늘 거기서 배우는 좋은 점도 있음을 이야기한다. 나무, 자연의 감사함과 이미 일어난 일은 어쩔 수 없다는 태연한 대처와 마인드. 그리고 사람을 얻는 다는 것도.

만드는 가구에 대해서도 몇 가지 나오는데~'엄마의 서재' 이름부터 특별한 이 가구는 엄마만의 공간을 만들어주자는 의미로 만들어졌고, 굿모닝 베드는 자는 시간이 아닌, 깨는 시간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 제작됐다고 한다. 궁금해서 인터넷 검색도 해보니 홈페이지에서 책에 나온 가구들을 볼 수 있었다. 저자가 말한대로 샌딩이 중요하다해선지 더 매끄러운 듯해 보인다~(반려동물 추모함이 눈에 들어온다.)

특이한 것은 직접 배송이었다. 일명 봉고 전국 방방곡곡 에피소드. 배송료를 줄이고자 시작한 배송이지만 (물론 직접 만든 소중한 가구를 안전하게 배달하려는 것도 있고)쉽지 않은 배송에 하기 싫어졌지만 마음가짐을 바꾸니 다르게 느껴지더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구매자를 직접 만나면서 따스함을 느끼고 보람과 기쁨이 더해진다니 힘들어도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우리가 분명 이렇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고 업에 프라이드를 갖고 열심히 사는 모습을 꾸준히 보여 주다 보면, 더 많은 사람들이 성별에 상관없이 업을 택할 수 있고, 직업 앞에 성별을 붙이지 않는 게 아주 자연스러워지는 때가 오지 않을까?

매일 나무를 만지는 낭만을 포기할 수 없는 여성 목수들의 이야기. 명확한 꿈을 가지고 나답게 살아가는 것 자체가 멋있다. 목공방 여자목수들의 이야기와 에피소드들이 재미있어 술술 읽히며 드라마 보는 기분도 든다.(만들어져도 좋을 듯!) 흔들릴 때마다 마음의 중심이 중요함을, 너무 일만 하며 달려왔기에 휴식이 필요함을 깨달으며 자신만의 속도에 맞게 나아감의 중요성도 알려준다. 일할 땐 일에 집중하고, 쉴 땐 훌쩍 떠나기도 한다는 게 부럽다! 여자라서 더 힘들 수 있지만 여자기에 더 특별한 브랜드의 차별점이 아닌가 싶다. 목공방일의 장점과 단점도 느껴볼 수 있고, 함께라는 관계의 중요성도 느낄 수 있다. 저자의 바람대로 여자 목수보다 그냥 목수 타이틀이 붙는 그 날이 오기를 바라며~

*목수에세이, 가구만드는일, 목수이야기가 궁금한 사람들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책이다.


#나무사이 #박수인 #지유진 #샘터 #북유럽

#목수에세이 #여성직업 #여성목수 #에세이 #신간에세이

#에세이추천 #카밍그라운드 #목공여성 #직업에세이 #가구공방에세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