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고생 - 책보다 사람을 좋아해야 하는 일 일하는 사람 11
김선영 지음 / 문학수첩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세이 사서, 고생 / 김선영

김선영 지음, 일하는사람




책보다 사람을 좋아해야 하는 일

<사서, 고생>


직업 에세이책을 좋아한다. 내가 가지 않은 길이기에 흥미로우면서 멋있어 보이는 직업의 이면엔

실제로 어떤 일을 하며 업무 중 어떤 게 즐겁고 어떤 점이 힘들까란 궁금증은 누구나 있을 터!

책을 좋아하기에 도서관 사서가 되면 즐겁겠지?란 상상과 기대감을 제대로 깨주는 책 사서 고생이다.


저자 김선영은 20년간 사서로 일하고 있지만 책을 전혀 좋아하지 않던 사람이라고 한다. 무슨 과인 지도 모르고 문헌정보과를 갔고

졸업 후 사서 공무원으로 공공도서관 사서가 되었다고 한다.

사서면 당연히 책을 좋아해야 하는 거 아냐?란 편견 아닌 편견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 같은데,

사서는 의외로 책 표지만 많이 보거나 아예 책을 볼 수 없는 보직도 있다고 한다.

"나는 공공도서관 사서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사람을 좋아하는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도서관은 지역 주민을 위한 서비스 기관이자 책을 매개로 한 커뮤니티 허브이기 때문이다.

즉 사서는 '책'보다는 '오는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일 수 있어야 한다."




책은 1장 어쩌다, 사서_책을 좋아하지 않아도 괜찮아,

2장 도서관 분투기_사서도 직장인입니다,

3장 모두에게 열린 공간_도서관을 여행하는 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서가 된 이야기부터 사서에게 필요한 자질, 업무, 사서가 고생하는 직업인 이유, 힘들었던 점, 감사한 이용자와 힘들게 한 이용자 등등

사서에 대해 궁금했던 내용들을 알 수 있다.


"공공도서관 사서는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은 아니다. 계약직 비율이 높아 고용환경도 좋지 않다.

흔히 구립도서관 사서를 공무원이라고 생각하지만 대부분 구청에서 위탁받은 기관의 소속직원으로, 고용체계, 임금, 처우 등이 천차만별이다."

한 번도 참여해 보지 않았지만 도서관에서 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글을 SNS에서 본 적이 있다.

하지만 그런 프로그램 운영 업무를 사서가 하는 일이라곤 생각을 못했었다.

강사 섭외해서 도와서 하는 거겠지 싶었는데 독서 관련 수업도 해야 하고 실적도 채워야 한다구요?...

단순히 바코드나 띡띡-찍는 편한 꿀직업이라고 생각했는데, 읽어보니 주로 고객서비스업+기획운영+창고업무로 느껴졌다.(물론 보직에 따라 다르지만)

어디에서나 특이한 사람들이 있지만 누구나 운영시간 내내 오고 있을 수 있는 그야말로 공공의 장소이기에

저자의 말대로 사람, 소통을 힘들어하면 지옥이 될 수도 있는 곳이었다. 왜 그 생각을 못했지?!

저자는 고마운 분들이 있어 힘든 나날을 버틸 수 있다고 했지만, 특이한 사람들 몇몇은 어딜 가나 있나 보다.

현재 진행형인 직업이기에 이것도 다 쓰지 못한 거라니..할말하않이 아니라 할말못않인가 보다며~

또 힘들겠다 느껴진 것은 근속 2년이 넘으면 전보 대상자가 된다는 것이었다.

"인사발령은 각본 없는 드라마이자 무엇이 튀어나올지 모르는 판도라의 상자다."

저자의 가장 힘들었던 보직이 뭔지도 알 수 있다.

사서의 업무며 보직이 이렇게나 다양했구나..그런데 실적까지 챙겨야 하고, 반납독촉도 해야 하고, 한 곳에 쭉 있는 것도 아니라니..

스트레스로 인해 눈이 캄캄해지는 일도 겪었다고 한다.

읽다 보니 사서는 쉬운 직업이 결코 아니었다. 그래서 제목이 사서, 고생인가 보다.




20년이나 계속해온 직업이기에 정말 리얼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는 게 장점이다.
보통 이런 에세이는 가볍게 끝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다양한 내용인지라 너무 재밌게 읽었고 읽는데 시간도 걸렸다. (재밌어서 천천히 읽고 싶었음)
흔히 갖고 있는 꿀직장일거란 편견을 가볍게 깨부숴주면서도 어느 직장이 그렇 듯 장점과 단점이 있다는 것.
그럼에도 자신의 직업을 꿈꾸는 사람을 보고 다시 마음가짐을 돌아보게 된다고 한다.
도서관은 정말이지 여러 사람과의 관계와 소통이 책보다 더 중요한 직업인 것 같다.
점차 변하는 현실에 맞춰 사서란 직장인이 갖추면 좋을 것들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사서가 궁금하다면, 사서에 대한 편견이 있다면 꼭 읽어보시길~
나중에 2탄이 나왔으면 좋겠다.
"나노 사회에는 다양한 니즈가 존재하니 이를 위한 백인백색의 사서가 필요하지 않을까?"
"세대 갈등과 양극화 심화로 서로 멀어져만 가는 이 시대에 다양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흔치 않은 공간이 바로 도서관이다. 이젠 열려있는 도서관을 넘어서 사회적 통합과 소통의 작은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도서관이라는 새로운 꿈을 품어본다."



#에세이 #사서고생 #김선영 #문학수첩 #일하는사람 #사서
#도서관사서 #사서에세이 #직업에세이 #사서하는일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