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감정을 읽는 시간 - 나를 휘두르고 가로막는 여덟 감정의 재구성
변지영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심리책] 내 감정을 읽는 시간 / 변지영

 

 

내 감정을 읽는다라.
감정은 그냥 자연스럽게 불쑥 생기거나 올라오는 거라고 생각했었다.
울컥 올라오는 화를 삭이지 못해 종일 예민하게 곤두서있기도 하고,
슬픔에 빠졌을 때는 아무것도 하기 싫은 무기력까지 동반되어 스스로를 놓고 싶기도 했다.
나에게 감정은 컨트롤 할 수 없는 화마 같은 것이었다.


​"오늘도 울컥해서 힘들었다면"
감정에 압도되지 않고 유연함을 키우는 연습


그래서 더 읽고 싶었던 '내 감정을 읽는 시간'
내 감정을 나 스스로가 컨트롤할 수 없다면 그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고 생각되므로.

 

 

우리 사회에선 특히나 안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분노라는 감정 외에도
이 책에선 슬픔, 그리움, 죄책감, 수치심, 배신감, 원망, 두려움이란
감정을 재구성하는 사례들과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들은 이야기로 엮은 사례들로 어떻게 해서 그런 감정을 갖게 되었는지,
그 감정과 관련된 영화나 책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어떤 답을 내놓는다기보다, 그 감정이 생겨난 맥락을 살펴보고 그것을 이해시킨다고 느껴졌다.

 

 

 

 

저자는 모리타 치료의 정신의학적 관점에 동의하는데,
그것은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내 목적에 필요한 행동을 하는 것]이라고 한다.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기보다는
이해하려는 마음을 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긍정적인 것이 당연히 부정적인 것보다 좋다고 많이 들었기에
누구나 그런 감정을 고치려고 노력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고통스런 감정에 더 얽매이게 된다고 말한다.
'바꾸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흘려보내면서
지금 자신의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다른 관점들도 많지만 요즘은 대체적으로 이렇게 더 유연한 방식,
예를 들면 마음알아차리기 같은 것과 비슷한 것들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너는 틀렸다, 바꿔야한다는 게 아니라

자신의 감정 속에 있는 욕구를 먼저 찾아내 알아차리면
'적절한 행동을 선택할 여지가 생긴다'는 것
이다.

 

 

 

 

가장 공감되고 흥미있던 감정은 '배신감'이었다.
 영화 '45년 후'의 아내가 내 입장이었다면 너무 끔찍했을 것 같다.
하지만 그 감정에 대한 재구성에서의 문장이 또 내 마음을 후벼팠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 하더라도 타인이 내게 무엇을 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내 마음과 내 행동만 내 소관입니다.
그러니 애초에 내가 어떤 기대가 있어서 상대에게 잘해주고 있다면, 그 마음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믿는 것과 배신당했다는 것 역시 자신이 그려내는 그림이라니..
서로의 기대감이 어긋날 수 있으니 마음의 여지를 늘 준비하라는 말은 와닿지 않았다.
상처받을 걸 알고도 사랑하라는 말과 비슷한 거니까.
하지만 계속 읽어보니 이해됐다. 삶이란 게 그렇다. 죽을 걸 알고도 하루하루 살아가야 하는 거니까.
사는 동안에 그깟 감정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내 감정을 알아차리고 관점을 바꿔야 한다는 것.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해온 감정에 대한 해석은 앞으로 겪게 될 감정 경험 그 자체에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니 뭔가 반복해서 일어나는 불편한 감정이 있다면 그 해석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해석이 설계에 영향을 끼치니까요.
감정의 알갱이를 들여다보고 맥락을 파악해야 합니다.'

 

 

감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실제 사례들과 영화나 책의 이야기들로 이해시켜주는 책이다.
특히나 영화이야기가 흥미로웠고, 찾아봐야겠단 생각도 들었다.
뭔가 결론을 도출해주는 진부한 심리상담과는 다르게 감정 설명과 이해시키는 내용이라는 것.
아쉬운 점이기도 하지만 또 다르게 생각하면 장점인 것도 같다.
다른 의미로 내 감정을 생각하게 됐으니까.
컨트롤할 수 없는 자신의 감정 때문에 힘든 사람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